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C플랫폼 지자체-대학 동반성장 포럼] 라이즈 체제 속 'DSC공유대학의 미래' 전문가 머리맞대

  • 사회/교육

[DSC플랫폼 지자체-대학 동반성장 포럼] 라이즈 체제 속 'DSC공유대학의 미래' 전문가 머리맞대

DSC지역혁신플랫폼 11일 롯데시티호텔서 주제발표와 패널 토론
충청권 메가시티와 DSC공유대학의 미래 지자체-대학 함께 논의
김용기 총괄센터장 "플랫폼 구성원들 충청광역연합 마중물 역할"

  • 승인 2024-10-13 19:35
  • 신문게재 2024-10-14 4면
  • 오현민 기자오현민 기자
KakaoTalk_20241013_094046205_06
김용기 DSC지역혁신플랫폼 센터장이 개회사를 통해 DSC공유대학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사진=오현민 기자
기존 정부의 재원을 바탕으로 대학서 총괄하던 DSC공유대학이 지자체 관리체제로 전환될 예정인 가운데 이전과 같은 지원이 이뤄질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대전·세종·충남 소재 대학이 연합한 DSC지역혁신플랫폼은 혁신인재 양성을 위해선 지원 유지가 절실하다며 입을 모으고 있다.

DSC지역혁신플랫폼은 11일 오전 10시 롯데시티호텔 대전 크리스탈 볼룸에서 충청권 메가시티와 DSC공유대학의 미래를 주제로 '지자체-대학 동반성장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진행된 포럼에선 DSC공유대학 관계자와 RISE(라이즈)사업 주체인 지자체 관계자가 함께 공유대학의 미래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진행된 포럼은 김용기 DSC지역혁신플랫폼 총괄운영센터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주휘정 박사, 이재권 충북지역혁신플랫폼 본부장, 박용한 DSC지역혁신플랫폼 본부장의 주제발표와 패널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김용기 센터장은 개회사를 통해 DSC 공유대학의 미래와 충청광역연합의 출범이라는 두 가지 주요 이슈를 강조했다. 김 센터장은 "DSC지역혁신플랫폼 사업은 모빌리티 소부장사업, ICT사업, 대학교육혁신사업, 지역혁신 자율사업으로 구성돼 있다"라며 "특히 DSC공유대학은 자랑할 만한 성과를 보여주고 있지만 라이즈 체계로의 전환으로 인해 현재 재학생들의 미래가 불투명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12월 비수도권 최초의 특별지방자치단체인 충청광역연합이 출범한다"며 "DSC 지역혁신플랫폼은 2021년부터 충청권 메가시티 기반 구축을 목표로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해 왔고 이 경험이 충청광역연합 구성의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KakaoTalk_20241013_094046205
김용기 DSC지역혁신플랫폼 센터장을 비롯해 포럼에 참여한 관계자들이 DSC공유대학의 희망찬 미래를 소망하며 단체사진을 찍었다./사진=오현민 기자
주제발표자로 나선 주휘정 연구위원은 라이즈 체제에 따른 충청권 대학 공유협업의 방향과 과제에 대해 '뭉쳐야 산다'고 강조했다. 주 연구위원은 "라이즈 체제로 전환되더라도 공유와 개방을 통한 RIS 형태를 지속 유지하며 대학과 기업이 상호협력 교류를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부처의 제도를 통해서 기업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해주는 것 또한 지자체의 몫"이라며 "며칠 남지 않았지만 예산을 편성해 각 시도에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용한 본부장은 라이즈 체제 전환기에 놓인 DSC공유대학의 현황과 직면한 과제를 공유했다. 박 본부장은 "공유대학의 핵심적인 성과는 9개의 지역혁신플랫폼에서 운영하는 공유대학 중 최초로 공동학위증을 수여하고 있다"며 "지·산·학·연 특화 교육과정을 원활하게 연계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부 기업체는 RIS사업이 끝나고 라이즈로 전환된다고 하니, 처음엔 의욕적으로 참여했다가 최근 들어서는 내년 상황보고 하자"는 입장을 보인다며 안타까움을 표했다.

이재권 본부장은 충북의 PRIDE공유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라이즈 체제에서 공유대학 운영방안에 대해 조언했다. 이 본부장은 "대학이 단지 대학으로써 지식만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정부, 대학, 산업, 시민사회가 함께 상생하며 지식뿐만 아니라 관계적 대학, 기업가적 대학, 참여적 대학으로 거듭나야 하는 마인드로 변하고 있다"며 "이러한 것을 아우르기 위해 실시했던 게 RIS고 그것과 연계된 것이 라이즈다"라며 공유대학 존속 필요성을 강조했다.

DSC지역혁신플랫폼은 2021년 6월부터 기업체 맞춤형 학사구조·교육과정 개편 등 종합적인 교육 혁신과 DSC공유대학 운영 등 대학교육 혁신에 나서고 있다. 또 지역혁신을 골자로 대전의 연구 역량, 충남의 제조 인프라, 세종의 자율주행 시범 국가사업을 연계한 충청권 모빌리티 산업의 혁신을 이끌고 있다.

KakaoTalk_20241013_094046205_04
이재권 본부장이 충북지역혁신플랫폼의 사례를 설명하고 있다./사진=오현민 기자
대전·세종·충남도와 충남대·공주대 등 24개 대학, 현대차·삼성전자·한국자동차 연구원 등 24개 혁신기관과 255개 기업이 참여하는 해당 플랫폼은 4년간 2678억(국비 1875억·지방비 803억)원의 사업비로 운영되고 있지만 2025년 2월 28일부로 일몰 예정이고 이후엔 지자체가 주도해 대학 재정을 지원하는 라이즈 사업으로 전환된다.
오현민 기자 dhgusals2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애터미 '사랑의 김장 나눔'… "3300kg에 정성 듬뿍 담았어요"
  2.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3.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대전서도 관심을" 일본 와카사철도 임원 찾아
  4. 전기차단·절연 없이 서두른 작업에 국정자원 화재…원장 등 10명 입건
  5. 30일 불꽃쇼 엑스포로 차량 전면통제
  1. <인사>대전시
  2. 충남대-대전시 등 10개 기관, ‘반려동물 산업 인재 양성 업무협약’
  3. 대전시 제2기 지방시대위원회 출범
  4. 김태흠 충남지사, 천안아산 돔구장 건립 필요성·추진 의지 거듭 강조
  5. 대전시, 반려동물산업 육성에 힘쏟는다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공무원 복종의무` 삭제추진에 대전 관가 설왕설래

李정부 '공무원 복종의무' 삭제추진에 대전 관가 설왕설래

이재명 정부가 국가공무원법상 '공무원의 복종 의무'를 삭제하는 개정안을 입법예고 한 것을 둘러싸고 지역 관가에서 설왕설래가 뜨겁다. 일선 현장에선 76년 만에 독소조항 폐지 기대감으로 공정하고 투명한 공직 문화 정착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 속에 환영기류가 우세하다. 하지만, 지방자치단체장 일각에선 개정안 국회 통과 때 자칫 지휘체계가 휘청이면서 오히려 주민 불편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26일 대전 지역 공직사회에 따르면 인사혁신처가 전날 입법 예고한 국가공무원법 상의 '공무원의 복종 의무'를 삭제하는 개정안을 둘..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대전시는 26일 시청 응접실에서 대전관광공사, ㈜인섹트바이오텍과 함께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를 위한 공동브랜딩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캐릭터 중심의 제품을 넘어 지역 재료·스토리·생산기반을 더 촘촘히 담아야 한다는 취지로 대전의 과학·바이오 정체성을 상품에 직접 반영하려는 시도다. 이번에 출시 준비 중인 '꿈돌이 닥터몽몽'은 인섹트바이오텍의 연구 포트폴리오로 알려진 자연 유래 단백질분해효소(아라자임) 등 바이오 효소 기술을 반려동물 간식 제조공정 단계에 적용해 기호성과 식감 등 기본 품질을 고도화한 것이 특징이다. 인섹..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열띤 경쟁 속에서 펼쳐진 공주시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25일 공주환경성건강센터에서 공주시와 중도일보가 주최·주관한 '2025 공주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열렸다. 이날 행사는 안전에 취약한 어린이들이 안전 상식을 재밌는 퀴즈로 풀며 다양한 안전사고 유형을 학습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74명의 공주지역 초등학생들이 대회에 참가해 골든벨을 향한 치열한 접전을 펼쳤다. 본 대회에 앞서 심폐소생술 교육이 먼저 진행되자 학생들은 교사의 시범을 따라가며 "이렇게 하는 거 맞나요?"라고 묻거나 친구에게 압박 리듬을 맞춰보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