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찰 정보] 8월 개막 '대전 0시 축제'… 시, 교통통제 대행 용역 공고

  • 경제/과학
  • 중도 Plus

[입찰 정보] 8월 개막 '대전 0시 축제'… 시, 교통통제 대행 용역 공고

3월 19일 입찰 21일 마감 후 개찰
제안서평가위 평가로 대상자 선정
대전0시축제 8월 8~16일 간 열려
시 "행사 안전적 운영 위해 노력"

  • 승인 2025-03-03 10:54
  • 조훈희 기자조훈희 기자
0시축제
2024 대전0시축제 자료사진.사진=대전시 제공.
대전시는 8월 개막하는 '2025 대전 0시 축제'의 안전을 위해 교통통제 대행 용역 공고에 나섰다.

3일 대전시와 조달청 나라장터 국가종합전자조달에 따르면, 대전시는 2025 대전 0시 축제 기간 동안 원활한 교통 흐름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교통통제 대행 용역 입찰을 공고했다. 입찰은 19일 오전 10시에 시작해 21일 오후 5시에 마감된다. 이 기간 동안 실적심사신청도 제출해야 하며, 입찰참가 자격등록은 20일 오후 6시까지 완료해야 한다. 개찰은 21일 오후 6시다. 개찰 후엔 제안서평가위원회가 제안서 평가를 통해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해 최종 계약을 진행한다.

올해 0시 축제는 8월 8일부터 16일까지 9일간 중앙로(대전역~옛 충남도청, 1km)와 원도심 상권 일원에서 열린다. 행사는 대전의 과거·현재·미래로 떠나는 '시간여행 축제'를 주제로 개막행사와 퍼레이드, 문화공연, 경연대회, 체험·마켓, 이벤트 등을 담아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교통통제 용역 입찰 정보를 보면, 배정 예산은 4억 4956만 원으로 계약 체결일로부터 행사 종료 30일 뒤인 9월 16일까지다. 이 용역은 축제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교통통제 관리를 목적으로 둔다. 교통통제 종합계획을 수립해 실행하며, 중앙로(대전역~옛 충남도청) 약 1㎞ 구간 '차 없는 거리'를 운영하고, 교통 흐름 유지와 보행자 안전 확보 등의 역할을 담당한다.



입찰 참가자격은 최근 10년 이내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또는 민간 발주한 단일 건으로 2억 원(부가가치세 포함) 이상의 축제·문화행사 또는 이와 유사한 행사의 교통통제 대행 완료 실적(하도급 계약 실적도 인정)이 있는 업체다. 이번 입찰은 과업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공동수급 방식을 허용하지 않는다.

제안서 평가는 27일 오전 10시에 이뤄지며, 기술능력평가 80%(정량적 평가+정성적 평가)와 입찰가격평가 20%로 구분해 종합평가한다.

용역은 4월부터 과업을 시작해 착수보고회, 유관기관 협의, 중간보고회 등을 거쳐 8월 6일부터 17일까지 교통 통제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후 결과보고를 통해 사업이 마무리될 전망이다.

시 관계자는 "2025 0시 축제가 8월에 열리는 것은 확정이 됐고, 이번 용역 입찰 등 행사를 준비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진행해 나갈 계획"이라며 "시민불편 최소화와 0시 축제 안전한 운영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항우연 곪았던 노노갈등 폭발… 과기연전 "우주항공청 방관 말고 나서야"
  2. [사설] 공공기관 이전 '희망 고문'은 안 된다
  3. 대전농협, 농업 재해 피해 현장 방문
  4. 옛 파출소·지구대 빈건물 수년씩… 대전 한복판 중부경찰서도 방치되나
  5. 대전 상장기업, 사상 첫 시총 76兆 돌파
  1. 대전시, 통합돌봄시대 준비 본격화
  2. 세종시청 테니스팀 존치… '남녀 4명' 축소 운영키로
  3. 함께 노래하는 대전 의사들 20년 맞이 정기공연…디하모니 19일 무대
  4. 한밭수목원'정원 속에 피어난 야생화'축제 열린다
  5. 지식재산처, 아름다운 상표·한글 디자인에 '오네', '윤800체' 선정

헤드라인 뉴스


대전 생활폐기물 소각량 급증… 재활용률 줄고 매립량 전국 2위

대전 생활폐기물 소각량 급증… 재활용률 줄고 매립량 전국 2위

2050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국가적 목표 설정 및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상향 등 기후변화 대응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어 대전시의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공공재활용시설이 필요해 보인다. 최근 대전연구원이 발표한 '대전시 폐기물부문 온실가스 발생 현황과 감축 방안'을 보면 대전시의 생활폐기물 소각량은 2022년 7만 9651.3톤으로 급증한 후 2023년 9만 6834.7톤까지 증가하는 등 증가 폭이 매우 크게 나타났다. 이는 2023년 기준 전국 광역시 중 4번째로 많은 것이다. 또한 대전시의 생활폐기물 매립..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조선시대 순성놀이 콘셉트로 대국민 개방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3.6km)'. 2016년 세계에서 가장 큰 옥상정원으로 기네스북에 오른 가치는 시간이 갈수록 주·야간 개방 확대로 올라가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의 주·야간 개방 확대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주간 개방은 '국가 1급 보안 시설 vs 시민 중심의 적극 행정' 가치 충돌을 거쳐 2019년 하반기부터 서서히 확대되는 양상이다. 그럼에도 제한적 개방의 한계는 분명하다. 평일과 주말 기준 6동~2동까지 매일 오전 10시, 오후 1시 30분, 오후..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최근 3년간 대학 내 실험실에서 발생한 사고로 매년 2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문정복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시흥갑)이 한국교육시설안전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부터 2025년 8월까지 최근 3년간 전국 대학 연구실 사고로 총 607명의 부상자와 1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같은 기간, 대학 내 실험실 사고로 지급된 공제급여는 총 8억 5285만 원에 달한다. 특히 4월에 매년 사고가 집중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2023년 4월에 33명, 2024년 4월에 32명, 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 나에게 맞는 진로는? 나에게 맞는 진로는?

  •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