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출처=게티이미지뱅크 |
2026학년도 대입 전형이 이뤄지는 올해 전국 대학이 학폭 사항을 필수적으로 확인해 탈락 사례는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 된다.
18일 국회 교육위원회 김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과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4년제 국·공립, 사립대학 61곳이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 내 학폭 처분 이력을 2025학년도 대입 전형 평가에 반영했다. 수시모집에서는 370명 중 272명(73.5%), 정시모집에서는 27명 중 26명(96.3%)이 불합격했다. 앞서 교육부가 조사를 진행한 가운데, 전국 4년제 대학 194곳 중 134곳이 관련 자료를 제출했다.
조사에 참여한 충청권 대학 가운데, 10개 대학이 수시 전형에서 지원자의 학폭 이력을 확인했고 37명에게 불합격을 통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별로는 국립공주대 12명, 단국대(천안 캠퍼스) 8명, 충남대 7명, 충북대 3명, 순천향대 2명, 목원대·건국대(글로컬 캠퍼스) 1명 등으로 파악됐다.
올해부터는 모든 대입 전형 과정에서 학폭 이력을 확인하고, 평가에 의무 반영한다. 2023년 교육부가 발표한 학교폭력 근절 종합대책 일환이다. 대학 입시 전형에서 학폭 이력이 있는 지원자에게 불이익을 적용토록 한 것이다. 학폭 조치는 사안의 경중에 따라 1~9호로 나뉜다. 비교적 경미한 1~3호는 학생부에 남지 않지만, 4호(사회봉사)·5호(특별교육·심리치료)는 졸업 후 2년간, 6~8호(출석 정지·학급 교체·전학)는 4년간, 9호(퇴학)는 영구적으로 기록된다.
학교폭력 피해 증가에 이미 지난해부터 많은 대학이 지원자들의 학폭 이력을 살펴본 만큼 올해 대입 전형에서도 감점 조치 사례가 속출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2026학년도 수시 모집 합격자 발표는 내달 12일까지다. 수시 합격자 등록 기간은 12월 15일에서 17일까지며, 정시 모집 원서 접수는 29일에서 31일까지 진행된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정바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