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시 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 차량 경정비 수억원 '예산낭비'

  • 전국
  • 천안시

천안시 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 차량 경정비 수억원 '예산낭비'

  • 승인 2020-01-18 12:26
  • 신문게재 2020-01-03 14면
  • 김한준 기자김한준 기자
천안시가 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 운영 예산으로 매년 수십억원을 지원하지만, 과도한 차량 수리비 지출로 예산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시에 따르면 노약자, 장애인 등 교통약자의 이동 편의와 복지 증진을 위해 2004년부터 (사)충남지체장애인협회 천안시지회에 위탁해 운영하고 있다.



시는 수탁기관에 운영비 등의 명목으로 2017년 19억6000만원, 2018년 23억2000만원, 2019년 31억2500만원을 지원했으며 올해엔 33억4500만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하지만 운영의 효율성과 전문성을 살리고자 민간위탁을 하는 본래 취지와는 다르게 과도한 수리비 지출 등으로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천안시의회 김길자 의원이 천안시로부터 제출받은 '천안시 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 차량수리 내역'에 따르면 2017년부터 올해 9월까지 차량 28대의 경정비 명목으로 2억1520여만원을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량 경정비 예산으로 2017년 6138만원, 2018년 9051만원, 2019년 9월 현재 6330만원을 사용했으며, 같은 기간 차량 한 대당 최소 516만원에서 최대 1039만원을 경정비로 지출했다.

차량 한 대당 연간 경정비로 2017년 219만원, 2018년 323만원, 2019년 9월까지 226만원을 지원한 셈이다.

김길자 의원은 "수차례 의회에서 이동지원센터의 과도한 차량 수리비 등을 지적했음에도 바뀌지 않고 있다"며 "매년 지원하는 예산의 규모는 늘어남에도 천안시는 이동지원센터의 비효율적인 운영에 대한 평가 등을 소홀히 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시 관계자는 "수탁기관에 차량 경정비로 많은 예산이 지출된 부분에 대해 대책을 마련해 제출하라는 공문을 발송했다"며 "현재 수탁기관은 타 지자체의 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에 차량 경정비 내역을 요청하는 등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마련 중"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천안시는 2020년 본예산에 교통약자이동지원센터 운영비 등으로 34억8000만원을 계상했지만, 시의회는 사업 실효성 부족을 이유로 1억3500만원을 삭감했다.
천안=박지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2.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백소회 회원 김중식 서양화가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 올해의 작가 대상 수상자 선정
  2.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3.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4.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5.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