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에서] 요즘, 우리지역 경기는

  • 오피니언
  • 편집국에서

[편집국에서] 요즘, 우리지역 경기는

김흥수 경제부 차장

  • 승인 2024-09-29 13:09
  • 김흥수 기자김흥수 기자
KakaoTalk_20191013_171443825
김흥수 경제부 차장
경제부로 발령받은 지 10개월, 요즘 취재현장을 돌다 보면 만나는 사람들로부터 지역 경기가 안 좋다는 얘기를 많이 듣곤 한다. 건설업과 제조업 모두 말이다. 과연 내가 살면서 경기가 좋았던 적이 있었던지 돌이켜보면, 10년, 20년 세월이 한참 흐른 뒤 '아 그래도 그때가 좋았어'라고 뒤늦게 평가하는 것 같긴 하다.

아무튼 고금리가 이어지고 이에 따라 내수 경기도 침체되면서, 지역기업들이 큰 어려움에 처해 있다. 공장 가동을 멈춘 제조업체도 있었고, 미분양 아파트의 증가로 인해 건설업계에서도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먼저 얼어붙은 부동산 시장 분위기는 건설업계에도 미치고 있다. 최근 몇 년 사이 아파트 분양가가 급등하면서 많은 사람들은 내 집 마련의 꿈을 어렵게 만들었고, 프리미엄에 대한 기대감도 사라져버렸다. 부동산 시장의 침체는 매매 수요를 전세로 돌려놓았고, 무주택자들은 청약보다 저렴한 기존 주택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

실제 대전의 한 아파트 분양가는 3.3㎡당 2000만 원을 넘어서면서 국민 평형으로 알려진 34평 아파트는 7억 원을 호가하고 있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5억 원 이하였는 데 말이다. 물론 전국 집값을 놓고 보면 저렴하다고도 할 수 있지만, 단기간에 오른 분양가는 소비심리를 위축시켰고, 원도심은 물론 일부 도심권에서도 미분양이 발생하고 있다. 미분양 물량이 쌓이면서 부동산 시장은 물론 건설업계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하지만 건설 자재비와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건설사들이 분양가를 낮출 수도 없는 상황이다.



'똘똘한 한 채가 낫다'는 언론 보도가 계속되며, 지방에서도 서울의 아파트를 구입하려고 하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고 한다. '서울공화국'이라는 말이 실로 체감되는 요즘이다.

제조업의 상황은 더 심각하다. 대전산업단지에 입주한 한 기업은 최근 일거리가 없어 공장 가동을 중단했다. 내수 부진 등으로 인해 발주물량이 뚝 끊겼기 때문이란다. 암울한 현장 분위기 탓에 취재하는 것조차 미안한 마음이 들 정도였다. 또 50여 년을 대전시민과 함께한 주류업체는 최근 경영위기에 빠져 시민들에게 사랑을 받기 위한 캠페인을 벌이는 등 고군분투를 벌이고 있다.

이렇듯 지역 경기가 많이 안 좋은 요즘이다. 실제 각종 경제단체들이 기업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경기전망 지표들에서도 대부분 부정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얼마 전 한국경제인협회가 발표한 10월 기업경기전망지수(BSI)는 96.2로, 무려 31개월째 기준치를 밑돌았다.

이 같은 지역 경기침체는 윤석열 대통령이 약속한 지방시대 정책이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증거로 볼 수 있다. 결국 정치권이 나서서 풀어야 한다. 수도권 규제를 강화하고 지방의 규제를 완화하는 파격적인 특혜를 줘, 서울공화국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나야 한다. /김흥수 경제부 차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경기 프리미엄버스 P9603번 운행개시
  2. [기획] 의정부시, 우리동네 정책로드맵 ‘장암동편’
  3. '최대 30만 원 환급' 상생페이백, 아직 신청 안 하셨어요?
  4.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5.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1. 첫 대전시청사 복원활용 탄력 붙는다
  2.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7대 광역시 중 두번째
  3. 대전권 14개 대학 '늘봄학교' 강사 육성 지원한다
  4. 화성시, 거점도시 도약 ‘2040년 도시기본계획’ 최종 승인
  5. 유성구, 혁신 릴레이포럼으로 미래도시 전략 그려

헤드라인 뉴스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전지역 자영업자들이 극심한 불황을 견디지 못하고 잇따라 폐업의 길로 내몰리고 있다. 특히 도소매업의 경우 대출 증가와 폐업률 상승이 두드러지면서, 이들을 위한 금융 리스크 관리와 맞춤형 정책 지원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24일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가 발표한 '대전지역 자영업 현황 및 잠재 리스크 점검'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기준 대전지역 자영업자 수는 15만 3000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 이후 감소세를 보인 다른 광역시와 달리 대전의 자영업 규모는 오히려 확대되는 추세다. 전체 취업자 수 대비 자영업자가 차..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대전 유성구파크골프협회가 맹꽁이와 삵이 서식하는 갑천 하천변에서 사전 허가 없이 골프장 조성 공사를 강행하다 경찰에 고발당했다.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 나무를 심으려 굴착기를 동원해 임의로 천변을 파내는 중에 경찰이 출동해 공사가 중단됐는데, 협회에서는 이곳이 근린친수구역으로 사전 하천점용허가가 없어도 되고 불법도 아니라는 입장이다. 24일 대전시하천관리사업소와 대전충남녹색연합에 따르면, 유성구 탑립동 용신교 일대의 갑천변에서 11월 15일부터 17일까지 굴착기가 땅을 헤집는 공사가 이뤄졌다. 대덕테크노밸리에서 대덕구 상서동으로 넘어..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속보>=세종시 도시재생사업을 총괄 운영할 '컨트롤타워'가 내년 상반기 내 설립될 예정이다. 국비 지원 중단 등 재정난 속 17개 주민 거점시설에 대한 관리·운영 부실 문제를 지적한 중도일보 보도에 후속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중도일보 11월 19일자 4면 보도> 세종시는 24일 오전 10시 기자간담회를 통해 도시재생 사업의 주민 거점시설 운영 현황과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본보는 10년 차 세종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는 광역도시재생지원센터와 현장지원센터 5곳이 폐쇄한 작금의 현실을 고발하며, 1000억 원에 달하는 혈세 투입..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렁주렁 ‘감 따기’ 주렁주렁 ‘감 따기’

  •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