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2023년 충청권역 반도체공동연구소 조감도 (사진=충남대 제공) |
충남대가 교육부 공모에 선정돼 2026년 건립을 목표로 했지만, 물가 상승에 따른 공사비 증액, 설계 시행착오에 완공 시점이 1년 반이나 늦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25일 충남대에 따르면, 대학 대덕캠퍼스 일대에 충청권역을 아우르는 반도체공동연구소 시설을 2026년까지 완공하려 했으나 내년 상반기에나 착공해 2028년께 건립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충남대는 2023년 5월 교육부의 '권역별 반도체공동연구소' 공모사업에 선정돼 '충청권 초 실감형 나노·반도체 공동연구소'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은 비수도권 지역에도 교육·연구·실습을 수행하는 반도체 인프라를 구축해 인재를 양성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최근 대전 교촌동 일원이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돼 시너지 효과는 물론, 지역기업에 인력 공급도 수월해질 것으로 예상돼 충청권 반도체 산업 생태계 육성에 있어 의미 있는 사업으로 알려졌다. 충남대는 나노·반도체 증착 공정을 내세운 충청권 반도체공동연구소를 개소한 뒤 지난해부터 학내에 반도체융합학과를 신설해 학생들도 모집하고 있다.
문제는 하드웨어다. 원래 계획대로라면, 이미 연구소 건물을 마련하기 위한 공사를 시작했어야 하지만 예산 문제에 아직 설계 단계에 머물러있다. 당초 교육부와 대전시, 충남대는 2026년까지 연 면적 6150㎡, 지상 4층 규모로 반도체공동연구소를 건립할 계획이었다. 국비와 지방비, 대학 자금 투입 사업으로 대전권은 사업비 358억 원 중 연구소 건립비용에 264억 원이 소요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최근 자재 값 등 공사비 상승으로 시설 규모를 두고 교육부와의 의견 차, 재설계 필요성에 시간이 소요됐다는 것이 충남대와 대전시 측의 설명이다. 현재 설계 막바지 단계로, 정해진 예산 한도 내에서 진행해야 해 연 면적 5968㎡, 지상 3층으로 규모 축소도 불가피한 것으로 전해졌다. 1~2층은 반도체 클린룸, 3층은 행정실로 사용되며. 연구소 내 56개의 장비가 구축될 전망이다.
건물 준공이 늦어지면서 본격적인 사업 추진도 내년에나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해당 사업은 지역 국립대 반도체공동연구소를 반도체 산업 육성 거점으로 정해 충청권 타 대학과의 상생도 주요 목적이다. 이를 공유하기 위한 대학 간 교육 프로그램 논의도 필요한 상황이다. 충남대 내 반도체융합학과 소속 학생들도 연구소가 지어지기 전까진 타과의 연구 장비를 빌려 써야 해 조속한 건립이 필요하단 것이 대학 측의 설명이다.
충남대뿐 아니라 해당 사업에 참여하는 다른 대학들의 사정도 마찬가지이다. 교육부 '권역별 반도체공동연구소' 공모사업에는 2023년 충남대를 포함해 4개 대학, 2024년에 2개 대학이 추가로 선정됐지만, 대부분 인프라 건립 과정에서 예산 문제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비수도권 유망 산업 인재 육성, 인프라 확대를 위한 초석인 만큼 각 대학과 지역의 사정을 고려한 정부의 적극 협조를 강조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충남대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 내로 설계를 마무리하고 사업 진행 상황에 관한 설명회를 가질 계획"이라며 "내년 상반기에는 충청권 내 대학들과 연구소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