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거창군민 상생토크<제공=경남도> |
박완수 도지사와 구인모 군수를 비롯해 군민 200여 명이 참석했다.
박 지사는 거창을 남부내륙 거점도시로 언급하며 제안이 정책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현장에서 나온 의견은 생활과 밀접했다.
공공산후조리원의 인근 시?도민 이용 확대, 달빛어린이병원과 공공심야약국 연계가 대표적이었다.
산업 분야에서는 승강기와 함께 에스컬레이터 산업 육성 및 인증센터 구축 필요성이 제기됐다.
환경 분야에서는 가축분뇨 처리를 위한 공동 퇴비저장시설 신축 요구가 있었다.
박 지사는 일부 안건에 대해 중앙 공모 의존 대신 도 자체사업 검토 의지를 밝혔다.
화장시설 건립, 산지유통센터 기자재 보관창고 신축, 지방도 재포장과 신규 개설 등 생활 기반 건의도 이어졌다.
직접 소통은 의미가 있으나, 정책화 과정의 속도와 실효성에 대한 의문은 남는다.
주민 제안에 대한 답변은 즉시 있었지만, 실행 로드맵과 재원 확보 방안은 부족했다는 지적이 있다.
공공산후조리원 이용 확대처럼 제도적 조율이 필요한 사안은 지자체 답변만으로는 실현이 쉽지 않다.
또한 상생토크 형식은 다른 시군과 크게 다르지 않아, 반복되는 질문과 답변이 실제 성과로 이어질 수 있는지 회의적 시각도 제기된다.
도민이 체감할 변화는 현장의 약속이 아니라, 이후 실행과 검증에서 드러나야 한다는 지적이다.
경남도는 도민 의견을 정책에 반영하겠다고 밝히지만, 정책화 과정의 구체적 절차와 일정은 명확히 제시되지 않았다.
소통의 무대는 열렸으나 제도의 걸음은 더디다는 평가다.
도민은 질문을 던졌고, 도는 답을 내놨다.
그러나 답이 길이 되려면 실행이 증명해야 한다.
경남=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