현실감 떨어지는 공공임대주택…10평 이하 절반 '공실'

  • 경제/과학
  • 건설/부동산

현실감 떨어지는 공공임대주택…10평 이하 절반 '공실'

LH 임대 공가 5만호 중 31㎡미만 소형평수가 2.만500호
충남 공가율 12.9% 전국에서 가장 높아… 대전 6.1%, 충북 5.7%, 세종 5.6% 등 전국 평균 웃돌아
복기왕 의원, “현실 수요 맞게 임대주택 실평수 늘려야”

  • 승인 2024-09-19 16:17
  • 신문게재 2024-09-20 1면
  • 심효준 기자심효준 기자
캡처
(자료=복기왕 국회의원실 제공)
공공임대주택이 실거주자들의 주택 수요를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더욱이 공실 중 절반은 전용 31㎡(약 9.4평) 이하의 소형평수인 것으로 조사돼 현실적인 주택 수요에 맞게 면적을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충남의 공가 비율은 전국에서도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고, 대전과 세종, 충북의 공가율도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19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복기왕 의원(충남 아산시갑)이 한국토지주택공사(LH)로부터 제출받은 'LH 임대주택 공가 주택수 및 공가율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4년 8월 기준 LH 건설임대주택 공가(空家) 4만 9889호 중 전용 31㎡ 미만이 2만 4994호로 50.1%를 차지했다. LH 임대주택 공실 중 절반이 10평 이하의 소형주택인 것이다.

LH 임대주택의 그 외 평수별 공가 현황은 31~41㎡ 9927호(19.9%), 41~51㎡ 8803호(17.6%), 51㎡ 이상 6165호(12.4%)였다. 주택의 평수가 좁을수록 수요자들의 인기가 떨어진다.

올해 8월 기준 LH가 관리하는 건설임대는 총 98만 5300호이며, 이 중 4만 9889호(5.1%)가 현재 6개월 이상 공실이다. 3년 이상 초장기 공실도 3910호(0.4%)였다.



충청권의 공실 비율은 전국과 비교해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충남의 임대주택 공가율은 12.9%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고 대전 6.1%, 충북 5.7%, 세종은 5.6%로 전국 평균보다 높았다. 충청권 임대주택의 공가율은 경기(3.8%), 서울(3.5%), 인천(3.0%) 등 수도권과 비교해 높은 수준이었고, 인근 도시인 광주(4.4%), 전남(4.9%)을 웃돌고 있다.

LH는 임대주택 공가 해소방안으로 ▲입주자격 및 임대조건 완화 ▲중점관리단지 지정 및 관리 ▲주거여건 개선 등을 제시하고 있지만, 이를 두고 현실과 다소 동떨어진 대책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공가율의 핵심은 결국 소형평수 입주에 부담을 느끼는 실거주자들이 많은 데 있기 때문이다.

복기왕 의원은 "10평 집에서는 신혼부부 두 명도 살기 어렵다"며 "아산지역에서도 신혼부부가 행복주택에 당첨됐지만, 주택이 너무 작아 입주를 포기한 사례가 빈번하다"고 지적했다.

대전에선 입주를 앞둔 신탄진 다가온 공공임대주택의 237호 중 절반가량인 120호가 전용면적 10평 이하다. 신혼부부와 한부모가족을 대상으로 공급되는 넓은 호실(36㎡, 44㎡, 55㎡)이 있지만, 여전히 좁은 면적과 한정된 호실로 인한 높은 경쟁률은 부담이다.

2024년 정부의 임대주택 재정지원기준은 3.3㎡ 기준 993만 9000원에서 2025년 예산안 기준 1043만 6000원으로 인상됐다. 이와 함께 임대주택 호별 기준사업비 중 기금출자 비율은 60㎡ 이하 주택 39%, 60㎡~85㎡ 주택 33%이다. 다만, 임대주택 평수를 늘리기 위해서는 정부재정지원이 확대돼야 하는 만큼 복 의원은 정부 차원에서의 추가적인 재정지원기준 인상과 기금출자 비율 확대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복 의원은 "가장 큰 문제는 공공·임대주택의 실평수가 너무 작다는 것"이라며 "임대주택이 국민에게 사랑받기 위해서는 실수요자의 욕구에 맞게 평수를 더 늘려야 하고, 이를 위해 정부 지원 단가와 기금출자 비율도 현재보다 더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효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호서대' 연극트랙', 국내 최대 구모 연극제서 3관왕
  2. 아산시, 민관협력 활성화 워크숍 개최
  3. 천안법원, 공모해 허위 거래하며 거액 편취한 일당 '징역형'
  4. 충청남도교육청평생교육원, 노인 대상 도서관 체험 수업 진행
  5. 엄소영 천안시의원, 부성1동 행정복지센터 신축 관련 주민 소통 간담회 개최
  1. 상명대, 라오스서 국제개발협력 가치 실천
  2. 한기대 김태용 교수·서울대·생기원 '고효율 촉매기술' 개발
  3. 천안법원, 음주운전으로 승용차 들이받은 50대 남성 징역형
  4. 천안시의회 드론산업 활성화 연구모임, 세계드론연맹과 글로벌 비전 논의하다
  5. 세종시 '러닝 크루' 급성장...SRT가 선두주자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정부와 민주당` 충청권 역주행...행정수도 진정성 있나

'이재명 정부와 민주당' 충청권 역주행...행정수도 진정성 있나

행정수도와 국가균형발전 키워드를 주도해온 더불어민주당이 '해양수산부 이전' 추진 과정에서 강한 반발과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이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는 각종 여론조사 결과 대선 득표율(49.4%)을 크게 뛰어넘는 60% 대를 넘어서고 있으나 유독 충청권에서만 하락세로 역주행 중이다. 지난 7일 발표된 리얼미터와 여론조사 꽃, 4일 공표된 한국갤럽의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충청권은 호남과 인천경기, 서울, 강원, 제주권에 비해 크게 낮은 60%대로 내려앉거나 그 수준에 머물고 있다. 그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 2026년 충청권 지방선..

조국혁신당 대전시당, `검찰개혁 끝까지 간다`… 시민토크콘서트 성황
조국혁신당 대전시당, '검찰개혁 끝까지 간다'… 시민토크콘서트 성황

조국혁신당 대전시당이 12일 유성문화원에서 '검찰개혁 시민콘서트'를 열어 당원·시민들과 함께 검찰개혁의 필요성과 구체적인 방향 등을 논의했다. 이날 행사엔 황운하 시당위원장과 차규근·박은정 의원이 패널로 참여하고, 배수진 변호사가 사회를 맡아 진행했다. 이들은 조국혁신당이 발의한 검찰개혁 5법 공소청법, 중대범죄수사청법, 수사절차법, 형사소송법 개정안·검찰독재 정치보복 진상규명과 피해회복을 위한 특별법 등의 내용과 국회 논의 상황, 향후 입법 일정·전망을 설명했다. 차규근 의원은 "수사절차법과 형사소송법 개정안을 통해 검찰의 무차별..

무더위에 수박 한 통 3만원 훌쩍... 농산물 가격 급등세
무더위에 수박 한 통 3만원 훌쩍... 농산물 가격 급등세

여름 무더위가 평소보다 일찍 찾아오면서 수박이 한 통에 3만원을 넘어서는 등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13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대전 수박 평균 소매 가격은 11일 기준 3만 2700원으로, 한 달 전(2만 1877원)보다 49.47%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1년 전 2만 1336원보다 53.26% 오른 수준이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치인 평년 가격인 2만 1021원보다는 55.56% 인상됐다. 대전 수박 소매 가격은 2일까지만 하더라도 2만 4000원대였으나 4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폐업 늘자 쏟아지는 중고용품들 폐업 늘자 쏟아지는 중고용품들

  • 물놀이가 즐거운 아이들 물놀이가 즐거운 아이들

  • ‘몸짱을 위해’ ‘몸짱을 위해’

  •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