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성가족부를 포함해 세종시 이전 대상 기관 필요성을 안고 있는 기관 상당수가 현재 서울청사에 자리잡고 있다. 사진=행정안전부 누리집 갈무리. |
대통령 직속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와 감사원, 국무총리실 소속의 금융감독위원회부터 또 다른 위원회의 세종시 이전도 정부부처 업무 효율화 관점에서 필수 조치로 통한다.
이는 역대 정부를 거치며 해묵은 과제로 남겨진 가운데 이재명 새 정부는 해양수산부 및 산하기관의 부산시 이전만 일사천리로 추진 중이다. 2025년 말부터 1300여 명에 달하는 공직자의 대이동을 예고하고 있다. 현 정부가 행정수도에 역행하는 조치에 상응하는 보완 대책을 추진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16일 열린 제42회 국무회의 자료를 보면,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은 12월 30일 개청식과 함께 현실화한다. 정부는 해수부 관련 기관·기업의 부산 집적화를 통해 해양수도권 육성 기반을 마련키로 했다. 산하 공공기관 이전은 2026년 이전기관 지정 고시를 통해 추진한다.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은 "부산은 동남권의 중심도시로서 해양수도이자 북극항로 시대의 전진기지가 될 것"이라며 "해양수도 부산을 실현하기 위해 해수부 부산 이전과 더불어 해양 관련 공공기관 이전을 신속히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이전 기관 지정 고시 등의 후속 조치를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 |
법무부를 포함한 또 다른 이전 대상 기관 일부도 과천청사에 있다. |
법무부의 이전 가능성이 완전히 사그라든 건 아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8월 1일 대통령 주재 시도지사 간담회 건의사항에 따라 김승원 의원 법안이 국회에서 검토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키로 한 상태다.
시는 이 같은 양면의 흐름을 인지하면서, '성평등가족부와 법무부, 방송미디어통신위, 금융감독위' 등의 세종시 이전을 지속 건의할 계획이다. '해수부 외 더 이상의 정부부처 이전은 없다'는 정부 방침이 있었으나, 기획예산처와 재정경제부의 분리 이전이나 기후환경에너지부의 입지 변경 등의 우려에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이달부터 정부와 국회 여·야 핵심 인사, 지역구 국회의원 등을 차례로 만나 해당 기관들의 이전 필요성을 지속 홍보해 공감대를 확산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 |
해묵은 과제로 남겨진 대통령과 국무총리 직속 위원회들의 세종시 이전. 사진=홍성국 전 의원실 제공.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