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외식비 김치찌개 전국 1위... 비빔밥도 1만원 시대 지역민 부담

  • 경제/과학
  • 지역경제

대전 외식비 김치찌개 전국 1위... 비빔밥도 1만원 시대 지역민 부담

대전 김치찌개 백반, 전국서 가장 비싼 음식
비빔밥도 전국서 네 번째로 가격 가장 높아
삼겹살은 서울 다음으로 최고... 지역민 부담

  • 승인 2024-11-12 17:03
  • 신문게재 2024-11-13 5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외식비싸
대전 외식비가 나날이 고공행진 중이다. 비빔밥은 1만원까지 올라섰고, 김치찌개 백반은 전국에서 가장 비싼 것으로 조사돼 지역민들의 외식 부담이 커지고 있다.

12일 한국소비자원이 운영하는 가격정보 종합포털사이트 참가격에 따르면 10월 대전 외식 대표 품목은 전국에서 가장 비싸거나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등 높은 가격으로 집계됐다. 대전 김치찌개 백반은 9700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비싸다. 대전 김치찌개백반은 1년 전(9300원)보다 400원 오르며 인상률이 컸다. 이는 제주(9625원), 전북(9100원), 서울(8192원)보다 대전이 비싼 수준이다. 점심시간 가장 많이 찾는 음식이라는 점에서 지역민에게 부담이 되는 이유다. 비빔밥도 대전은 1만원으로, 전북(1만 1600원)과 서울(1만 1038원), 광주(1만 300원)에 이어 네 번째로 가장 비싸다.

여름철 대표 음식인 대전 냉면 가격은 9월 1만 600원에서 10월 1만 800원으로 200원 인상됐다. 서울(1만 1923원)과 부산(1만 1000원), 대구(1만 917원), 인천(1만 833원)에 이어 다섯 번째다.

회식과 가족외식의 단골 메뉴인 삼겹살 가격도 요지부동이다. 대전의 삼겹살 가격은 200g 당 1만 8333원으로, 서울(2만 83원)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비싸다. 가격이 높게 형성된 제주(1만 7944원)보다도 높은 가격이다. 이에 반해 대전에서 가까운 충북의 경우 전국에서 가장 저렴한 1만 4340원이다. 4인 가족 기준으로 삼겹살을 주문했을 때 대전에선 7만 3332원이지만, 충북에선 5만 7360원이다. 둘의 차이는 1만 5972원이다. 대전에선 음료와 주류 등을 합치면 10만원이 훌쩍 넘어서게 된다.



재료비와 인건비, 가게 임대료, 전기·수도세 등이 꾸준하게 인상되며 서민들이 부담 없이 한 끼로 즐기던 면 요리가격도 급격하게 오르는 추세다.

대전의 자장면 가격은 10월 기준 한 그릇에 7000원으로, 1년 전보다 300원 올랐고, 칼국수의 경우 이 기간 7800원에서 8100원으로 올랐다. 2014년 10월 자장면의 가격은 4400원이었고, 칼국수는 5400원이었다. 현재와의 격차는 자장면이 59%, 칼국수는 50% 각각 오른 수준이다. 지역 외식비는 평균 가격으로, 중식당은 자장면 한 그릇에 1만원을 넘게 받는 곳도 많다. 칼국수 역시 1만원을 받는 곳이 대다수이다.

외식비가 나날이 오르자 지역민들의 부담도 덩달아 커지고 있다. 직장인 김 모(47) 씨는 "한 달에 두 세 번은 가족끼리 외식을 하거나 회식도 자주 했던 거 같은데, 요즘엔 물가가 너무 오르다 보니 그러지도 못하고 있다"며 "점심도 1만원짜리 한 장으로 부족한 경우가 많아 저녁은 되도록 집에서 해결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세종시 제천서 실종된 40대 남성… 여전히 행방묘연
  2. 이장우 "3대하천 준설 덕에…더는 물난리로 불편 없도록"
  3.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재선출'
  4. 천안교육지원청, 호우 특보 관련 비상대책회의 개최
  5. "위험경고 없었다" 금산 수난사고 주장 엇갈려
  1. 19일까지 충청권에 180㎜ 더 퍼붓는다…침수 피해 '주의'
  2. 대전천 휩쓸린 50대 숨진채 발견…대전충남 폭우 4명 사망
  3. 새솔유치원, '북적북적 BOOK 페스티벌'로 독서 문화 선도
  4. [문예공론] 점심 사냥
  5. 8년간 재활용품 수집으로 모은 1천만원 기부한 86세 이형진 할아버지

헤드라인 뉴스


정청래 62.7% 충청서 기선제압 …與 당권주자들 해수부 논란엔 `침묵`

정청래 62.7% 충청서 기선제압 …與 당권주자들 해수부 논란엔 '침묵'

더불어민주당 8·2 전당대회 첫 지역 순회 경선인 충청권 권리당원 선거인단 투표에서 정청래 후보가 62.77%의 득표율로 중원을 민심을 잡으면서 기선을 제압했다. 그러나 정작 충청권 강력 반발하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논란에 대해 당권 주자와 최고위원 등 세 명의 후보 모두 한마디도 하지 않아 지역 민심을 외면했다는 비판이 거세다. 19일 민주당에 따르면, 충청권 권리당원 투표 결과 정청래 후보가 3만 5142표(62.77%)를 획득하며 2만 846표(37.23%)를 얻은 박찬대 의원을 큰 격차로 제쳤다. 투표에는 전체 권리당..

제10회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 18일부터 나흘간 개최
제10회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 18일부터 나흘간 개최

올해로 10회를 맞은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KITS:Korea International Tourism Show)가 18일부터 21일까지 나흘간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 7홀에서 열린다.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와 KITS조직위원회가 공동 주최하고 ㈜한국전시산업원이 주관하는 이번 박람회는 국내외 관광업계 정보 제공의 장과 관광객 유치 도모를 위한 비즈니스의 장을 마련해 상호 교류의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KITS는 관광객 유치를 위해 지역별 특색을 살린 여행 콘텐츠와 국제 관광도시 및 국가 홍보, 국내외 관광 콘텐츠 간 네트워..

[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우리에게 달콤한 꿀을 선사해주는 꿀벌은 작지만 든든한 농사꾼이기도 하다. 식탁에 자주 오르는 수박, 참외, 딸기 역시 꿀벌들의 노동 덕분에 먹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 공급의 약 90%를 담당하는 100대 주요 농산물 중 71종은 꿀벌의 수분 작용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꿀벌들이 사라지고 있다. 기후변화와 '꿀벌응애'라는 외래종 진드기 등장에 따른 꿀벌 집단 폐사가 잦아지면서다. 전국적으로 '산소호흡기'를 들이밀듯 '꿀벌 살리자'라는 움직임이 일고 있으나 대전 지역 양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위험한 하굣길 위험한 하굣길

  •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