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진드기 매개 감염병은 감염된 진드기에 물려 바이러스나 세균이 인체에 전파되어 발생하는 질환으로 산과 들, 밭, 야생동물 서식지 등 풀이 무성한 지역에서 노출될 수 있다.
특히 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면 평균 10일의 잠복기를 거쳐 발열·두통·근육통·오한·발진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물린 부위에 검은 딱지가 생기는 것이 특징이며, 초기에 항생제 치료를 받지 않으면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SFTS 바이러스에 감염된 진드기에 물리면 고열·구토·설사·식욕부진 등의 증상을 보인다.
2024년 기준 치명률은 18.0%에 달하고, 현재까지 치료제나 예방백신이 없어 예방이 최선의 대응책이다.
경기도 내 최근 3년간 진드기 매개 감염병 환자가 2022년 40건(전국 193건), 2023년 38건(전국 198건), 2024년 27건(전국 171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시 보건소는 ▲야외활동 시 긴 소매와 긴 바지를 착용해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진드기 기피제를 사용하며 ▲풀숲이나 잔디밭에서는 돗자리 없이 직접 앉지 말고 ▲귀가 후에는 옷을 바로 세탁하고 샤워하면서 몸에 진드기가 붙어 있는지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야외활동 이후 2주 이내 발열, 두통, 구토, 설사 등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를 받을 것을 강조했다.
박강용 보건소장은 "가을철은 진드기 활동이 가장 활발한 시기로, 예방수칙을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야외활동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고, 의심 증상이 있을 때는 조기 진료를 통해 감염 확산을 예방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남=이인국 기자 kuk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