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종환 시의원./부산시의회 제공 |
지난 24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64.4%가 야간 긴급상황에 대비해 아이를 맡길 수 있는 공적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답했기 때문이다.
이번 조사는 지난 6월과 7월 부산에서 연이어 발생한 아파트 화재로 인한 아동 인명사고를 계기로 진행됐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7월 21일부터 31일까지 전국 지역아동센터 및 다함께돌봄센터를 이용하는 부모 2만51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야간 긴급 돌봄 공백이 발생했을 때 응답자의 62.6%가 친척이나 이웃에게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 심각한 점은 응답자의 25.1%(4명 중 1명)는 "별도 대안이 없다"고 답했다는 사실이다.
이 의원은 "부산시가 발표한 돌봄공백 해소 대책에 대한 예산을 2026년 본예산에 빠짐없이 반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이번 보건복지부 수요조사 결과를 철저히 검토해 시민들의 요구에 맞는 수요 맞춤형 돌봄 정책을 추진해달라고 강조했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