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반도체 8대 제조 공정 교육' 진행 모습 (사진=국립한밭대 제공) |
대전시 RISE 사업으로 8월 11일부터 27일까지 총 3회에 걸쳐 진행한 이번 과정은 대전권 대학 산학협의체(이하 대산협) 8개 대학(국립한밭대, 대전과기대, 대전대, 배재대, 우송대, 우송정보대, 충남대, 한국폴리텍Ⅳ대) 학생·지역 청년 등 총 63명이 참여했다.
본 교육은 대전 뿌리·전후방 산업의 수요를 반영해 ▲나노반도체 소자 이해 ▲반도체 재료와 공학 지식 습득 ▲포토리소그래피, 박막 증착, 리프트오프(금속 패턴 형성) 등 8대 핵심 제조 공정 실습 프로그램으로 구성했다.
특히 국립한밭대 반도체소재부품장비센터의 전문 장비를 활용한 실습 중심 교육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반도체실험실 방문 및 연구원 특강을 통해 현장 연계형 학습 기회를 제공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대산협 공동으로 운영됐다. 대학별 특화 인프라와 자원을 공유해 개별 대학 단독으로는 제공하기 어려운 수준의 고품질 교육을 실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것이 한밭대의 설명이다.
한밭대는 교육생들은 반도체 산업 전반에 대한 이해도를 넓히고, 산업체가 요구하는 실무 역량을 직접 체득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성과 측면에서도 대산협 회원교 학생·청년 총 63명 참여, 산업현장 맞춤형 실무 교육과 출연연과의 협력을 통한 역량 강화, 지역 청년들의 취업과 진로 연계 가능성 확대 등에 기여했다고 밝혔다.
우승한 국립한밭대 RISE 사업단장은 "이번 교육은 대전시 전략산업과 연계한 대산협 공동프로그램의 대표적인 운영 사례이다"라며 "앞으로도 반도체 분야 맞춤형 교육과정을 확대 운영하여, 연간 100명 이상의 학생이 참여하도록 하고, 지속적인 인재 양성과 취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