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진주시의회 전경<제공=진주시의회> |
이번 조치는 6일 정부의 추가 지정 직후 발표됐으며, 시의회는 공동 대응과 복구 지원에 적극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앞서 시의회는 지난달 27일, 진주시 피해의 심각성과 신속한 복구의 필요성을 담은 '특별재난지역 선포 촉구 건의문'을 만장일치로 채택한 바 있다.
정부는 이 건의문 발표 열흘 만에 진주시를 포함해 의령군, 하동군, 함양군 등 4개 시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추가 지정했다.
백승흥 진주시의장은 "정부가 진주시 피해 상황을 반영해 결정을 내린 것을 환영한다"며 "피해 농가와 시민들께 깊은 위로의 뜻을 전한다"고 말했다.
이어 "하루빨리 시민들이 일상을 되찾을 수 있도록 시의회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진주시도 지정에 앞서 중앙합동조사단의 피해 조사에 적극 협조하며, 이달 2일까지 행정안전부를 포함한 7개 부처와의 조율에 집중해 왔다.
시의회는 실천적 연대의 표시로, 8일 경남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통해 전 시의원과 사무국 직원이 자발적으로 모은 성금 286만 원을 기탁할 예정이다.
정부와 의회의 발 빠른 대응은 주민 회복에 큰 힘이 될 수 있지만, 재해 이후의 회복이 단순한 행정적 선언만으로 이뤄지기는 어렵다는 점에서 실행 단계의 연속성 확보가 중요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선포는 시작이었다.
회복은 그 이후의 긴 여정에서 완성된다.
진주=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