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AIST 제공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국내외 최고 수준의 박사후연구원(Postdoctoral researcher) 400명을 임용하고 4대 과학기술원 8개 이노코어 연구단에 50명씩 배치했다고 29일 밝혔다. 연구단별 주관 과기원을 두고 있으며 KAIST가 4개 연구단, UNIST가 2개, DGIST와 GIST가 각 1개 연구단을 주관한다. 배치 인원은 KAIST 195명, UNIST 89명, GIST 60명, DGIST 56명이다.
AI 융합 분야 혁신(Innovation)을 이끌 핵심(CORE) 연구인력을 육성한다는 의미의 '이노코어'(InnoCORE) 사업은 박사후연구원과 국내 최상위 연구진의 집단·융합연구를 지원한다. AI를 중심으로 전 세계적으로 인재 모시기에 나선 가운데 우리나라도 인재 확보 대응을 위해 국내 박사급 두뇌유출 방지, 국내 복귀(리쇼어링), 해외인재 유치에 집중해 인재를 선발했다.
구체적으로는 국내 대학서 신규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116명, 해외에 있던 국내 연구자 56명, 외국 국적 연구자 103명이다. 외국 국적 연구자 중엔 인도 국적이 25명으로 가장 많고 이어 중국 18명 순이다.
이러한 임용은 국내 박사학위 취득 포닥은 해외 포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미국 MIT, 스탠포드, 하버드 등에서 연구 중인 포닥을 국내로 복귀토록 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외국 국적 인재 임용을 통해 국내 연구인력 부족에 대응하고 창의적인 연구환경 조성도 기대할 수 있다.
임용된 박사후연구원은 연봉 9000만 원(세전)을 받는다. 여기에 기업이나 추가 정부 R&D 과제 등 매칭을 통한 별도 인센티브도 받는다. 연구단 내 평가를 거쳐 재임용될 예정이며 기간은 최소 1년 6개월에서 최대 5년까지다.
정부는 이들이 향후 산업계·연구계·학계로 나아갈 수 있도록 개인별 맞춤형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창업에 관심 있는 이들을 위해선 실용화 가능성이 높은 과제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 전 주기 창업 성장 지원을 병행한다.
구혁채 과기정통부 1차관은 "AI 인재 해외 순유출의 위기를 극복하고 전 세계적 과학기술 인재 확보 경쟁에서 앞서나가고자 해외인재 159명을 포함한 최고 수준 박사급 인력 400명을 확보했다"며 "이제는 청년 연구자들이 국가 발전을 이끌어갈 첨병으로 성장해 나가는 모든 여정을 밀착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