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의 민족 포장주문에도 수수료 부과에 대전 자영업자들 '난색'

  • 경제/과학
  • 지역경제

배달의 민족 포장주문에도 수수료 부과에 대전 자영업자들 '난색'

포장 주문 해지하겠다며 반발하는 이들도 다수
불경기에 포장주문이라도 받아야 한다는 의견도
노쇼 우려 탓에 해지 못하는 업주들도 한숨만

  • 승인 2025-04-21 16:18
  • 수정 2025-04-21 18:48
  • 신문게재 2025-04-22 5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배민1
대전 자영업자들이 배달 플랫폼 업계 1위 배달의민족이 포장 주문에도 수수료를 부과키로 하자 난색을 표하고 있다. 일각에선 포장 주문을 해지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치는 이들이 있는가 하면, 전화 주문을 하고 찾아와 결제하지 않는 이른바 노쇼를 방지할 수 있어 어쩔 수 없이 이어갈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며 고충을 호소한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14일부터 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이 포장 주문 서비스에도 중개 수수료 6.8%(부가세 별도)를 부과하자 지역에서도 반발이 커지고 있다. 일부 업주들은 포장 주문 서비스를 해지했다. 대전 서구에서 돈가스집을 운영하는 A 씨는 "손님들이 직접 와서 포장된 음식을 받아 가는 건데, 배달앱 플랫폼으로 주문했다고 수수료를 받아가는 건 이치에 맞지 않다고 판단했다"며 "가뜩이나 불경기에 어려운 상황에서 조금이라도 수수료를 챙겨 먹겠다는 심보가 고약해 16일부터 포장주문은 해지해놨는데, 전화 주문 후 와서 찾아가는 손님들이 있어 그나마 다행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반면, 혼자 홀 서빙과 음식 준비 등을 모두 담당하는 나홀로 사장님의 경우엔 상황이 녹록치 않다고 호소한다. 배달의민족과 요기요, 쿠팡이츠 등 여러 배달 플랫폼이 있지만 배달의민족으로 주문이 들어오는 경우가 많아 해지하면 매출이 줄어들까 전전긍긍이다. 또 전화 주문은 홀로 가게를 운영하는 입장에서 음식을 만들고 포장하고, 서빙까지 해야 하는데, 인력 부족으로 어려울 수 있다고 토로한다. 중구에서 김밥집을 운영하는 B 씨는 "인건비를 충당하기 어려워 주말의 경우 자녀들이 와서 가게를 도와주고 있지만 평일에 손님이 몰려들면 전화로 일일이 주문받기가 어려워 해지하지도 못하고 있다"며 "주변에 같은 분식점을 하는 가게들이 많은데 그곳들은 해지하지 않고 있는걸 보니 이 또한 매출이 줄어들까 어렵다"고 호소했다.

노쇼에 대한 우려 탓에 해지하지 못하는 이들도 있다. 전화 대량 주문의 경우 자영업자 입장에선 환영할만한 하지만 음식을 준비해두고 소비자가 오지 않으면 피해는 고스란히 업주가 부담해야 한다. 다만, 배달 플랫폼에서 배달 주문을 할 경우 우선 결재가 이뤄지기 때문에 이 같은 우려를 줄일 수 있다. 올해 초 10여만 원의 노쇼를 경험한 C 씨는 "포장 주문의 경우 대부분 미리 카드로 결제한 뒤 찾으러 오는 경우가 많은데 혹여라도 오지 않는 경우 미리 결제를 했기 때문에 금전적으로 피해는 입지 않게 된다"면서도 "몇 번 노쇼를 경험하다 보니 해지하기도 그렇고 안 하기도 그렇고 참 답답하다"고 말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하나은행, 대전 지역 소상공인에 총 450억 원 지원
  2. 민주당 '세종시의원' 연이은 징계 수순...요동치는 정가
  3. 대전시의회 조원휘 "일류 경제도시 대전, 더 높이 도약할 것"
  4. 대전대 RISE사업단, 출연연 연계 산·학·연 협력 공동팀 선정
  5. 충남대 도서관 ‘클래식이 스며드는 순간’ 음악회 개최
  1. '여가부' 세종시 이전 전면에...법무부는 어디로
  2. 국립한밭대, 2025년도 석·박사과정생 연구장려금 지원사업 선정
  3. “당신을 노리고 있습니다”…대전 서부경찰서 멈춤봉투 눈길
  4.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5. 김하균 세종부시장 "AI 혁신 행정, 공직자 적극 수용해야"

헤드라인 뉴스


"해수부 산하기관 이전 반대, 당 차원서 요구해야"

"해수부 산하기관 이전 반대, 당 차원서 요구해야"

최민호 세종시장이 5일 여의도 국회에서 장동혁 국민의힘 당대표를 만나 공공기관 이전 정책과 배치되는 해양수산부 산하기관의 부산 이전 계획에 대해 당 차원에서 반대 입장을 표명해줄 것을 건의했다. 이날 면담은 최근 논의되고 있는 해수부 산하기관 이전이 전면 재검토될 수 있도록 당 차원에서 힘을 실어줄 것을 요청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자리에서 최 시장은 해수부 산하기관 이전이 그간 정부가 추진해온 공공기관 이전 정책의 원칙과 논리에 부합되지 않는 만큼 전면 재검토돼야 한다는 뜻을 전달했다. 지난 3일 김민석 총리에게 건의한 원점 회기..

`여가부` 세종시 이전 전면에...법무부는 어디로
'여가부' 세종시 이전 전면에...법무부는 어디로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 논란에 앞서 미완의 과제로 남겨진 '여성가족부(서울)와 법무부(과천)'의 세종시 이전. 2개 부처는 정부세종청사 업무 효율화 취지를 감안할 때, 2019년 행정안전부와 함께 동반 이전 필요성이 제기됐으나 이런저런 이유로 미뤄져 6년을 소요하고 있다. 해수부 이전이 2025년 12월까지 일사처리로 진행될 양상이나 여성가족부와 법무부 이전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더불어민주당과 새 정부의 입장도 애매모호하게 다가오고 있다. 2025년 6월 3일 대선 이전에는 '법무부와 여성가족부'의 동시 이전이 추진되던..

상권 공실의 늪 `세종시`...신도시 첫 `포장마차 거리` 주목
상권 공실의 늪 '세종시'...신도시 첫 '포장마차 거리' 주목

전국 최고 수준의 상권 공실에 놓여 있는 세종특별자치시. 코로나 19 이전 과다한 상업용지 공급과 이후 경기 침체와 맞물려 '자영업자의 무덤'이란 수식어가 따라 붙었다. 행정수도란 장밋빛 미래와 달리 지연된 국책사업과 인프라는 상권에 희망고문을 가하기 시작했고, 최고가 낙찰제는 상가 분양가와 임대료의 거품을 키우며 수분양자와 임차인 모두에게 짐이 되고 있다. 세종시가 상권 업종 규제 완화부터 전면 공지(상권 앞 보도 활용) 허용 확대에 나서고 있으나 반전 상황에 이르기에는 역부족이다. 최근 개·폐업의 쳇바퀴 아래 지역 상권의 공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