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월군, 2025년 조직 대개편…미래산업과 관광 중심 행정 체계로 전환

  • 전국
  • 강원

영월군, 2025년 조직 대개편…미래산업과 관광 중심 행정 체계로 전환

상·하반기 단계적 개편 추진
전략산업과·관광사업소 신설 및 재난 대응 인력 확충

  • 승인 2025-06-18 16:52
  • 이정학 기자이정학 기자
2021년 9월 영월군청 전경2
영월군청 전경
영월군은 변화하는 행정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미래 세대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2025년 대규모 조직개편을 단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개편은 ▲미래산업 육성 ▲재난 대응 역량 강화 ▲관광자원 통합관리 등을 중점으로 하며, 상반기와 하반기로 나누어 단계적으로 추진된다. 조직개편은 관련 조례 개정을 거쳐 순차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상반기에는 지역의 전략산업 기반 조성을 위한 '전략산업과'가 신설된다. 이 부서는 텅스텐 등 핵심 광물자원을 활용한 산업 생태계 구축과 드론 산업, 청년정책 등 신성장 산업을 전담하게 된다. 아울러 기존 산업경제과와 일자리청년과를 통합한 '경제과'가 새롭게 구성돼, 지역경제 활성화와 기업 유치, 폐광지역 지원 등 일자리 중심 정책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재난안전상황실 설치와 외국인 인력지원, 소규모 급수시설 관리 등 행정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인력도 확대된다. 이에 따라 상반기 조직개편 후 정원은 기존 656명에서 661명으로 5명이 늘어난다.



하반기에는 청령포원 개원과 봉래산 명소화 사업의 완료에 맞춰, 주요 관광자원을 통합 운영하는 '영월관광사업소(가칭)'가 신설된다. 이를 통해 관광 정책의 일원화와 시너지 창출을 기대하고 있다. 하반기에는 6명이 추가 증원되며, 2026년 1월 기준 총 정원은 667명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엄재만 행정과장은 "이번 조직개편은 지역의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략적 결정"이라며, "미래산업, 관광, 안전 분야 등에서 균형 잡힌 행정체계를 구축해 영월군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겠다"고 말했다.
영월=이정학 기자 hak482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서산을 비롯한 서해안 '물폭탄'… 서산 420㎜ 기록적 폭우
  2. 세종시 북부권 중심으로 비 피해...광암교 붕괴
  3. [우난순의 식탐] 열대의 관능과 망고시루의 첫 맛
  4. 김석규 대전충남경총회장, 이장우 대전시장과 경제발전방안 논의
  5. [대전다문화] 아이들의 꿈과 열정, 축구
  1. 국민연금공단 대전·세종본부, 취약계층 아동 지원
  2. 세종시, 에너지 자립 스마트시티로 도약 선언
  3. [대전다문화]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사례관리 신청하세요!!
  4. 한밭대 성백상·이주호 대학원생, OPC 2025 우수논문상
  5. 초복 앞두고 삼계탕집 북적

헤드라인 뉴스


충청 덮친 ‘500㎜ 물폭탄’… 3명 사망 피해신고 1883건

충청 덮친 ‘500㎜ 물폭탄’… 3명 사망 피해신고 1883건

16일 밤부터 17일 오후까지 충청권에 500㎜가 넘는 물 폭탄이 쏟아지면서 곳곳에서 인명사고 등 비 피해가 속출했다. 시간당 110㎜ 이상 기록적 폭우가 내린 서산에선 2명이 사망했고, 당진에서도 1명이 물에 잠겨 숨지는 등 충남에서 인명사고가 잇따랐으며, 1800건이 넘는 비 피해가 접수됐다. 세종에서는 폭우로 인해 소정면 광암교 다리가 일부 붕괴 돼 인근 주민 30명이 식당으로 대피하는 소동이 빚어졌다. 17일 충청권 4개 시·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까지 충남 지역에만 1883건, 충북 222건, 세종 48건,..

[WHY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WHY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우리에게 달콤한 꿀을 선사해주는 꿀벌은 작지만 든든한 농사꾼이기도 하다. 식탁에 자주 오르는 수박, 참외, 딸기 역시 꿀벌들의 노동 덕분에 먹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 공급의 약 90%를 담당하는 100대 주요 농산물 중 71종은 꿀벌의 수분 작용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꿀벌들이 사라지고 있다. 기후변화와 '꿀벌응애'라는 외래종 진드기 등장에 따른 꿀벌 집단 폐사가 잦아지면서다. 전국적으로 '산소호흡기'를 들이밀듯 '꿀벌 살리자'라는 움직임이 일고 있으나 대전 지역 양봉..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효과 100배? 역효과는 외면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효과 100배? 역효과는 외면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이 가져올 효과는 과연 세종시 잔류보다 100배 이상 크다고 단언할 수 있을까. 객관적 분석 자료에 근거한 주장일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4일 충청 타운홀 미팅, 전재수 해수부 장관 후보가 14일 청문회 자리에서 연이어 강조한 '이전 논리'다 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만한 '효과 분석' 지표는 없어 지역 갈등과 분열의 씨앗만 더욱 키우고 있다. 사실 이는 최소 6개월 이상의 용역(가칭 해수부의 부산 이전 효과)을 거쳐야 나올 수 있을 만한 예측치로, 실상은 자의적 해석에 가깝다. 해수부의 한 관계자는 "수도권 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

  • 폭우 예보에 출입통제 폭우 예보에 출입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