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홈플러스 사태 해결을 위한 전남 공동대책위원회가 9일 순천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있다./이정진 기자 |
공대위는 "2025년 9월 3일 홈플러스는 임대인과 협상이 결렬됐다며 총 15개 점포를 연내 폐점할 계획임을 일방적으로 발표했다. 확인 결과, MBK가 임대료 삭감안을 일방적으로 제시하고 성실한 협의조차 진행하지 않은 채 협상을 중단시킨 것으로 드러났다"고 말했다.
이어 "MBK는 회생절차 이후 실질적 자구 노력 없이 회사를 더욱더 부실화시키고 있다. MBK는 순차적 대규모 점포 폐점이라는 손쉬운 방식으로 사실상 청산을 시도하고 있다"며 "우리는 이번 15개 점포 폐점에 이어 자산 매장의 매각 등 추가 폐점이 이어질 것이라 판단한다. 이는 기업의 존속 가능성을 스스로 포기한 행태로, 회생절차의 취지에 정면으로 반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는 사실상 청산절차로의 전환을 목적으로 한 무리한 구조조정으로 수천 명의 노동자와 입점업주, 지역 상권 붕괴를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대규모 폐점 발표의 책임은 대주주 MBK파트너스와 관리·감독 책임을 다하지 못한 회생법원에 있다. 점포 폐점과 같은 중대한 영업 행위는 법원의 사전 허가 없이는 불가능하다. 법원이 이를 허가했다면, MBK의 청산 절차를 사실상 용인한 것이며 허가 없이 발표된 것이라면 법원은 감독 책임을 다하지 못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홈플러스는 사회적 기반시설이다. MBK는 청산이 아니라 자구 노력을 통해 회생절차 정상화에 나서라. 홈플러스는 국민의 먹거리와 수십만 명의 생계, 지역 경제의 중추를 담당하는 사회적 인프라다. 회생은 점포 폐점이 아니라, 고용과 영업망 유지, 공공성과 지속가능성을 기반으로 정상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회사는 팔 수 있어도, 노동자의 삶은 팔 수 없다. 회생이 아닌 청산으로 가는 홈플러스 조기폐점 발표를 절대 용납할 수 없다"며 "9월 13일, 전 조합원과 시민들이 함께 전국동시다발 총궐기 대회를 힘차게 성사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공대위는 "법원은 15개 점포 폐점 무효를 선언하고 책임을 다하라, MBK는 더 이상 홈플러스를 훼손하지 말고 정상화에 나서라, 정부와 정치권은 공적 책임을 다하고, 회생 절차 정상화를 위해 즉각 개입하라"며 기자회견을 마쳤다.
순천=이정진 기자 leejj053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