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산시청 전경./부산시 제공 |
이번 예산안에는 가덕도신공항 건설, 엄궁대교, 사상~하단선 건설, 북항 글로벌 창업허브 조성 등 지역의 미래를 책임질 핵심 사업들이 반영돼 혁신 동력을 확보했다는 평가다.
부산시는 이번 성과가 박형준 시장을 비롯한 시 관계자들이 기획재정부 등 중앙부처를 지속적으로 설득하고 사업의 당위성을 강조해 온 노력의 결실이라고 밝혔다.
이번 정부 예산안에 교통·물류 분야 핵심 사업인 가덕도신공항 건설 사업(6890억 원) 예산이 반영돼 적기 개항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다.
이 외에도 엄궁대교(320억 원), 대저대교(70억 원) 등 낙동강 횡단 교량과 도시철도 사상~하단선(300억 원) 등 교통망 개선 사업들이 포함되면서 글로벌 허브도시 조성에 필요한 인프라 구축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창업과 금융 허브로의 도약을 위한 예산도 다수 확보됐다. 북항 글로벌 창업허브(50억 원)와 블록체인 특화 클러스터(22억 원), 그린스타트업 타운(65억 원) 등 창업 생태계 조성 사업들이 예산안에 반영됐다.
또한, 에이엑스(AX) 기반 에이지테크 실증거점 조성사업(30억 원)과 해양·항만 에이엑스(AX) 실증센터 구축(3억6000만원) 등 미래 신산업 분야 예산 확보로 부산의 첨단산업 생태계 확장이 기대된다.
부산의 관광 매력을 높일 다양한 사업들도 포함됐다. 낙동선셋화명에코파크 조성(16억 6000만원), 아미산 낙조 관광경관 명소화(8억1000만원), 황령산 치유의 숲 조성(18억 원) 등이 반영돼 관광 자원을 활용한 휴식 공간이 확충될 예정이다.
또한, K-조선·해양 경쟁력 강화를 위해 조선해양 미래혁신인재양성센터(111억 원)와 중소조선 함정 유지·보수·정비(MRO) 글로벌 경쟁력 강화 지원(49억 원) 등 해양 관련 사업 예산도 확보됐다.
부산시는 이번 정부 예산안에 만족하지 않고, 국회 심사 과정에서 추가 예산 확보를 위해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행정부시장을 중심으로 국회 상주반을 운영하며 지역 국회의원과의 공조를 강화해 예산 심사 마지막까지 대응할 방침이다.
박형준 시장은 "남은 국회 심사 과정에서 부산의 미래를 위해 필요한 사업이 추가 확보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