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조산아·저체중 ‘이른둥이’ 지원 대폭 강화”

  • 정치/행정
  • 국정/외교

윤 대통령, “조산아·저체중 ‘이른둥이’ 지원 대폭 강화”

2023년 이른둥이 2만8천명… 달라진 사회 환경에 맞게 출산·치료·양육 전 과정 지원
현재 최대 1천만원인 의료비 한동 대폭 상향… 전문 코디네이터 17개 시·도 확대
서울성모병원서 이른둥이 건강한 성장 지원 간담회 주재

  • 승인 2024-11-28 13:39
  • 수정 2024-11-28 13:42
  • 윤희진 기자윤희진 기자
20241128028530_PYH2024112806230001300_P2
윤석열 대통령이 28일 서울성모병원에서 '이른둥이의 건강한 성장 지원을 위한 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 대통령은 28일 임신 37주 미만에 태어난 조산아와 2.5㎏ 미만의 저체중 출산아를 지칭하는 ‘이른둥이’에 대한 지원을 대폭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올해 9월 국내 최초로 자연임신으로 생긴 다섯 쌍둥이가 입원해 있는 서울성모병원을 방문해 마련한 간담회에서다.



윤 대통령은 “사회 환경이 크게 바뀌어서 요새는 이른둥이 출산이 아주 많이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에만 2만8000명에 달했다”며 “이른둥이에 대한 출산과 치료, 양육 전 과정에 대한 지원을 대폭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선 통합 진료를 제공하는 모자의료센터를 중앙과 권역, 지역에 단계별로 설치해 충분한 인력을 확보하고, 임산부의 응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의료기관 간 핫라인으로 연결된 모자 의료 네트워크를 구축하겠다고 했다.



또 “이른둥이는 수개월 동안 인큐베이터에서 여러 합병증 치료받는 경우가 많아 부담이 많이 되고 있다”며 현재 최대 1000만원까지 지원되는 의료비 지원 한도를 대폭 상향하겠다고도 밝혔다.

이와 함께 퇴원 후에도 이른둥이의 장기간 꼼꼼한 관리를 위해 현재 6개 광역지자체에서 시행 중인 전문 코디네이터를 내년부터 전국 17개 광역지자체로 확대하겠다고 했다.

또 현재 건강보험 본인 부담 경감 기한과 방문 건강관리 지원 기한이 전부 출생일을 기준으로 돼 있어 장기간 인큐베이터에 있는 이른둥이는 제때 서비스를 받지 못했다는 점을 언급하며 “조산이 되면 거의 병원에서 집으로 퇴원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해서 서비스 기한을 산정하도록 늘리겠다”고 말했다.

20241128028530_PYH2024112806240001300_P2
윤석열 대통령이 28일 서울성모병원에서 열린 '이른둥이의 건강한 성장 지원을 위한 간담회'에서 참석자 소개에 박수치고 있다. 연합뉴스
의료진을 향해선, 이른둥이를 비롯한 신생아와 고위험 산모 집중 치료실에 대한 보상 강화와 1.5kg 미만 소아 대상 수술 등 고난도 의료행위에 대한 수가 인상을 약속했다.

윤 대통령은 “소아 분만과 같은 필수 중의 필수의료 분야를 지원하기 위해 지역 소아 의료서비스 체계를 개선하고 보상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며 “의료 인력 확충과 의료사고 안전망 구축, 지역 필수의료 강화 등에 5년간 30조원 이상을 투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간담회 후 돌을 맞이할 다섯 쌍둥이와 최근 두 돌을 맞이한 세쌍둥이 등 8명의 아이에게 한복을 선물했다.

서울=윤희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2.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3. 고양시, 2026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4.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5.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1.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2.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3. 전국 학교 릴레이 파업… 20일 세종·충북, 12월 4일 대전·충남
  4.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5.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헤드라인 뉴스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대학 경쟁시킨 뒤 차등지원?… ‘서울대 10개 만들기’ 논란

새 정부의 국정과제인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둘러싼 잡음이 끊이질 않고 있다. 전국 거점국립대 9곳 모두 서울대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재정을 집중 지원한다는 방침이지만, 예상과 달리 평가에 따라 일부 대학에 예산을 몰아주거나 차등 지원한다는 얘기가 나오면서다. 여기에 일반 국립대와 사립대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는 건의까지 속출하면서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19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전날인 18일 내년도 예산안을 심의한 국회 예결위 예산소위는 서울대 10개 만들기를 위한 '국립대학 육성' 사업비 심사를 보류한 것으로..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