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상장기업 다수 부침 거듭...어떤 기업 포진해 있나

  • 정치/행정
  • 세종

세종시 상장기업 다수 부침 거듭...어떤 기업 포진해 있나

최근 HLB와 수젠텍, 제약·바이오 기업으로 주목...화장품 관련 한국콜마도 상종가
유라테크, 프럼파스트, 신신제약, 레이크머티리얼즈, 레인보우로보틱스 부침 거듭
미국발 악재, 국내외 경기 침체, 행정수도 향배 변수 주목

  • 승인 2025-06-01 20:56
  • 신문게재 2025-06-02 11면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명학산업단지
연동면 명학산업단지 조감도. 삼성전기와 HLB 등의 우량 기업들이 포진하고 있다. 사진=세종시 제공.
트럼프발 관세 역풍이 지나가고, 대선 국면에서 행정수도 훈풍이 불고 있는 세종특별자치시.

국내·외 경기 침체 신호는 여전한 가운데 세종시 기업들이 도약의 날개를 펼 수 있을지 주목되는 2025년이다.

중도일보는 이에 주기적으로 상장 기업들의 주가 추이를 살펴보고, 읍면동별 유망 기업들을 소개하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이 같은 시도가 지역경제 활성화와 우리 지역 알기에 작은 보탬이 될 수 있길 기대해본다. <편집자 주>

레이크머티리얼즈
최근 부진한 주가 흐름에놓여 있는 레이크머티리얼즈. 사진=상의 제공.
상반기를 마무리하는 6월 들어 세종시 상장 기업들의 향배는 어디에 있을까.



가장 큰 변수는 역시나 미국발 국제 무역 관계의 변화에 있다. 트럼프 2기 들어 관세 폭탄부터 다양한 시도가 이뤄지면서, 국내를 비롯한 세계 경제는 휘청거렸다. 다행히 현재는 진정 국면에 있으나 언제 또 다른 충격파가 다가올지는 예측불허다.

세종시만 놓고 보면, 일단 긍정적 신호음이 들려온다. 역시나 정치권의 선거 전략에 그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나 거스를 수 없는 역사적 대의가 '세종시=행정수도'로 통하고 있는 흐름은 분명하다. 경쟁 관계의 정당과 대통령 후보군 모두 경기 부양과 주식 시장 안정화를 약속하고 있는 만큼, 저평가 된 국내 기업들의 반전 무드 여지는 있다.

당장의 관건은 행정수도특별법(가)이 올 하반기까지 국회 문턱을 넘을 지로 모아진다. 행정수도특별법이 국회와 대통령 집무실 법안과 같이 여·야 합의로 압도적 다수의 동의를 얻을 경우, 2004년 헌법재판소의 '관습 헌법' 장벽마저 뛰어넘을 공산이 높다. 이는 곧 세종시에 수도 지위가 부여됨을 의미하고, 기업 가치의 상승 곡선은 자연스레 그려질 전망이다.

현재 세종시 상장 기업들의 주가는 이 같은 기본 가치를 선반영한 모습이다.

5월 30일 국내 증시 마감 기준으로 살펴보면, 세종시 기업 주가는 대체로 견조한 상승세를 보이지 못하고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전동면 유라테크는 자동차용 점화 코일과 플러그 등 차량 점화장치 전문 제조 및 판매업체로서 현대차와 기아, 현대모비스 등에 납품하는 이력으로 주목받아왔다. 올 들어 1만 9930원으로 정점을 찍었으나 이후 변동성 장세에 따라 9590선에서 오르락내리락을 반복하고 있다.

연동면 프럼파스트는 플라스틱 선과 봉, 관 및 호스 제조업체로, 행정수도 이전 국면에서 7280원까지 올라섰으나 현재는 3695억 원 안팎에서 거래되고 있다. 소정면에 공장을 두고 있는 신신제약은 올 들어 부진한 모습을 보이다 4월 말 8730원까지 크게 올랐으나 현재는 6120원 선에 있다. 파스 전문업체로서 외용 소염 진통제, 외용 항진균제, 피부연화제, 첩부제 등을 생산·판매하고 있다.

세종상공회의소 김진동 회장이 소유한 전의면 레이크머티리얼즈(시가총액 1조 2000억여 원)는 견조한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트럼프발 관세 등의 여파에 휩쓸리고 있다. 지난 2월 2만 원을 넘어섰으나 다시 1만 2000원 대로 내려앉았다. 국내 유일의 TMA 제조 가능 업체로, 유기금속 화합물 설계 및 TMA 제조기술을 기반으로 LED와 반도체, 디스플레이, Solar소재 및 석유화학 촉매로 이어지는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다.

로봇 관련 대장주로 통하는 레인보우로보틱스도 같은 흐름을 타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원 휴머노이드 로봇 연구센터(휴보랩) 연구원들이 창업한 인간형 이족 보행 플랫폼 전문 벤처기업으로, 이의 핵심 부품 및 요소 기술을 내재화하고 있다. 주력 제품은 협동 로봇과 초정밀 지향 마운트 및 보행 로봇 플랫폼 등이다.

올 초까지 고공행진을 거듭하다 AI와 로봇산업 재평가 분위기 아래 내려앉았고, 42만 원 대로 정점을 찍은 뒤 26만 5000원 선에 있다. 최대 주주인 삼성전자의 회복세도 중요한 대목이다. 오는 12월 15일 지하 1~지상 7층 규모의 세종시 집현동 사옥 시대를 예고하고 있는 부분도 변수로 꼽힌다.

전동면 소재 켐트로닉스(2007년 상장, 시가총액 4132억 원)는 반도체 유리기판·웨이퍼 재생 사업 등으로 지난 3월 3만 2800원까지 올라섰으나 다시 내리막길에서 2만 2250 선에 있다. 무선충전용 전자파 차폐 소재 및 모듈 제품을 삼성전자 등에 공급 중이다.

다시 반등에 성공한 기업들도 있다.

연동면에 공장을 둔 HLB(1996년)는 신약 승인에 대한 기대감을 여전히 담고 있다. 2월 경 10만 원 대를 넘보다 5만 3900원 선에서 다음 자리를 보고 있다. 적 항암제 리보세라닙과 면역 항암제 캄렐리주맙 병용 치료제 개발로 눈길을 끌어왔고, 2023년 10월 항서제약으로부터 면역항암제 (PD-1저해) 캄렐리주맙(Camrelizumab) 간암 치료제의 글로벌 판권 취득 등도 도모했다.

코로나19 확산 여파에 따라 수젠텍(2019년 상장) 주가도 다시 요동치고 있다. 대전이 본사이나 세종에 연구소를 두고 있고, 다중면역 블롯과 현장 진단,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서 기술개발, 제조 및 사업화를 선도하고 있다. 52주 신고가는 1만 760원이고, 5월 29일 9390원 선까지 치솟았다 30일 8530원 선까지 내려왔다.

기능성 화장품 등의 개발과 제조(OEM 또는 ODM)사인 한국콜마는 전의면에 본사를 두고 있는데, 중국의 한한령 해제 등을 호재 삼아 올해 가장 두드러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1년 새 2배 가까이 상승한 8만 2800선을 유지하고 있다.

한국콜마를 자회사로 둔 콜마홀딩스(전의면) 역시 최근 1년 사이 2배 가까운 상승세를 보이며 1만 2420원을 기록하고 있다. 또 다른 자회사인 콜마비앤에이치(제품제조)만 부침을 거듭하고 있다. 다만 4월까지 하락장에 놓여 있던 중 최근 1만 5040원 선을 회복했다.

작년 7월 상장한 이노스페이스(어진동)는 소형 위성 발사체 및 발사 서비스 전문 업체로, 우주 산업의 밸류체인 중 Upstream 영역의 발사체 제작 및 서비스 제공 수행을 목료로 하고 있다. 2023년 3월 국내 민간기업 최초로 독자 개발한 시험 발사체 '한빛 -TLV' 발사에 성공했고, 최근 소형 위성 발사체인 '한빛나노'의 상업 발사가 연기되면서, 주가는 하락세다. 상장 당시 주가는 4만 6050원, 현재는 1만 7780원이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뻔한 대전 오류동 교통사고
  2. 조국혁신당 내홍 점입가경...세종시당, 지도부 전원 사퇴 요구
  3. 대구시, 대민·행정 서비스 165종 일시 중단
  4. 대전 오류동 추돌사고 가해 차량 인도로 돌진… 2명 부상
  5. [중도초대석] 최민호 세종시장 "행정수도 완성, 모든 역량 쏟을 것"
  1. [서산 지금은]서산시, 집중호우 피해 어르신 위한 임시 경로당 환경정비 봉사활동
  2. 독립유공자 현충원 묘역은 만장…해외 6인 유해 의사상자 부지에 '결례'
  3. [기고] 기초·기본교육에 충실한 교육부 혁신이 필요하다
  4. 대전교육청 2학기부터 조리원 대체전담인력제 시행… 직종교섭은 차일피일
  5. ‘태극기를 게양합시다’

헤드라인 뉴스


나노·반도체 국가산단 제동…대전시 "재추진"

나노·반도체 국가산단 제동…대전시 "재추진"

민선 8기 대전시가 추진 중인 500만평 산단조성의 핵심인 나노·반도체국가산업단지 사업에 제동이 걸렸다. 12일 대전시에 따르면 최근 나노·반도체 국가산단 한국개발연구원(KDI) 중간보고회에서 입주 수요 조사 결과가 좋지 않게 나와 예비타당성조사를 철회한 뒤 재신청하는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대전시가 입주의향 기업 수와 면적 등을 기준으로 예타를 신청할 때의 산업단지 입주 수요는 300%였지만, KDI의 분석 결과 1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사실상 예타통과가 어렵게 됐다는 판단 때문이다. 이에 대해 대전시는 KDI가 실시한 예..

대전 도마동 점포 화재 완진... 1명 화상·상가 5곳 불타 (종합)
대전 도마동 점포 화재 완진... 1명 화상·상가 5곳 불타 (종합)

대전 서구 도마동의 한 오토바이 매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1명이 다치고 상가 5곳이 불에 탔다. 12일 대전소방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 20분께 서구 도마동 오토바이 상점에서 불이 났다. 소방당국은 장비 21대, 소방 인력 77명을 투입해 2시간 만인 오후 3시 21분께 진화를 완료했다. 이날 화재로 오토바이 점포에 있던 60대 남성 1명이 얼굴과 팔에 1도 화상을 입어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다. 이 외에 인명피해나 대피 인원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오토바이 매장에서 시작된 불씨는 인근의 편의점, 목공소, 미용실, 페인트 가게..

대전 0시 축제 안전부터 재미 두 마리 토끼
대전 0시 축제 안전부터 재미 두 마리 토끼

대전 0시 축제가 더 안전하고 더 즐거운 축제의 장으로 업그레이드했다. '3無 (안전사고·쓰레기·바가지요금)'에 더 강력한'3有([놀거리, 볼거리, 즐길거리)'를 더한 축캉스(축제+바캉스)가 된 것이다. 지난 8일 개막한 0시 축제는 벌써부터 큰 호응을 받으며 특히, 가족 단위 관광객이 늘었다. 이는 시민 참여형 프로그램이 늘어나고, 가족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공연이나 공간이 지난해보다 더 다양하고 풍성하게 마련되면서 관람객들의 눈길을 끌고 있는 것이다. 관람객 증가에는 작년보다 개선된 체험·이벤트 부스 확장과 라면, 막걸리, 호..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광복절 앞두고 무궁화로 그려진 한반도 ‘눈길’…관리는 ‘아쉬움’ 광복절 앞두고 무궁화로 그려진 한반도 ‘눈길’…관리는 ‘아쉬움’

  • 근절되지 않고 있는 불법 광고물 부착 근절되지 않고 있는 불법 광고물 부착

  • `택배 쉬는 날` 앞두고 바쁜 기사 '택배 쉬는 날' 앞두고 바쁜 기사

  • ‘태극기를 게양합시다’ ‘태극기를 게양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