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서지연 시의원./부산시의회 제공 | 
집권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국가 권력을 동원해 BNK금융지주 차기 회장 선임에 노골적으로 개입하고 있다고 서지연 부산시의원이 논평을 통해 밝혔다.
이재명 정부의 금융감독원을 앞세워 민간 금융기관의 독립적 경영승계 절차를 압박하고, 사실 확인조차 되지 않은 의혹을 제기하며 지역 금융기관을 흔들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지역 금융의 자율성을 말살하고 부산의 금융도시 위상을 근본부터 흔드는 중대한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서 의원은 민주당 의원들이 제기한 도이치모터스 대출 관련 권력형 유착 의혹에 대해 터무니없는 프레임이라고 일축했다.
해당 대출은 현 빈대인 회장 취임 전인 2022년 말에 이뤄졌으며, 도이치모터스는 당시 우량 기업이었다고 반박했다. 신용등급 A- 기업에 대한 50억 원 신용대출이 특혜라는 주장은 금융 상식에도 맞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빈 회장의 인수위 참여설과 남구청장 예비후보 거론설 역시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음에도 공세를 강화하는 것은 명백한 정치 공세라고 지적했다.
또한, 이재명 정부가 임명한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국정감사장에서 BNK 회장 선임 과정을 문제 삼으며 '특이한 면들이 많다', '수시 검사를 하겠다'는 강경 발언을 쏟아낸 것에 대해 이례적 월권이라고 비판했다.
민주당 정권에서 고위 관료를 지낸 이 원장이 집권 여당의 의중을 받들어 민간 금융기관의 인사에 개입하는 것은 관치금융 DNA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밝혔다.
신한·우리금융도 동일한 절차로 회장 인선을 추진 중임에도 유독 BNK만 문제 삼는 것은 정치적 의도가 개입됐다는 의심을 지울 수 없다고 강조했다.
서 의원은 이러한 금융 외압이 산업은행 부산 이전 무산이라는 배신에 이은 또 하나의 지역 홀대라고 주장했다.
산업은행 이전은 정권 교체 후 이재명 정부에 의해 백지화되고 실효성 떨어지는 '동남권산업투자공사' 설립으로 대체되려 한다고 전했다.
산업은행의 약속은 외면하면서 부산이 가진 유일한 금융지주 BNK는 정치적으로 장악하겠다는 것은 부산을 금융 식민지로 만들겠다는 선언이나 다름없다고 비판했다.
민간 금융기관의 자율성은 시장경제의 근간이며, 지역 금융의 독립성은 균형발전의 필수 조건이라고 밝혔다.
정치권의 낙하산 인사는 금융기관의 경영 불안정과 구조적 불신을 초래하며 그 피해는 고스란히 지역 주민에게 돌아간다고 우려했다.
산업은행 백지화에 이어 BNK마저 장악하려는 집권 여당의 정치 공세는 즉각 중단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부산=김성욱 기자 attainuk051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김성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