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제공=경북도) |
이번 공모전은 획일적이고 상업화된 예식 문화에서 벗어나, 부담 없는 결혼문화를 확산하고 새로운 결혼문화 기준(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지난 7월 23일부터 약 두 달간 진행된 공모에는 사례 분야 15건, 결혼 장소 분야 24건 등 총 39건이 접수됐으며 10월 27일 심사위원회를 통해 최종 수상작이 결정됐다.
사례 분야에서는 예천에 거주하는 김두현 씨의 '내가 사는 식물원 속 작은 결혼식' 사연이 대상으로 선정됐다.
부모님이 30년간 정성스럽게 가꾼 식물원에서 결혼식을 직접 준비하면서 어려웠지만 소중한 추억으로 남은 김 씨 사연은 심사위원의 만장일치 선택을 받았다.
또한, 영주 부모님 사과 과수원에서 어릴 때 심은 메타세쿼이아 나무 앞에서 결혼식을 준비하다가 고향 영주가 좋아져 내려와 살게 된 '나의 집 사과 과수원에서 결혼식을 하다' 사연과 가까운 친지 60명만 초대하고 축의금 없이 구미에 있는 음식점에서 결혼식을 하고 두 딸을 둔 '채(이)소(이)를 키우는 작은 텃밭을 만든 이야기'가 최우수에 선정되었다.
결혼 장소 분야 대상은 접근성과 편의성, 실내외 예식이 모두 가능한 공간 구성, 높은 활용성을 인정받아 심사위원들의 호평을 받은 경북 안동시 남후면에 있는 '토락토닥' 카페가 선정됐다.
또 편의시설과 실내외 공간이 잘 갖추어진 상주 '명주정원', 한옥 특유의 편안함이 살아 있는 성주 '청천서원', 넓은 잔디광장과 편의성을 갖춘 의성 '어울마실'이 최우수로 뽑혔다.
한편, 경북도는 민간 예식장이 아닌 다양한 장소에서 양가 합산 100명 이하의 결혼식에 최대 300만원의 결혼식 비용을 지원하는 '작지만 특별한 결혼식'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자세한 사항은 주관기관인 경북여성정책개발원에 문의하면 된다.
안동=권명오 기자 km1629km@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권명오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