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코스모스 명소 '어진정원'도 있다...입동에도 만개

  • 정치/행정
  • 세종

세종시 코스모스 명소 '어진정원'도 있다...입동에도 만개

2024년 어진동 행정복지센터 주축, 주민 숙원사업으로 꽃 식재
비알티 중심도로와 산업통상자원부 인근 도심 한복판 이채로운 풍경
7월 백일홍 이어 9~10월 코스스모 장관...늦가을 마지막 힐링 타임

  • 승인 2024-11-07 14:09
  • 수정 2024-11-07 14:31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KakaoTalk_20241106_165226664_02
11월 7일 입동에도 활짝 핀 코스모스가 세종시 어진동 한복판을 수놓고 있다. 사진=이희택 기자.
"2023년 세종시의 코스모스 핫플레이스가 된 금남면 용수천. 2024년엔 어진동 산업통상자원부 앞 어진공원으로 오라."

어진동 행정복지센터가 주민 숙원사업으로 추진해온 '도심 속 꽃단지' 사업이 늦가을 시민들의 힐링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 LH와 지난 3월부터 11월까지 어진동 유휴부지 587~588번지 9132㎡(2700여 평) 부지에 대한 임대차 계약을 맺고, 지난 6월 백일홍에 이어 9월부터 왜성 코스모스 정원을 선보이고 있다.



이 곳 정원이 눈길을 끄는 이유는 나성동~어진동으로 이어지는 비알티(BRT) 중심도로에서 조망이 가능하고, 정부세종청사 유휴 부지를 활용한 데 있다. 그동안 풀숲으로 방치된 곳이 새로운 명소로 탈바꿈하면서, 정원도시 가능성도 엿보게 하고 있다. 청사 공직자들도 창밖으로 꽃밭을 볼 수 있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보고 있다.

백일홍2
지난 여름 또 다른 힐링 장소를 선사한 어진공원.도심 한복판의 백일홍이 피어 있는 모습이 이채롭게 다가왔다. 사진=어진동 주민센터 제공.
5월에 파종한 백일홍은 여름철 개화하며 시선을 사로 잡았고, 9월에 파종한 코스모스도 만개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올해 금남면 용수천이 기후 변화와 상강(서리가 내리는 날)을 보내며 작년 만큼의 코스모스 군락지 위용을 보이지 못한 가운데 어진공원이 보완재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행정복지센터는 이 같은 호응에 발맞춰 10월 26일 그네형 의자를 추가로 설치하고, 하나 되는 뜰과 연세엔젤스 합창단과 함께 하는 합창제를 열기도 했다.

일상에서 작은 여유를 가져다주는 꽃밭 정원이 세종 국제정원박람회 논란과 맞물려 지역 내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을 지 주목된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KakaoTalk_20241106_165226664_10
어진공원의 현재 모습.
KakaoTalk_20241106_165226664_15
어진공원 코스모스와 주상복합이 한데 어우러져 새로운 광경을 표현하고 있다.
KakaoTalk_20241106_165226664_18
산업통상자원부 앞에 펼쳐진 코스모스 풍광.


KakaoTalk_20241106_165226664_21
비알티 라인에서 내려다보이는 코스모스 풍경.
KakaoTalk_20241106_165226664_08
어진정원의 입구.
KakaoTalk_20241106_165226664_19
어진정원에 설치된 그네형 의자.
KakaoTalk_20241107_142906088
금남면 용수천 코스모스 명소. 사진=이희택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천 미추홀구, ‘시 특색 가로수길 평가’ 최우수기관 선정
  2.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3.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4.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5.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1. 대전을지대병원, 바른성장지원사업 연말 보고회 개최
  2. [종합]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차세대중형위성 3호 양방향 교신 확인
  3. 대전상의, 청양지회-홍성세무서장 소통 간담회 진행
  4.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5. 대전기상청, 폭설 재난문자 신설하고 지진 조기경보 강화

헤드라인 뉴스


도시 체질개선 통한 `NEXT대전` 만들기 집중

도시 체질개선 통한 'NEXT대전' 만들기 집중

민선 8기 대전시가 도시 체질을 완전히 개선하며 'NEXT대전' 만들기에 집중하고 있다. 근대도시를 거쳐 철도 중심 도시와 과학도시를 거치면서 150여만명의 인구가 살아가는 대전에 공간은 물론 산업과 문화 구조를 변화시키며, 미래 일류도시로 나아가고 있다. 대전시는 기존에 갖고 있던 대덕특구를 기반으로 한 과학도시에서 6대 전략 산업 'ABCD+QR(나노·반도체, 바이오, 우주, 국방, 양자, 로봇·드론)'을 중심으로 육성하면서 기술 사업화에 초석을 만들어 가고 있다. 이를 뒷받침 할 수 있게 안산, 교촌, 원촌, 장대도첨, 탑립·..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