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 대표는"주변의 어려운 이웃들이 따뜻한 설 명절 보내기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앞으로도 이웃과 함께하는 사회공헌활동을 지속적으로 펼쳐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군은 이날 기부받은 떡국떡을 기부자의 뜻에 따라 지역 취약계층 100여 가구를 찾아 전해드릴 계획이다. 증평=박용훈 기자 jd36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 논란에 앞서 미완의 과제로 남겨진 '여성가족부(서울)와 법무부(과천)'의 세종시 이전. 2개 부처는 정부세종청사 업무 효율화 취지를 감안할 때, 2019년 행정안전부와 함께 동반 이전 필요성이 제기됐으나 이런저런 이유로 미뤄져 6년을 소요하고 있다. 해수부 이전이 2025년 12월까지 일사처리로 진행될 양상이나 여성가족부와 법무부 이전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더불어민주당과 새 정부의 입장도 애매모호하게 다가오고 있다. 2025년 6월 3일 대선 이전에는 '법무부와 여성가족부'의 동시 이전이 추진되던..
전국 최고 수준의 상권 공실에 놓여 있는 세종특별자치시. 코로나 19 이전 과다한 상업용지 공급과 이후 경기 침체와 맞물려 '자영업자의 무덤'이란 수식어가 따라 붙었다. 행정수도란 장밋빛 미래와 달리 지연된 국책사업과 인프라는 상권에 희망고문을 가하기 시작했고, 최고가 낙찰제는 상가 분양가와 임대료의 거품을 키우며 수분양자와 임차인 모두에게 짐이 되고 있다. 세종시가 상권 업종 규제 완화부터 전면 공지(상권 앞 보도 활용) 허용 확대에 나서고 있으나 반전 상황에 이르기에는 역부족이다. 최근 개·폐업의 쳇바퀴 아래 지역 상권의 공실..
실시간 뉴스
36분전
예산군 저수지서 부부 탑승 차량 물에 빠져…40대 남성 숨져37분전
[포토] 대전상의, 글로벌 통상환경 대응방안 설명회37분전
국내 증시 격변 속…충청권 상장사 활약 견고37분전
건설근로자공제회 대전지사, 지역상생 힐링 가족 캠프 운영38분전
유천1구역 지역주택조합 우여곡절 끝 착공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오피니언
사람들
기획연재
추천기사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