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연구개발 특구지원본부 2층에서 열린 '심대평 대표 초청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발전협의회(연협) 간담회'에 참석한 과학기술인들은 과학벨트 충청권 유치를 위해선 정책 논리개발이 중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했다.
이날 연협 정정훈 회장은 “연협은 대덕특구만 있는 조직이 아니고 전국에 있기 때문에 과학벨트 입지관련해서 공식적인 입장을 내기가 어렵다”며 “과학벨트가 성공할 수 있는 지에 대한 방안 제시하고 세종시를 포함한 충청권이 최적지라는 논리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고 포문을 열었다.
다른 참석자 A 박사도 “우리나라가 지금까지 추진해왔던 인천 국제도시, 지방도시 경전철 등 대형국책사업에 대해 장밋빛만 보여줘 타당성조사에서 허수만 보여줬다”며 “과학벨트도 국고 지원과 산업효과 등이 장밋빛 보다는 최악의 시나리오도 생각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과학벨트가 성공하기까지 막대한 시간이 필요한 현실을 어떻게 기다릴 것인가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며 “충청권에서 정치적 논리보다는 이런 관점에서 정책 논리개발해 나가면 위너(winner)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주장했다.
연구원들은 과학벨트 호남권유치위원회에서 주장하고 있는 분산 배치에 대해서도 단호한 반대 입장을 보였다.
B 박사는 “과학벨트 핵심 사업인 중이온 가속기, 기초과학연구원 등이 분리될 경우에는 안 하는니 못하다”며 “가속기를 통해 미세한 영역까지 분석하는 과정에서 연구원과 연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른 연구원들도 과학벨트 입지선정에 대한 소모전보다는 기존 출연연과의 연계방안과 무엇을 담을 것인가에 대한 콘텐츠 논의가 우선이라고 주장했다.
C 박사는 “과학벨트가 생긴다고 했을 때 출연연 종사자로서 우려감을 갖고 있었다”며 “기존 출연연과 연계,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새로운 시스템 도입보다는 기존 인프라와 연계가 중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이와 관련 심대평 대표는 “과학기술인들이 과학벨트 분산배치에 대해서 안된다고 주장해야한다”며 “앞으로 기초과학연구에 대해 출연연이 갖고 있는 인식들이 정부차원에서 깊이 있게 다뤄지고 과학벨트와 연계를 어떻게 시킬 것인가 등에 대해 지속적으로 문제 제기를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배문숙 기자 moons@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