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시청 전경.(사진=대전시 제공) |
대전시는 최근 2026년부터 2029년까지 금고를 운영할 금융기관 선정을 위한 본격적인 절차에 돌입했다. 이번에 지정될 금고의 연간 관리 규모는 2025년 본예산 기준으로 제1 금고는 약 6조 6393억 원, 제2 금고는 약 7618억 원에 달한다. '시 금고'는 시의 일반회계·특별회계·기금 등 세입·세출 자금을 보관·관리하고, 각종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의 재정 운영에 있어 중요한 창구 역할을 한다.
시는 지난달 25일 차기 금고 지정 신청을 위한 제안공고를 공개했으며, 이달 5일 금고 지정 참여를 희망하는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진행한다. 제안서 접수는 9월 4일까지다.
현시점에서 이목이 집중되는 건 기존 금고운영 약정기관을 제외한 시중 은행들의 설명회 참석 여부다. 경쟁자가 늘어날수록 향후 금고 선정 과정에서 치열한 경쟁이 펼쳐질 것이기 때문이다.
제1 금고의 가장 유력한 후보로는 단연 하나은행이 꼽힌다. 특히 올해 상반기 펼쳐진 대전 5개 자치구 금고 관리 은행 지정 절차에서 하나은행의 약진이 어느 때보다 돋보였다.
사전설명회부터 꾸준히 금고 관리 은행에 관심을 보인 하나은행은 5곳에 모두 단독 입찰해 이변 없이 금고 관리 은행 자리를 모두 거머쥐며 지역 제1 은행으로서의 위상을 과시했다.
이와 함께 제2 금고도 기존 관리 은행인 NH농협은행의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는 분위기다. 다만, 과거에도 타 시중은행의 '깜짝' 참여로 치열한 경쟁 구도가 만들어졌던 만큼, 마지막까지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다는 게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지역 금융권 관계자는 "대전은 하나은행과 NH농협은행이 오랫동안 쌓아온 입지가 탄탄한 곳"이라며 "이로 인해 타 은행에서 경쟁을 펼치기 부담스러울 것이다. 사전설명회 참석 여부를 보면 경쟁 구도의 윤곽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시 금고의 평가 항목은 ▲금융기관의 대내외적 신용도 및 재무구조의 안정성 ▲시에 대한 대출 및 예금금리 ▲시민 이용 편의성 ▲금고 업무 관리능력 ▲지역 사회 기여 및 시와 협력사업 추진 능력 ▲기타 사항 등이다. 참여 자격은 지방회계법 제38조에 따라 은행법에 따른 은행으로, 대전시에 본점 또는 지점을 둔 금융기관이면 가능하다. 이번 금고 지정은 제1 금고, 제2 금고 구분 없이 일괄 신청을 받은 뒤 심의 결과에 따라 순위를 결정한다.
한편, 현재 대전시 1금고는 하나은행이, 2금고는 NH농협은행이 맡고 있다. 계약 기간은 2022년부터 2025년까지다.
심효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