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킬레스베르크 공원, 독일 슈투트가르트시의 지속 가능성 원천"

  • 사람들
  • 인터뷰

"킬레스베르크 공원, 독일 슈투트가르트시의 지속 가능성 원천"

[현지 인터뷰] 카롤라 슈투트가르트시 사무국장 "모든 시민들에게 무료 개방 목표"
세종시 방문단과 25일 만나 킬레스베르크 공원의 과거와 현재, 미래 설명
기후 위기 대비 그린 산업 발전의 원동력 강조...2043 국제박람회 추진 고려

  • 승인 2025-07-26 21:34
  • 수정 2025-07-26 21:38
  • 이희택 기자이희택 기자
KakaoTalk_20250726_152613772_24
카롤라 오르트만 슈투트가르트시 도시·녹지·묘지·산림 사무국장이 공원 전반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이희택 기자.
세종시 방문단이 25일 만난 카롤라 오르트만 슈투트가르트시 도시·녹지·묘지·산림 사무국장. 그는 독일과 슈투트가르트의 정원 자원에 대한 자부심을 표현했다.

카롤라 국장은 방문단과 킬레스베르크 공원 일대를 함께 돌며, 1939년부터 86년 간 지속된 과거와 현재를 상세히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 2043년 국제정원박람회 개최 등 정원 인프라 강화 의지도 내비쳤다. 세종시와 교류 협력 강화 가능성도 언급했다.

KakaoTalk_20250726_152613772_22
카롤라 오르트만 슈투트가르트시 도시·녹지·묘지·산림 사무국장
다음은 카롤라 오르트만 사무국장과 일문일답.

△개장 4년 차를 맞이한 세종시 도심부 '중앙공원'에 86년의 세월을 견뎌온 킬레스베르크 공원의 노하우를 전수한다면 .



-생물 다양성 관리로 기후 변화에 대응하고 있다. 큰 수목과 덤불류를 조화롭게 식재하고, 10년 이상 관리 가능한 꽃과 식물군들을 주로 도입하고 있다. 무엇보다 기후 위기 시대를 맞아 물 부족을 염두에 두고 있다. 덤불류는 물을 많이 쓰지 않고도 생존 가능한 수종들이다. 우리 담당 부서에선 50만개의 식물을 심어 잘 가꿔가고 있다. 이 중 10만개의 작은 모종은 도시민들에게 공급한다. 달리아 정원을 세종시로 옮겨가고 싶다 하셨는데, 중앙공원의 토질 상태를 우선 살펴봐야 한다. 방법은 분명히 있다고 본다.

△공원 내 유료 공간은 없나.

-공원 예산은 인건비와 기계 운영·관리비, 물 사용 등에 주로 많이 쓰인다. 한정된 재원 아래 효율성 극대화 전략이 필요하다. 트램부터 전망대 이용 등 모든 공간을 뮤료화 이유는 분명하다. 공원 설비 자체가 굉장히 시민들에게 중요하고, 이 곳을 시민들에게 휴양의 공간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다. 돈이 없어도 언제든지 편안히 쉴 수 있는 공간을 지향한다. 아이들을 동반한 가족들의 행복 도모도 중요한 가치다. 공원은 이의 서포터즈다.

많은 어린이들이 공원에 와서 학교 친구들과 굉장히 많은 활동들을 할 수 있고, 인근 회사들의 야유회 공간으로도 쓰일 수 있다. 모든 사람들에게 무료로 개방이 저희의 목표다.

-타워 건립 등의 사례처럼 재정 확충이 중요하다. 공원 내 보완 과제는 무엇인가. 1993년 이후 다시금 네 번째 정원박람회를 개최할 구상은 없나.

△동물 복지 차원에서 동물 농장을 1~2년 안에 새로운 시설로 만들려고 한다. 덤불 구역의 재정비도 필요하다. 여기에 굉장한 비용을 필요로 한다. 네번 째 정원박람회는 2043년을 목표로 검토하고 있다. 박람회 이후 지속 유지하는 상설존과 특별존을 잘 구분함으로써 기대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 독일=이희택 기자 press2006@

KakaoTalk_20250726_152613772_18
공원 관계자가 1939년 이후 변천사를 프리젠테이션하고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2. '빛 바랜 와이스의 완벽 투구'…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4차전 LG 트윈스에 패배
  3. 몸집 커지는 대학 라이즈 사업… 행정 인프라는 미비
  4. [아침을 여는 명언 캘리] 2025년 10월31일 금요일
  5. 대전YWCA 후원의 밤 지역사회에 사랑과 희망 전해
  1. 한화 이글스 반격 시작했다…한국시리즈 3차전 LG 트윈스에 7-3 승리
  2. [현장취재]대전을 밝히는 이름, 아너소사이어티
  3. 홍영기 건양대 부총장, 지역 산학협력 활성화 공로 교육부장관상
  4.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생활지원사 마음 회복의 시간, '힐링한판'
  5. 세이브더칠드런, 대전시 보호종료예정아동 자립 지원

헤드라인 뉴스


대전시 "트램 공법 위법 아냐… 예산 절감 효과 분명"

대전시 "트램 공법 위법 아냐… 예산 절감 효과 분명"

대전시가 도시철도 2호선 트램 복공판 공사 계약 과정에서 입찰 부정이 있었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즉각 반박했다. 복공판 공사 기법이 예산 절감 등의 이유로 필요했고, 업체 선정 과정 역시 관련 규제에 따라 적법하게 진행됐다는 것이다. 30일 최종수 대전시 도시철도건설국장은 시청 기자실을 찾아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대전 동구)이 제기한 복공판 공사 업체 부정 입찰 의혹 등에 "업체 선정은 대전시가 요청한 조건을 맞춘 업체를 대상으로 역량을 충분히 검토해 선정했다"라며 "사업 내용을 잘 못 이해해 생긴 일이다. 이번 의혹에 유감을..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반드시 이겼어야 하는 경기를 이기지 못했다. 야구 참 어렵다." 김경문 한화 이글스 감독은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 LG 트윈스와의 4차전을 패배한 뒤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한화는 이날 선발 투수 와이스의 호투에 힘입어 경기 후반까지 주도권을 챙겼지만, 9회에 LG에 역전을 허용하며 4-7로 패했다. 와이스와 교체해 구원 투수로 나선 김서현의 부진에 김 감독은 "할 말이 크게 없다. 8회에는 잘 막았다"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일류경제도시 대전'이 상장기업 육성에 속도를 내며 명실상부한 비수도권 상장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상장(IPO)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2년 48개이던 상장기업이 2025년 66개로 늘어나며 전국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장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시민 인식 제고를 병행해 '상장 100개 시대'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2025년 '대전기업상장지원센터 운영..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