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미술 아카이브] 1970년대 대전미술의 활동들 '10인초대작가전'

  • 오피니언
  • 대전미술 아카이브

[대전미술 아카이브] 1970년대 대전미술의 활동들 '10인초대작가전'

송미경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

  • 승인 2024-12-02 17:29
  • 신문게재 2024-12-03 19면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48.10인 초대작가전 (1)
《10인초대작가전》 리플릿, 1976 (이미지: 대전시립미술관 제공)
1976년 11월 3일에서 8일까지 5일간 대전문화원 화랑에서 《10인초대작가전》이 개최됐다. 사단법인 대전문화원 주최로 개최된 이 전시에는 서양화 부분에 이인영, 김철호, 이남규, 김수평, 동양화에 조평휘, 김세원, 서예에 정인용, 이곤순 그리고 사진에 성재경, 정헌태 등 10명이 참가했다. 박윤석 원장은 "이 전시는 큰 뜻이 있는 것이 아니라 문예진흥 5개년을 맞이하여 각계각층에서 벌이고 있는 사업에 조금이나마 어깨를 나란히 하고자 금반행사(今般行事)를 마련했다"라며 "특히 이 행사는 문예진흥원과 한국문화원연합회의 후원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새마을 사업의 차원에서 새로운 작품을 모아 전시하는 것으로 오직 미의 창조를 위하여 향토의 전통적 문화를 심고 예술의 경지를 불러일으키고자 함에 이와 같은 행사를 주도한 것이다"라고 전시 의도를 리플릿에 남겼다.

지방문화원은 1945년 해방과 1950년 한국전쟁 이후 미국 공보원(USIS)의 지원과 지역의 뜻있는 사람들이 모여 자발적으로 설립해 운영하기 시작했다. 민족문화재건 운동에 힘을 쏟았던 이 단체는 1961년 말 공보부와 민간문화기관이 연석회의를 열고, 1962년 1월 23일 대전에서 한국문화원연합회 총회를 하여, 그해 8월 8일에 비영리 사단법인체로 출범했으며, 1964년까지 전국의 사설 문화원을 사단법인화 했다. 1965.7.11일에 「지방문화사업조성법」이 제정 시행돼 정부 지원을 받는 법적 단체가 됐다. 이 전시는 1970년대 우리나라 문화정책과 문화원의 역할을 엿볼 수 있는 자료다. 1977년 부터는 『충남작가 초대전』을 명칭을 바꾸어 연례적으로 개최하며 대전미술 발전을 도모했다.

/송미경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연구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항우연 노조, 이상철 원장 사퇴 촉구 "무능과 불성실"… 항우연 입장은?
  2. 경부고속도 '상서 하이패스IC' 10월 내 개통된다
  3. '현충원 하이패스 IC' 재추진 시동…타당성 조사 연말 완료
  4. "석식 재개하라" 둔산여고 14일부터 조리원 파업 돌입… 4~5개교 확산 조짐
  5. [꿈을JOB다! 내일을 JOB다!] 스무 살에 금융기관 취업한 비결은?
  1. 5개월 앞둔 통합돌봄, 새틀짜기 논의 활발 "기관 협의체 만들고 직역 협력모델을"
  2. 명실상부 중부권 최대 캠핑축제… '2025 꿀잼대전 힐링캠프' 활짝
  3. [홍석환의 3분 경영] 올바른 질문이 먼저
  4. 여야, 내년 지방선거 '공천룰' 준비… 충청 정치권 촉각
  5. [기고]안전한 대전시민의 밥상을 위해

헤드라인 뉴스


둔산여고 조리원 파업 재개… 수능 한달앞 학생 피해 불가피

둔산여고 조리원 파업 재개… 수능 한달앞 학생 피해 불가피

1학기 준법투쟁 시작 후 석식(저녁)이 중단된 대전둔산여고 조리원들이 14일부터 급식 파업에 돌입한다. 수능을 30일 앞둔 가운데 노사 양측의 갈등이 극으로 치달으며 학생 피해가 불가피하게 됐다. 13일 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학비노조) 대전지부·대전교육청에 따르면 다음날인 14일부터 대전둔산여고 조리원 9명 중 7명이 급식(중식) 파업에 나선다. 기한은 정해져 있지 않다. 둔산여고 파업에 연대해 노조 간부 등이 속한 4~5개 학교서도 파업에 동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학비노조는 1학기 중단된 석식이 재개되지 않는 데 대해 문제를 제기..

[드림인대전 전국체전 특집-2편] `금메달을 들어라`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드림인대전 전국체전 특집-2편] '금메달을 들어라'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전국체전을 앞둔 대전시체육회 역도팀 훈련장에는 뜨거운 열기가 감돈다. 체육관 바닥을 때리는 육중한 바벨의 굉음 속에도 선수들의 눈빛은 흔들림이 없다. 이들의 목표는 '대전의 힘'으로 금메달을 들어 올리는 것이다. 그 중심에는 대전체고와 한국체대를 거쳐 성장한 전해준 선수와 꾸준한 성적으로 대전 역도의 저력을 이끄는 한지안 선수가 있다. 대전체고와 한국체육대학을 졸업한 전해준(대전시체육회 역도팀) 선수는 고교 시절 제100회 전국체전 역도 인상 부분 금메달을 목에 걸며 유망주로 성장했다. 대학 진학 후 한동안 부상과 재활을 거듭하다..

`2025 대전 빵축제` 더 커진 규모로 찾아온다
'2025 대전 빵축제' 더 커진 규모로 찾아온다

매년 큰 인기를 받은 대전 빵축제가 올해 몸집을 더 키워 찾아온다. 13일 대전관광공사에 따르면 오는 18일부터 19일까지 2일간 대전 동구 소제동 카페거리 및 대동천 일원에서 대전의 102개 빵집이 참여하는 가운데 '2025 대전 빵축제'를 개최한다. 올해로 5회째를 맞는 '2025 대전 빵축제'는 대전관광공사가 주최·주관하고 대전시, 동구청, 대한제과협회대전광역시지회, 성심당이 후원하며, 공식행사, 빵집 컬렉션, 마켓&체험 프로그램, 축하공연, 구매이벤트, 부대프로그램 등 다채롭게 펼쳐진다. 주요행사로 ▲개막식 ▲10m 대형롤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 가을비 머금은 화단 가을비 머금은 화단

  • 추석 지난지가 언젠데… 추석 지난지가 언젠데…

  •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