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 기고] 대전·충청의 '한강'을 기다리며-첫 노벨 문학상을 맞는 감회

  • 오피니언
  • 여론광장

[특별 기고] 대전·충청의 '한강'을 기다리며-첫 노벨 문학상을 맞는 감회

조성남/대전문학관장

  • 승인 2024-10-13 10:11
  • 수정 2024-10-13 14:57
  • 신문게재 2024-10-14 3면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KakaoTalk_20241012_102320283
조성남/대전문학관장
해마다 노벨상의 계절이 오면 언론의 단골 이슈가 '우리는 언제 노벨문학상을 받을 수 있을 것인가'였다. 얼마 전까지 이 논의가 나올 때마다 한국문학이 과연 노벨상을 받을 수 있을 만큼 세계적 수준에 이르고 있느냐의 논쟁이 일어나곤 했고, 그런 속에서도 우리나라의 문인 몇 명이 노벨문학상 후보로 거론된다는 뉴스가 흘러나왔다. 올해 역시 비슷한 뉴스가 나오려니 했는데 10일 저녁 8시 소설가 한강(53)이 우리나라 작가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는 놀라운 소식이 전해졌다. 문인들은 물론이고 우리나라 국민 대부분이 한국 문학사의 새로운 장이 열렸다고 밤새 축하와 기쁨을 함께 했다.

많은 국민들이 말했듯이 우리가 그토록 고대하던 첫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나온 것은 여러 면에서 우리나라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첫째는 그동안 다른 나라에 비해 저평가되었던 한국문학이 본격적으로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는 점이다. 역사적으로 우리나라는 조선 시대 500년간 숱한 선비들이 문집을 남겼고, 근·현대기 100여 년의 온갖 풍상 속에서도 이를 재료로 한 신문학의 고된 작업을 마다하지 않은 많은 문인들이 있었음을 기억하고 있다. 이런 생각이 자화자찬일 수도 있겠으나, 우리보다 외국 평자(評者)들의 지적이고 보면 오늘의 노벨문학상은 이러한 오랜 문학적 전통이 한강 작가를 통해 이루어졌다면 지나친 해석일까.

또 하나는 세상의 모든 상이 그러하듯 노벨상의 평가척도 또한 한나라의 국력이라든지 하는 외부적인 요인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이다. 주지하다시피 한국의 경제적 수준은 세계 10위에 오를 만큼 이미 세계가 부러워하는 상황이며 K-pop을 비롯한 한류가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고, 한글을 배우려는 열기 또한 전세계에서 일고 있다. 우리가 알지 못하는 사이 한국은 이제 세계가 부러워하는 국가가 되었고, 전 세계를 휘감고 있는 한류와 한글이 노벨상에 영향을 끼쳤다고 해서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이번 노벨위원회의 수상 소식 발표도 한글로 표기했다)

이런 분석보다 더 중요한 것은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으로 우리의 꿈많은 문학소녀, 소년이 더 많아질 가능성이라고 생각한다. 갈수록 독서율이 떨어지는 현실 속에서 스마트폰을 통한 SNS로 '깊이 읽기'와 '생각과 상상력'이 점점 고갈되는 세태를 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문학 인구 또한 격감하는 게 요즘의 현실임을 부인하기 힘들다. 이런 흐름 속에서 한강 작가의 수상 소식은 문학 인구의 저변확대에 하나의 계기가 아닐 수 없으며 이는 곧 우리의 문화 수준이 그만큼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은 문학이 모든 문화예술의 기초이기 때문이며 문학의 진흥은 자연스럽게 문화발전의 동력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쯤에서 눈을 우리 대전지역으로 돌려보자. 오늘날 대전에는 크고 작은 많은 문학단체가 있으며 여기에서 활동하고 있는 문인 수는 2000여 명에 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들 문학단체에 가입하지 않고 문학 활동을 하는, 또는 예비문인들 역시 적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대전은 조선 시대 기호유학의 중심지로 숱한 선비와 문사들을 배출한 역사적 뿌리가 있고, 도시로서의 역사가 100여 년에 불과한 도시지만 해방 전후부터 신문학의 적지 않은 역사를 지녀왔다. 따라서 이번 노벨문학상을 계기로 이제 대전문학도 '세계 속의 대전 문학'으로 성큼 나가야 한다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한국문학이 '세계 속의 한국문학'으로 평가받게 된다면 대전문학도 그 대열에 끼일 수 있도록 문학적 역량을 배양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책당국의 지원과 시민의 관심 그리고 무엇보다 문인들의 그치지 않는 창작열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다른 예술 분야도 마찬가지지만, 문학은 결국 고독한 작업이며 자신과의 끝없는 대결로 이루어지는 '고통의 산물'이다. 이런 창작의 산물인 문학이 시민들로부터 호응을 얻어 독자가 많아지고, 동시에 그런 문인들을 배출할 수 있는 풍토를 마련해주는 것은 정책당국의 몫이다. 전국의 많은 지자체가 '상주 작가 지원제도'를 펼치고 있는 건 이런 맥락이라고 하겠다. 대전도 차제에 작가가 글쓰기에 전념할 수 있도록 더 많은 창작의 공간을 마련해 주었으면 한다.

대전은 지금 새로운 문예 부흥을 꿈꾸고 있고, 문화도시로 가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런 흐름 속에서 한강과 같은 노벨상 후보 작가를 배출할 수 있다면 대전의 문화적 위상은 그만큼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런 날이 오기를 목 놓아 고대해 본다.

조성남/대전문학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광역시도 통합으로 균형발전…대전충남 우선고려"
  2. [사람내음] 19살부터 30년 간 동네 치안 파수꾼… 유성철 태평1동 자율방범대장
  3. 한국자유총연맹, 설맞이 사랑의 나눔 행사
  4. '국립세종수목원', 한국관광 100선...세종시 효자 관광지
  5. [사설] 공공공사 발주, 지역경제 숨통 트이길
  1. 대전가정법원 공주지원, 면접교섭센터 개소식 개최
  2. 세종시 은하수공원 화장시설, 1월 23일부터 확대 운영
  3. [사설] 대전·충남, 소상공인 적시 지원 중요
  4. 충청권 초미세먼지 주의보 이번주 계속될듯
  5. 대전교육청 교권침해 민원 대응 시스템, 실효성 부족에 현장 불만 증대

헤드라인 뉴스


대전교육청, 유치원 화재 예방 허술… 공사립 유치원 중 스프링클러 없는 곳 무더기

대전교육청, 유치원 화재 예방 허술… 공사립 유치원 중 스프링클러 없는 곳 무더기

교육시설의 자동소화장치(스프링클러) 설치가 의무화된 가운데 대전교육청이 관리하는 유치원의 화재 안전 대책은 허술한 실정이다. 대전교육청은 사립유치원의 스프링클러 설치 유무조차 파악하지 않고 있어 화재 위험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23일 대전교육청 등에 따르면 대전 국공립유치원 92곳 중 31곳은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았다. 지역 사립유치원은 대전교육청의 관리·감독하에 운영되고 있지만 스프링클러 설치 지원 대상엔 포함되지 않았다. 앞서 21일 교육부는 '교육시설 등의 안전 및 유지관리 등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령안을 심의·..

충남에서 서울역가는 철도, 이제 연결한다… 서해선-경부선 연결사업 예타 통과
충남에서 서울역가는 철도, 이제 연결한다… 서해선-경부선 연결사업 예타 통과

서해선 복선전철-경부고속철도 연결 사업이 예비 타당성 조사를 통과하면서 조성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충남도는 23일 열린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 심의에서 서해선 KTX 연결 사업이 예비 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서해선 복선전철이 개통은 했지만, 일부 경기도 서화성 이후 단절된 구간을 서울역과 용산역까지 잇는 대안으로 철도 연결이 본궤도에 오르는 것이다. 노선은 경기 평택 청북 서해선에서 화성 향남 경부고속선까지 상하행 7.35㎞로, 총 투입 사업비는 2031년까지 7299억 원이다. 이번 예타에서 서해선 KTX..

설 명절 이후 충청권 아파트 3870세대 입주… 전국 물량 18% 차지
설 명절 이후 충청권 아파트 3870세대 입주… 전국 물량 18% 차지

설 명절 이후 충청권에서 3800여 세대가 집들이를 예고했다. 전국적으로는 2만여 세대가 입주에 나선다. 23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올해 2월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은 37개 단지, 2만 1404세대로 전월(3만 3723세대)보다 크게 줄었다. 특히 수도권의 입주 물량이 7250세대로 전월(1만 3980세대)의 절반 수준에 그치며, 2024년 7월(2318세대) 이후 가장 적은 수치를 기록했다. 지방에서는 전체의 66%에 해당하는 물량이 입주를 앞두고 있다. 충청권은 3870세대가 입주를 예고했는데, 이는 전국 물량의 1..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완공 앞둔 대전 한화생명볼파크 현장 설명회 완공 앞둔 대전 한화생명볼파크 현장 설명회

  • 세뱃돈 봉투는 ‘고향사랑기부제’ 홍보 봉투로 세뱃돈 봉투는 ‘고향사랑기부제’ 홍보 봉투로

  • 명절 앞 활기찬 농수산물도매시장 명절 앞 활기찬 농수산물도매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