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주 포항시의원 "포항에 국가지진방재센터 건립해아"

  • 전국
  • 부산/영남

김은주 포항시의원 "포항에 국가지진방재센터 건립해아"

시의회 임시회서 5분 자유발언

  • 승인 2025-04-15 16:52
  • 김규동 기자김규동 기자
사진
김은주 포항시의원


김은주 포항시의원이 15일 포항에 국가지진방재센터를 건립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 의원은 이날 제323회 포항시의회 임시회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미래 세대를 위해 포항지진 피해 기록의 체계적인 보존과 재난재해에 대비해야 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김 의원은 "2017년 11월 포항에서 1978년 본격적인 지진 관측 이래 국내에서 경주(2016년 9월 규모 5.8)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규모 5.5의 지진이 발생했다"며 "이로 인해 부상자 118명, 이재민 1797명이 발생했으며 약 846억원의 재산피해를 입었다"고 전했다.



이어 "진원지가 위치한 흥해읍의 주택피해 규모는 1만239세대로 포항시 전체의 약 19%를 차지했으며, 주택 전파와 반파 등 치명적 피해 규모는 518세대로 약 54%를 차지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포항지진이 발생한 지 8년이 지나고 있는 지금, 피해 현장 보존과 기록물 수집이 매우 늦은 것 같아 안타깝다"며 "일본 고베시는 1995년 1월 발생한 고베대지진(사망자 6400명, 규모 7.2)을 기억하기 위해 메모리얼 파크를 조성했다"고 했다. 특히 "복구 과정에서의 교훈과 부흥에 노력한 모습을 후세에 전한다는 목적으로 고베항 메리켄파크의 지진 당시 모습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다"고도 했다.

김 의원은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2011년 규모 6.3, 185명 사망)는 지진 박물관 '퀘이크 시티'를 설립했으며, 대만 타이중시(1999년 규모 7.3, 2415명 사망)은 9월 21일을 기억하기 위해 '921지진교육원구'를 건립했다"고 소개했다.

김 의원은 "일본과 뉴질랜드, 대만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지진피해 현장 및 흔적 보존과 지진방재센터 등의 시설 건립을 통해 단순 기록물 수집을 넘어 사람들에게 오랫동안 기억하며 미래를 대비할 수 있는 영감을 줄 수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포항지진은 단순한 하나의 사건이 아닌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는 일이고 항상 대비해야 하고 극복해야 할 일이다"며 "후세에 용기와 영감을 줄 수 있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포항=김규동 기자 korea80808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SMR 특별법' 공방 지속… 원자력계 "탄소중립 열쇠" vs 환경단체 "에너지 전환 부정"
  2. 충청남도교육청평생교육원, 노인 대상 도서관 체험 수업 진행
  3. 천안법원, 공모해 허위 거래하며 거액 편취한 일당 '징역형'
  4. 엄소영 천안시의원, 부성1동 행정복지센터 신축 관련 주민 소통 간담회 개최
  5. 상명대, 라오스서 국제개발협력 가치 실천
  1. 한기대 김태용 교수·서울대·생기원 '고효율 촉매기술' 개발
  2. 천안법원, 음주운전으로 승용차 들이받은 50대 남성 징역형
  3. [오늘과내일] 더 좋은 삶이란?
  4. 조국혁신당 대전시당, '검찰개혁 끝까지 간다'… 시민토크콘서트 성황
  5. 세종시 '러닝 크루' 급성장...SRT가 선두주자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가까스로 살린 대전미술대전…문화행정은 이제부터 숙제

가까스로 살린 대전미술대전…문화행정은 이제부터 숙제

36년 전통 지역작가 등용문인 대전광역시미술대전이 가까스로 정상화가 가시화됐지만, 이 과정에서 지역 문화행정이 풀어야 할 난맥상도 함께 드러냈다는 지적이다. 행정당국의 집행 관리 부실과 시의회의 검증 미비 등으로 한때 무산위기까지 몰린 것인데 지역 예술계에선 이같은 구조적 허점에 대한 대대적 손질이 불가피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13일 취재에 따르면, 제37회 대전광역시미술대전(이하 대전미술대전)은 대전시립미술관 대관 과정에서 미술관 운영위원회 정족수 미달, 협회 관계인 포함 등 절차상 문제가 한 차례 불거졌다. 시의회 행정사무감..

이진숙 무사 통과할까… 李 정부 초대 장관 14일부터 인사청문
이진숙 무사 통과할까… 李 정부 초대 장관 14일부터 인사청문

이재명 정부 초대 장관과 차관급 후보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대전 출신인 이진숙(60년생) 교육부 장관 후보와 충남 홍성 출신인 임광현(69년생) 국세청장 후보, 오영준(69년생) 헌법재판관 후보가 험로를 넘어설지 주목된다. 더불어민주당은 여러 의혹이 제기된 후보들에 대해 “결정적 문제는 없다”며 엄호 태세를 갖추고 있지만, 국민의힘은 공세 수위를 한층 끌어 올리면서 총공세에 나서고 있다. 국회는 14일부터 18일까지 이재명 정부 초대 장관 후보 16명과 임광현 국세청장 후보, 오영준 헌법재판관 후보 등 18명의 인사청문회를 연다. 첫..

무더위에 수박 한 통 3만원 훌쩍... 농산물 가격 급등세
무더위에 수박 한 통 3만원 훌쩍... 농산물 가격 급등세

여름 무더위가 평소보다 일찍 찾아오면서 수박이 한 통에 3만원을 넘어서는 등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13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대전 수박 평균 소매 가격은 11일 기준 3만 2700원으로, 한 달 전(2만 1877원)보다 49.47%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1년 전 2만 1336원보다 53.26% 오른 수준이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치인 평년 가격인 2만 1021원보다는 55.56% 인상됐다. 대전 수박 소매 가격은 2일까지만 하더라도 2만 4000원대였으나 4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폐업 늘자 쏟아지는 중고용품들 폐업 늘자 쏟아지는 중고용품들

  • 물놀이가 즐거운 아이들 물놀이가 즐거운 아이들

  • ‘몸짱을 위해’ ‘몸짱을 위해’

  •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