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배터리 화재·열차 고장 복합재난 훈련 모습./부산교통공사 제공 |
부산교통공사는 29일 대저차량기지에서 도시철도 내 배터리 화재와 차량 고장 등 복합재난 상황에 대비한 '2025년 재난대비 상시훈련'을 실시했다.
최근 개인형 이동장치(PM)와 보조배터리로 인한 화재가 잇따라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는 가운데, 공사는 도시철도 내 배터리 화재 발생 시 대응체계를 점검하고 복합재난 대응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이번 훈련을 마련했다.
이날 훈련은 열차 운행 중 전동킥보드 배터리 폭주로 화재가 발생한 상황에 이어, 화재 진압 후 회송 중인 열차가 고장 나는 복합재난 상황을 가정해 진행됐다.
공사는 강서소방서, 시민참여단 등과 함께 실전과 같은 훈련 상황을 통해 유관기관 간 공조체계와 복합재난 대응 역량을 종합 점검했다.
특히 이번 훈련은 재점화 위험이 높은 리튬배터리 화재의 특성상 일반 소화기만으로는 완전 진화가 어려운 점을 고려해 진행됐다.
소방은 열차에서 전동킥보드를 신속히 반출한 뒤 대량의 물을 방수해 화재를 진압하는 과정을 실제처럼 재현했다. 부산시의회 김재운 건설교통위원장과 시의원, 시민들이 상황 신고, 대피 유도 등의 역할을 맡아 직접 참여했다.
김재운 건설교통위원장은 "실전처럼 신속, 정확하게 대응하는 모습을 보니 부산도시철도가 시민의 안전을 지킬 수 있겠다는 확신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시의회도 시민 안전을 위해 지속적인 관심과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부산교통공사 이병진 사장은 "리튬배터리 화재는 짧은 시간에 크게 확산되고 재점화 위험이 높아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이 필수적"이라며 "앞으로도 재난 대응체계와 역량을 지속 점검하고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더욱 강화해 시민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도시철도를 만들기 위해 안전관리 수준을 한층 높이겠다"고 밝혔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김성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