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복지등기 우편사업 업무협약식./부산시 제공 |
부산시는 오는 10월 31일까지 2개월간 자립준비청년 중 연락이 닿지 않는 43명에 대한 일제 확인조사를 실시한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아동복지시설 등에서 보호 종료 후 자립하는 청년들이 위기 상황에 노출되는 것을 막고 사회적 고립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다. 지난 7월 조사에서 부산지역 자립준비청년 653명 중 약 7%인 43명이 연락두절 상태인 것으로 파악됐다.
시는 복지등기 우편서비스를 활용해 연락두절 청년들에게 사후관리 안내문을 우선 발송한다. 이는 우정사업본부와 지자체가 협업해 위기가구를 발굴하는 사업으로, 집배원이 우편물을 전달하며 주변 상황을 파악해 시에 전달하게 된다.
안내문에 응답하지 않는 대상자는 구·군과 자립지원전담기관이 합동으로 가정 방문을 실시해 위기 여부를 직접 확인할 계획이다.
조사를 통해 위기 상황이 확인된 청년은 자립지원통합서비스 대상자로 선정해 맞춤형 사례관리를 받게 된다. 이들에게는 연 480만 원 한도 내에서 주거, 의료, 심리상담 등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며, 필요한 경우 우울증 검사 및 전문기관 연계 지원도 이뤄진다.
시는 이번 확인조사를 매년 2회 정례화해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자립준비청년의 안정적인 사회 정착을 도울 방침이라고 밝혔다.
박설연 시 여성가족국장은 "관계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자립준비청년들의 사회적 고립과 위기 상황을 조기에 발견하고 맞춤형 지원을 강화해 이들이 안정적으로 사회에 정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