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예금은행 가중평균금리 추이.(자료=한국은행 제공) |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6월 가계대출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4.21%로 전월(4.26%)보다 0.05%포인트 하락했다. 일곱 달 연속 이어진 내림세다.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 금리는 하락했지만, 은행채 장기물 금리는 오르면서 가계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함께 올랐다. 3.87%에서 3.93%로 0.06%포인트 오른 상황으로 이는 다섯 달 만의 반등이다.
다만, 일반 신용대출은 5.21%에서 5.03%로 0.18%포인트 떨어졌다. 기업 대출 금리(4.06%)는 0.10%포인트 하락해 한 달 만에 하락세로 전환했다. 대기업(4.00%)과 중소기업(4.11%) 대출 금리도 각각 0.15%포인트, 0.06%포인트 낮아졌다.
전체 은행권 대출금리는 한 달 새 4.17%에서 4.09%로 0.08%포인트 하락했다.
김민수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지표 금리인 은행채 5년물과 2년물 금리가 올라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 대출의 금리가 상승했다"며 "하지만 장기물과 달리 은행채 단기물 등은 내려 일반 신용대출 금리가 큰 폭으로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6·27 가계대출 규제의 영향과 관련해서는 "규제의 발표 시점이 6월 말인 데다 은행권의 가산금리 인상의 영향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며 "현재 논의되는 추가 대책도 가산금리 인상이 아닌 가계대출 위험가중치 조정 등"이라고 덧붙였다.
예금은행의 저축성 수신(예금)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2.63%에서 2.55%로 0.08%포인트 떨어졌다. 지난해 10월 이후 9개월 연속 하락세다.
정기예금 등 순수저축성예금 금리(2.54%)와 금융채·CD 등 시장형 금융상품 금리(2.55%)는 각각 0.10%포인트, 0.03%포인트 낮아졌다.
은행 신규 취급액 기준 대출 금리와 저축성 수신 금리의 차이인 예대금리차는 1.54%포인트로 전월과 같았다. 다만, 신규 취급 기준이 아닌 잔액 기준 예대 금리차는 2.19%포인트에서 2.20%포인트로 0.01%포인트 커졌다.
심효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