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다문화] 필리핀의 비콜 지역 '페냐프란시아' 축제

  • 다문화신문
  • 세종

[세종 다문화] 필리핀의 비콜 지역 '페냐프란시아' 축제

매년 9월 셋째주 비콜에서 열리는 가장 유명하고 오래된 축제

  • 승인 2024-10-09 09:54
  • 신문게재 2024-10-10 10면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필리핀
페냐프란시아 축제. 사진=세종시 가족센터 제공.
필리핀 페냐프란시아(Penafrancia Festival) 축제는 매년 9월 셋째주 마다 비콜에서 가장 유명하고 오래된 축제다. 2024년 축제는 9월 21일 토요일에 나가(Naga City) 메토로풀리탄 대성당에서 페냐프란시야 성모 대성당 미노레까지 이어지는 강물 행렬로 열렸다.

필리핀에는 각 지역마다 공유의 축제를 가지고 있다. 페냐프란시이 축제는 비콜(Bicol)의 수호성인 페냐프란시아 성모의 축일을 기리는 종교 축제이다.



이 축제의 이름은 '푸랑스위 바위'를 의미하는 패냐 데 프란시에서 유래했다. 이때 사람들은 '비바 라 버젠(Viva la virgen)-스페인어로 성모마리아 만세라는 뜻이다'라고 지칭하며 성모마리아를 찬양하며 영적인 감동을 느낀다.

이 축제는 수백 명의 남성 신도들이의 이미지를 대성당에서 나가 대성당으로 옮기는 의식인 트라슬라시온으로 시작된다. 이것은 이 축제를 기념하는 9일간의 노베나 미사의 시작을 알린다.



비콜지역의 수호 성인인 성모마리아 페나프란시아의 날을 기념하기 위해 열리는 종교적인 축제이기도 하다. 이 기간 동안 성모마리아 사진을 나가 대성당에 모셔두고 단체기도를 하는데, 마지막 날 대성당의 성 모마리아의 사진을 배에 안치하고 낙가 강에서 수상 퍼레이드를 한다.

바로 페냐프란시아 축제(Pe?afrancia Festival)이다. 축제를 위해 수천 명의 사람들이 비콜반도에 위치한 나가(Naga City)로 모여든다. 이들은 나가의 수호성인인 성모 마리아에 열렬한 경의를 표한다. 300년 넘게 이어오고 있는 이 종교축제에는 신자들과 순례자들이 방문하고 있다.

페냐프란시아 축제 기간에는 크게 두 개의 행사가 있다. 보통 9월 둘째 주에 열리는 성안(Divine Face)이 그 중 하나로, 예수상에 경의를 표하는 행사다. 성안에 대한 숭배는 1882년 필리핀 수도 마닐라에서 발생한 콜레라가 나가로 급속히 확산됐을 때 시작됐다고 전해진다. 당시에는 콜레라 치료법이 없었는데, 예수상을 마을 성당의 재단에 올려놓자 놀랍게도 콜레라가 사라졌다고 한다. 성안 행사가 끝난 다음 주에는 성모 마리아를 기리는 행사가 열린다.

페냐프란시아 축제가 가장 유명해서 나가는 '순례자의 도시'라고도 불린다. 필리핀은 333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스페인의 식민통치를 받았다. 이로 인해 필리핀의 문화유산은 다양한 문화적 전통과 혼합됐다. 특히 종교에 큰 영향을 받았다. 현재 필리핀 인구의 약 85%가 천주교인이다.

따라서 필리핀에서 열리는 축제는 대부분 기독교 신앙 및 전통과 연관돼 있다. 매년 수백만 명의 천주교인들이 나가에 모여 성모 마리아를 숭배하는 것은 필리핀에서 가장 성대한 종교적 의식 가운데 하나다. 축제 기간 동안 성모 마리아를 위한 9일 기도가 행해진다.

9일 기도의 첫째 날에는 트란스라시온 (Translacion)이라는 행사가 열리는데, 성모 마리아상을 들고 나가 성당까지 거리를 행진한다. 9일 기도의 하이라이트인 아홉째 날에는 성모 마리아상을 다시 성모성당에 가져다 놓기 위해 나가강을 따라 '수상 행진'을 벌인다. 성모 마리아상과 성안을 배 위에 모셔 놓고 천주교 사제들이 함께 배에 올라 강을 따라 이동한다. 다양한 색상셔츠를 입은 젊은 남성들이 탄 긴 카누들이 그 뒤를 따른다.

이들은 마치 경주를 펼치듯 빠르게 힘껏 노를 젓는다. 남성만 카누를 탈 수 있는데, 비콜 지역에는 여성이 재난을 불러올 수 있다는 속설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남성 중에서도 보야도르(voyadores)라고 불리는 선택된 신자들만 카누에 오를 수 있으며, 나머지 신자들은 강가에서 행진을 지켜보며 "성모 마리아 만세(Viva la Virgen)"를 외친다. 성상이 성모성당에 도착하면 성찬의식이 진행된다. 마지막으로 이 축제는 기념하기 위해 일련의 행사가 열린다. 다양한 거리 댄스, 플로트 펴레이드,매인 대회, 무역 바람회, 비콜 지역에 학교마다 학생들이 군사 퍼레이드 등 다양한 활동으로 진행한다.
세종=신해솔(필리핀) 명예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2.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백소회 회원 김중식 서양화가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 올해의 작가 대상 수상자 선정
  2.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3.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4.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5.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