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창원시청 전경<제공=창원시> |
위원장은 "당초 협약 당시 캠코가 관리까지 맡기로 되어 있었다"며 "왜 캠코가 지금 빠져나가려 하느냐"고 질의했다.
담당자는 "캠코가 관리 경험이 없다며 계약 조정이 필요하다는 공문을 보내왔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위원장은 "적자가 나니까 비용 부담을 피하려는 것 아니냐"며 "시비가 추가 투입되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캠코가 관리에서 물러날 가능성이 제기되자, 시는 운영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시설관리공단에 적정 운영비 산정 가능 여부를 타진 중이다.
위원장은 "시설관리공단 인력이 이미 투입되고 있느냐"고 물었고, 국장은 "확인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담당자는 "운영 주체가 변경될 경우 필요한 연간 운영비를 추산하기 위해 현장을 확인하고 있다"며 "행안부 지침에 따라 관리비는 0.2~0.5 비율로 책정된다"고 설명했다.
위원장은 "운영비 규모가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비 부담이 커질 수 있다"며 "운영비 차액은 용역을 통해 산정하고 캠코에 정당하게 요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캠코 측이 계약 변경을 요청하면서, 향후 운영 주체와 연간 시비 부담 규모는 아직 확정되지 않은 상태다.
창원=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김정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