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티이미지뱅크 |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젖소 부모·선조의 혈통 정보와 우유 생산기록을 토대로 평가하던 기존 방식에 디엔에이 분석 결과를 반영하는 새로운 국가단위 유전체 유전능력평가 체계를 완성했다고 17일 밝혔다.
젖소 개량은 국민에게 품질 좋은 우유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낙농가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국가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다. 국립축산과학원은 가축개량총괄기관으로서 젖소 국가단위 유전능력평가를 수행하며 산유량이 많고 품질 좋은 우유를 생산하는 유전능력을 가진 씨수소를 선발하고 개량하고 있다.
기존 평가 방식에서는 송아지의 혈통 자료만을 채택해 정확도가 낮았으나, 농촌진흥청은 농림축산식품부, 농협경제지주 젖소개량사업소, 한국종축개량협회와 협력해 2만 4000여 마리의 유전체 자료를 수집·검증해 유전체 유전능력평가를 개발했다. 디엔에이 품질검사와 부모-자식 간 정보 일치 여부 확인 등 다양한 검증을 거쳐 신뢰성을 확보했다. 이로써 혈통과 생산기록에 더해 개체별 디엔에이 정보에 기반한 평가와 분석이 가능해져 더욱 정밀한 예측이 가능해졌다.
기존엔 같은 부모에서 태어난 자매 젖소가 모두 동일한 능력을 보유한 것으로 추정됐지만, 새로운 평가 체계를 활용하면 디엔에이 차이에 따라 개체별 능력을 정확히 구분할 수 있다. 그 결과, 어린 송아지의 유전능력평가 정확도가 기존 25%에서 60%로 평균 35%p 향상됐다.
또한, 씨수소 선발에 유전체 평가를 적용하면 송아지 단계에서 능력을 예측할 수 있어 정액 생산이 가능한 1.5년 이내에 선발이 가능하다. 이는 평균 5.5년이 걸리던 선발 기간을 대폭 줄여 세대 간격을 단축하고 젖소 개량 속도를 높이는 효과를 낸다.
낙농가 입장에서도 암송아지의 유전체 능력을 조기에 평가하면 우수한 개체는 맞춤형 씨수소와 교배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능력이 떨어지는 개체를 이른 시기에 판매해 불필요한 비용을 줄이는 효과도 볼 수 있다.
농촌진흥청은 농협경제지주 젖소개량사업소와 협력해 농가 서비스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낙농가가 분석을 신청하면 농협경제지주 젖소개량사업소가 유전체 분석 후 유전체 자료를 국립축산과학원에 전달하고, 국립축산과학원은 유전체 유전능력을 추정해 농협경제지주 젖소개량사업소를 통해 낙농가에 제공한다.
새 유전체 유전능력평가는 국가 개량 체계를 혁신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농촌진흥청은 앞으로도 유전체 자료 수집 규모를 연간 1000마리에서 3000마리로 확대해 평가 정확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계획이다.
김진형 국립축산과학원 부장은 "한우에 이어 젖소에서도 우수 종축을 조기에 선발할 수 있는 유전체 선발 기술을 적용할 수 있게 됐다"며 "국립축산과학원은 국가대표 축산 연구기관으로서 씨수소 개량 체계 개선과 낙농가 현장 활용 확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세종=이은지 기자 lalaej2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