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부연 대전예술편집위원 |
길 건너 목재상에서 재단해 기아 카렌스 좌석을 모두 젖혀 실어 간신히 옮겨왔다. 소나무 집성목 판재 표면을 사포로 다듬고, 투명 바니쉬를 네 번이나 정성스레 칠해 마무리했다. 세 번 칠하고 그만둬야 했다. 왠지 부족할 거란 의심 때문에 한 번을 더 칠한 탓에 군데군데 얼룩이 생기고 바니쉬가 흘러내려 주름이 생겼다. 바니쉬가 너무 두껍게 칠해진 탓에 키보드를 두드릴 때 팔 안쪽이 책상 상판에 쩍 달라붙는다. 여름철 습도가 높고 더워지면 바니쉬가 녹진해진 느낌마저 든다.
어설프게 만든 책상의 왼쪽에 고급 LED 탁상 조명을 올려놨다. '서울대 도서관에 납품하는 고퀄리티 조명'이라는 문구에 혹해 30만 원이 넘는 조명을 덜컥 샀다. 빛에 민감한 눈을 가진 탓에 맞춤한 탁상 조명을 찾기 위해 꽤 애썼더랬다. 30년 넘게 하얀 석고를 다루느라 시력이 망가졌다. 카메라 렌즈가 백색의 피사체에 초점을 잡는 게 어려운 것과 같다고 누가 그랬다. 그래서 조금이나마 눈이 편한 탁상 조명을 사들이게 됐다. 집이고 공부방이고 탁상용 스탠드가 여기저기 있다. 비싼 값에 산 엠씨스퀘어 탁상 조명은 전원 아댑터와 분리된 채 구석에 처박혀 있다. 아까워 버리지도 못한다.
최근 어설픈 책상에 새로운 식구를 들였다. 8년간 써온 아이맥이 자주 멈췄다. 컴퓨터가 갑자기 멈추면 직전의 데이터를 살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더 심각한 경우는 저장공간의 데이터까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아이맥을 공장초기화하고 50만 원에 당근했다. 그리고 큰돈 들여 맥스튜디오와 모니터를 장만했다. 최소 5년 동안은 안심하고 쓸 수 있을 게다. 맥으로 도면을 그리고 3D 모델링하고 어도비 프로그램으로 그림을 그리고 디자인하고 편집한다. 지금 이글은 율리시스라는 글쓰기 전용 앱에서 쓰고 있다. 일본산 해피해킹 키보드를 10년 동안 쓰고 있었다. 무선 겸용 하이브리드 모델이 당근에 올라와 또 유혹에 넘어갔다.
마우스는 전용 패드 위에 올려있다. 데스크탑 컵퓨터는 한 번 사면 10년 가까이 쓴다. 그에 비해 마우스는 수명이 짧다. 손목에 병이 생기는 것만큼 마우스도 고통받고 쉽게 고장 난다. 민감한 조작이 어려워지면 바꿀 때가 온 것이다. 지금 쓰고 있는 로지텍 마우스도 간당간당한다. 마우스 바로 옆에 교보문고 디퓨저가 놓여있다. 이 디퓨저에는 교보문고가 직접 개발한 시그니쳐 향수로 'The Scent of Page'라는 제품이다. '책의 향기'하는 뜻이 있다. 디퓨저 스틱을 두 개 꽂아놓은 공부방에 책의 향기가 깊게 배어있다.
머피의 법칙처럼 이번에는 온 힘을 내어 A4 용지를 뱉어내던 복합기가 말썽이다. 언제부터인지 복합기와 컴퓨터 간의 통신이 잘 안된다. 복합기가 컴퓨터를 꺼도 함께 꺼지지 않고 출력을 못 한다. 강제로 껐다 켜야 비로소 컴퓨터의 명령을 받아들인다. 스캐너 기능도 멈춰버렸다. 이것저것 검색해 보니 애플 실리콘을 탑재한 컴퓨터와의 호환 문제라고 한다. 결국 복합기도 새것으로 바꿔야 한다. 그런데 어설픈 책상은 조명과 컴퓨터, 마우스, 복합기가 여러 번 바뀌었는데도 멀쩡하다. 아마도 10년 뒤, 어설픈 책상 위에 강력한 AI를 품은 고사양 컴퓨터가 놓여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조부연 대전예술편집위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