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준히 오른다'… 충청권 신규 민간 아파트 분양가 1년 새 소폭 상승

  • 경제/과학
  • 건설/부동산

'꾸준히 오른다'… 충청권 신규 민간 아파트 분양가 1년 새 소폭 상승

전국 평균 평당 분양가 1905만 원 1년 새 7.38% 올라
대전 1773만 원 1년 새 2.85% 늘어… 충남 10.58% ↑
충북 1년 새 분양가 286만 원 ↑ 전국서 비율 가장 높아
"서울 오름세 속 지방도 장기적으로 꾸준히 오를 듯"

  • 승인 2025-03-17 16:51
  • 조훈희 기자조훈희 기자
아파트 게티이미지배앵크
게티이미지뱅크
충청권 신규 민간 아파트 분양가가 1년 새 소폭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충북 지역은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17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발표한 '민간아파트 분양가격 동향'에 따르면 올해 2월 전국 아파트 3.3㎡(평)당 분양가는 1905만 1000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달(1900만 8000원)보다 0.21% 오른 수치다. 1년 전(1773만 8000원)과 비교하면 131만 3000원(7.38%)이 올랐다. 월평균 분양가격은 공표 직전 12개월간 분양 보증서가 발급된 민간 분양 사업장의 주택 중 상가와 오피스텔, 조합원 분양 주택을 제외한 일반 분양주택의 평균 가격을 의미한다.



분양가 상승은 서울에서 두드러졌다. 서울의 아파트 평당 분양가는 4428만 4000원으로, 전월(4413만 2000원)보다 15만 2000원 올랐다. 작년 동월(1145만 7000원)과 비교하면 16.92% 더 비쌌다.

4개시도 평균분양가격표
충청권 4개시도 평균 분양 가격표. 사진=HUG 제공.
충청권 아파트 분양가도 소폭 상승했다. 대전의 평당 분양가는 1773만 8000원으로 전달(1769만 5000원)보다 4만 3000원 올랐으며, 수치로는 0.23% 상승했다. 1년 전(1724만 6000원)과 비교하면 49만 2000원(2.85%) 더 비쌌다. 세종은 1793만 3000원으로 전달과 변동이 없었으며, 작년엔 분양이 없어 비교 대상이 없었다.



충남은 1336만 1000원으로 전달(1319만 3000원)보다 16만 8000원 올랐다. 1년 전(1208만 5000원)과 비교하면 110만 8000원(10.58%)이 상승해 전국에서 네 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충북의 아파트 분양가가 1년 만에 전국에서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2월 평당 분양가는 1459만 5000원으로 1년 전(1173만 2000원)보다 286만 3000원 올랐다. 이 기간 24.4% 오르며 전국에서 오름폭이 가장 컸다. 다만 전달(1489만 9000원)과 비교하면 2.05% 줄었다.

1년 전보다 분양가가 내린 지역은 강원(-0.73%), 전북(-1.77%), 경남(-2.93%) 3곳이다. 그 외 지역의 아파트 분양가는 모두 올랐다.

평균 분양가가 서울을 비롯해 대부분 지역에서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장기적으로 오름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대전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정치적 이슈 등으로 올해 초반부터 분양시장이 요동쳤고, 서울 분양 여부에 따라 전국 평균 분양가가 오르내리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런 움직임 속에서 대전을 포함한 지방에서도 분양가는 꾸준히 올라 장기적으로도 계속 오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중호 "한밭대전, 대전의 고유 e스포츠 축제로 키워야"
  2. [2026 수능] 국어·수학 변별력 있게 출제 예상… 수험생 증가·사탐런·의대정원 조정 등 '변수'
  3. 충청 4개 시도 수험생 5만 5281명 응시… 수능 한파 없어
  4. 서해안 해양치유산업 핵심거점 '태안 해양치유센터' 개관
  5. "시민 빠진 문화행정"…대전시, 수치만 채운 예술정책 도마에
  1. ‘선배님들 수능 대박’
  2. 김영삼 "대덕특구 순환버스 중단 우려"… 산건위 市 교통국 행정사무감사
  3.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4. 이장우 시장 "지방재정 부담 사전협의 및 예타제도 개선 필요"
  5. 한중문화교류회 대전-우한 서화교류전 막 올려

헤드라인 뉴스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국어 '독서'·수학 '공통·선택' 어려워… 영어도 상위권 변별력 확보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국어는 독서가 어렵게, 수학은 공통·선택 모두 까다로운 문항이 배치되면서 수험생 체감 난도가 크게 오른 것으로 분석됐다. 영어도 지난해 수준을 유지했지만 일부 고난도 문항이 포함돼 상위권 변별력을 갖췄다는 평가다. 13일 입시 전문가들에 따르면 국어 영역은 지난해 수능보다 약간 어렵고 9월 모평보다는 부담이 덜한 수준으로 출제된 것으로 파악된다. 독서는 지문 난도가 높았던 반면 문학과 선택과목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구성됐다. 법 해석·담보 기능을 다룬 사회 지문은 개념 추론 과정이 복잡했고,..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축구특별시 대전에서 2년 6개월만에 A매치 열린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14일 오후 8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볼리비아의 친선경기가 개최된다. 13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경기는 2026 북중미 월드컵 본선을 향한 준비 과정에서 열리는 중요한 평가전으로, 남미의 강호 볼리비아를 상대로 대표팀의 전력을 점검하는 무대다. 대전시는 이번 경기를 통해 '축구특별시 대전'의 명성을 전국에 다시 한번 각인시킨다는 계획이다. 대전에서 A매치가 열리는 것은 2년 5개월 만의 일이다. 2023년 6월 엘살바도르전에 3만9823명이 입장했다. 손흥민, 이강인, 김민재 등 빅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다시 찾고 싶은 도시"… ‘노잼도시’의 오명을 벗고 ‘꿀잼대전’으로

한때 '노잼도시'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대전이 전국에서 가장 눈에 띄는 여행지로 부상하고 있다. 과거에는 볼거리나 즐길 거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대전의 관광·여행 만족도와 소비지표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달라졌다. 과학도시의 정체성에 문화, 관광, 휴식의 기능이 더해지면서 대전은 지금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도시'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2025년 여름휴가 여행 만족도 조사'에서 대전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9위를 기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시험장 확인과 유의사항도 꼼꼼히 체크

  • ‘선배님들 수능 대박’ ‘선배님들 수능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