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꽃문학상 수상작은 풀꽃상에 손택수 시인의 시집 『눈물이 움직인다』(창비, 2025), 대숲상에 이병률 시인의 시집 『누군가를 이토록 사랑한 적』(문학과지성사, 2024)이 선정됐다. 심사위원은 천양희 위원장, 이정록 시인, 이경수 평론가가 맡았다.
제4회 풀꽃동시상 수상작은 전병호 시인의 시집 『비 오는 날 개개비』(상상, 2022)가 선정됐다. 김주연 시인의 시집 『강원도의 눈』(문학과지성사, 2025)은 특별상에 선정됐다.
풀꽃문학상 심사평을 쓴 이경수 교수는 수상자들의 선정 이유에 대해 “풀꽃문학상 풀꽃상을 수상한 손택수 시인의 <눈물이 움직인다>는 지나온 시간과 시대 현실에 바탕을 두고 묵직한 슬픔과 아련한 아름다움을 서정적인 언어로 빚어온 손택수 시의 정점을 보여주는 시집”이라고 말했다. 또 “손택수 시인의 시 쓰기는 이제 ‘저녁 짓는 일’처럼 ‘소멸을 짓는 일’이자 ‘사람으로선 어찌할 수 없는 운명을/매일같이 연습해’(저녁을 짓다) 보는 일의 경지에 오른 듯 하다”고 전했다.
이어 “풀꽃문학상 대숲상을 수상한 이병률 시인의 <누군가를 이토록 사랑한 적>은 사랑과 슬픔과 상실이라는 서정시의 바탕을 이루는 감정을 낭만적인 언어로 그려내는 이병률의 특장이 잘 발휘된 시집”이라며 “이병률의 시는 사랑이 시작되는 순간의 우연과 설렘은 물론, ‘같은 길을’ 가지만 ‘아무도 말을 하지 않고/아무도 그 길을 이탈하지 않는’ 사랑하는 ‘두 사람’의 미묘한 감정과 어긋나고 엉키는 시간을 그려낸다”고 설명했다.
![]() |
풀꽃상 수상자 손택수 시인 |
손택수 시인은 전남 담양 출생으로 1998년 한국일보(시), 국제신문(동시)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시집으로 『나무의 수사학』, 『목련전차』,『떠도는 먼지들이 빛난다』,『붉은빛이 여전합니까』, 청소년시집 『나의 첫소년』 등이 있다. 고산문학대상, 오장환문학상, 조태일문학상, 노작문학상, 신동엽문학상, 임화문학예술상 등을 수상했다.
![]() |
대숲상 수상자 이병률 시인 |
이병률 시인은 1995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시로 등단했다. 시집으로 『당신은 어딘가로 가려 한다』, 『바람의 사생활』, 『바다는 잘 있습니다』, 『이별이 오늘 만나자고 한다』, 『누군가를 이토록 사랑한 적』 이 있다. 현대시학작품상, 발견문학상, 박재삼문학상, 마종기문학상을 수상했다.
풀꽃동시상 심사평을 쓴 이준관 시인은 수상자 선정 이유에 대해 “수상작 동시집「비 오는 날 개개비」는 시인의 사랑의 마음이 담겨 있는 따뜻하고 아름다운 동시집”이라며 “모든 것들을 따뜻이 품어 주고 감싸 안아주려는 시인의 사랑의 마음이 오롯이 담겨 있다”고 말했다. 또 “작고 약하고 여린 것들을 배려하고 따뜻이 포용해 주려는 시인의 사랑의 마음이 잔잔한 감동을 준다”고 전했다.
![]() |
제4회 풀꽃동시상 수상자 전병호 시인 |
전 시인은 충북 청주 출생으로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동시(1982), <심상>에 시가 당선(1990)돼 등단했다. 동시집으로 <녹두꽃의 노래>, <비 오는 날 개개비>, <봄으로 가는 버스>, <들꽃 초등학교>, <아, 명량대첩!> 이 있다. 방정환 문학상, 열린아동문학상, 이재철 아동문학평론상을 수상했다.
한편 풀꽃문학상 시상식은 오는 10월 18일 오후 1시 공주하숙마을 특설무대에서 이루어진다.
한성일 기자 hansung00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