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흠 "무정부 사태 대한민국… 정치발 IMF 우려"

  • 정치/행정
  • 충남/내포

김태흠 "무정부 사태 대한민국… 정치발 IMF 우려"

6일 출입기자와의 만남 자리서 경제 위기론 언급
의원내각제 등 개헌 통해 권력개혁 주장도

  • 승인 2025-01-06 16:02
  • 신문게재 2025-01-07 4면
  • 이현제 기자이현제 기자
AA7I5339
6일 김태흠 충남도지사가 충혼탑에서 참배를 시작으로 2025년 공식 업무를 시작했다. 사진=충남도 제공
김태흠 충남도지사가 "무정부 사태에 추락하는 경제를 고민하고 대한민국 미래를 함께 고민해야 한다"며 우려했다.

6일 출입기자와의 만남 자리에서 김 지사는 현재 정치권의 무능력과 무책임에 대해 비판하는 동시에 큰 틀에서 개헌을 통한 권력구조 개편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지사는 "우리나라가 미국식 대통령제를 도입하고 있지만, 연방정부에 자치권을 부여하는 형태인 미국과는 다르다. 결국 구조적 문제를 볼 때 (윤 대통령과 12·3 계엄령 관련자 등에 대해) 단죄하는 것이 중요는 하지만 왜 이런 문제가 나왔는지 권력구조를 바꾸는 등 논의가 필요하다"며 "의원내각제 도입을 고민할 시기"라고 말했다.

국회 등 여야 정치권에 대한 비판 목소리도 냈는데, "민주당은 안면몰수하고 이재명 대표 수사 검사 탄핵 등 28번의 탄핵안을 내면서 조기 대선을 위해 혈안이다"며 "윤 정부를 탄생시킨 집권여당 국민의힘도 국정운영 과정과 믿음과 신뢰 부분을 보면 후한 점수를 줄 수는 없다"며 정치권의 책임을 강조했다.



이어 "국정 마비로 인해 국가신인도 하락은 물론 경제적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과거 경제발 IMF보다 현재 정치발 IMF 사태 도래로 더 큰 국가적 혼란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럴 때일수록 정파적 이익 추구를 자제하고 국가와 국민의 미래를 위해 힘을 모아야 한다. 대한민국호라는 미래에 대해 함께 고민하자"고 전했다.
내포=이현제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중·서구 새마을금고 파크골프 어울림 한마당 성황
  2. 청주시에 코스트코 입점한다
  3. 금강환경청, 논산 임화일반산단 조성 환경영향평가 '반려'
  4. 9월의 식물 '아스타', 세종호수·중앙공원서 만나보세요~
  5. 둔산경찰서, 기초질서 확립 교통안전 캠페인 실시
  1. 한남대, 대전 소제동서 로컬 스타트업 Meet-up Day 개최
  2. 대산산단 산업위기대응지역 지정에도 '대기업들은 효과 글쎄'
  3. 대전 양성평등주간 기념식
  4.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경로당 활성화 지원사업' 맞춤형 프로그램 마무리
  5. 대전성모병원 홍유아 교수, 최적화된 신장질환 치료 전략 제시

헤드라인 뉴스


소아과 전문의 절반 수도권에 집중… 환자 당 전문의 편차 2배

소아과 전문의 절반 수도권에 집중… 환자 당 전문의 편차 2배

국내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절반가량이 서울과 경기에 쏠려있는 사이 충청권은 대전 217명, 세종 78명, 충남 175명, 충북 146명으로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소아청소년 인구 1000명당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 격차는 서울 1.15명일 때 충남 0.56명으로 최대 격차(0.59명)를 보였다. 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소아·청소년 의료체계 개선방안연구'에 따르면 2024년 6월 말 기준 전국의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는 6490명으로, 지역별로는 서울(1510명)과 경기(1691명), 인천(350명) 등 수도권이 전체의 56%를..

메가충청스퀘어,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메가충청스퀘어,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대전 도심융합특구의 중심 사업인 '메가충청스퀘어'가 연내 청신호가 켜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부의 공공기관 2차 이전이 초읽기에 들어감에 따라 대전 혁신도시에 자리한 '메가충청스퀘어 사업'의 차질 없는 추진이 중요해지고 있다. 3일 대전시에 따르면 메가충청스퀘어 조성 사업은 대전 역세권 동광장 일원에 연면적 22만 9500㎡, 지하 7층-지상 49층 규모로 컨벤션, 상업·주거시설, 호텔 등 주요 시설을 포함한 건물 2개 동을 짓는 사업이다. 대전역 동광장 일대를 중심으로 조성되는 대규모 복합 개발 프로젝트로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로..

정부, 美 관세 피해기업 긴급경영자금 연말까지 13.6조 푼다
정부, 美 관세 피해기업 긴급경영자금 연말까지 13.6조 푼다

정부가 미국의 관세 조치로 피해를 입은 수출기업에 연말까지 13조6000억원 규모의 긴급경영자금을 공급한다. 대전·세종·충남의 경우 대미 수출기업은 1317곳으로 지역 전체의 30.2%를 차지하는 만큼, 상당수 기업이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3일 관계부서 합동으로 경제관계장관회의 및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美 관세협상 후속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앞서 정부는 미국과 관세협상을 통해 상호관세를 15% 수준으로 낮췄지만, 수출 하방 요인이 여전해 이번 지원대책을 마련했다.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 여력과 자금력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