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보기]'사회의 재발견'을 통한 영국 보수의 지혜

  • 오피니언
  • 세상보기

[세상보기]'사회의 재발견'을 통한 영국 보수의 지혜

곽현근 대전대 행정학과 교수

  • 승인 2024-03-14 16:58
  • 신문게재 2024-03-15 19면
  • 이상문 기자이상문 기자
곽현근 대전대 행정학과 교수
곽현근 대전대 행정학과 교수
"사회(society) 같은 것은 없다. 개인으로서 남자와 여자가 있고 가족만이 있을 뿐이다." 1980년대 영국 보수당 당수이자 총리를 지낸 마가렛 대처 여사가 사회복지 지출로 비대해진 정부를 일갈한 말이다. 사회취약계층은 더 이상 국가나 사회의 지원과 자선에 의존하지 말고, 개인 또는 가족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취지다. 해당 연설은 시장 논리에 따른 각자도생의 생존방식을 강조하며 '작은 정부'를 지향하는 신자유주의 철학을 단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평가된다. 아이러니하게도 2010년 같은 보수당 출신으로 영국 총리에 오른 데이비드 카메룬은 '거대한 사회'(Big Society)를 국정 기조로 내세운다. '거대한 사회'는 국가 대신 가족, 친구, 이웃, 또는 공동체 활동가, 자원봉사자, 그리고 사회적 기업가가 사회복지를 포함한 현대 사회문제 해결의 적극적인 주체가 되어야 함을 상징한다.

영국 보수당의 국정 기조 전환은 시대변화를 읽고 보수의 가치를 유연하게 해석하며 정책에 접목하는 지혜를 보여준다. 80년대 이후 보수의 핵심 가치인 자유 시장경제를 회복하기 위한 신자유주의 정책은 탈규제화, 민영화, 그리고 사회복지지출 감축 등을 통해 전개된다. 하지만 시장과 자본의 자유화와 세계화는 극단적인 경제적 양극화, 환경파괴, 지역사회 붕괴와 같은 심각한 사회문제로 이어진다. 19세기 말 산업혁명 직후 겪은 '시장실패' 유령의 부활을 놓고 영국의 보수진영은 그 해법을 국가로의 회귀가 아니라 사회에서 찾는다. 영국 보수의 해법은 '사회의 재발견'으로 요약된다. 대처 총리는 개인들이 우연히 같은 시간과 장소에 모여 사는 집합체에 불과한 사회를 가정했다. 반면, 카메룬 총리는 사회구성원들이 상호의존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공동체 의식과 호혜(互惠) 관계가 형성되고 유지되는 사회를 소환한다. '거대한 사회'는 모든 가치를 돈으로 환산하고 자기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시장의 이기적인 인간상(人間像) 대신 호혜적이고 상호의존적인 사회적 인간상을 재발견하고 활성화하는 정치실험이다. 또한 공동체 일원으로서 시민의 협력적이고 집단적인 잠재력을 끌어내고 사회문제 해결에 접목하는 실용적 프로젝트다.

'사회의 재발견'은 '시민성'(citizenship)의 공공철학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기존의 시민성은 법률이 부여한 권리에 기초한 개인의 지위 및 자격을 강조해왔다. 하지만 '거대한 사회'는 개인적 권리의식을 넘어 사회적 책임 의식을 키우고 공적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적극적 시민성'을 갖춘 시민을 요구한다. 영국의 '거대한 사회'는 사회구성원의 '적극적 시민성' 형성을 위한 혁신적인 사회실험을 지향한다. '사회의 재발견'은 영국을 포함한 선진국의 다양한 제도와 담론을 통해 그 가치를 배가해왔다. 사회적 혁신, 사회적 경제, 사회적 가치, 사회적 자본, 지역공동체 활성화 등의 정책과 담론은 시장의 역기능을 보완하면서 사라져가는 사회의 중요한 가치를 회복하는 동시에 국가의 자원과 역량을 보충하는 시도로 해석된다. 국가가 사회를 새롭게 해석하고 활동무대를 열어주며 지원하는 것은 진보와 보수 정권에 무관하게 보편화하는 현상이다.

우리 사회는 어떠한가? 극단적 이념의 덫에 갇힌 일부 보수 진영 인사들은 사회라는 용어가 등장하면 '사회주의'를 소환하면서 민감하게 반응한다. 사회 또는 공동체라는 표현을 노골적으로 배척하고 배제한다. 이것은 민선 8기 대전시를 포함해 일부 보수 자치단체장들이 지역공동체 분야와 사회적 경제 분야 정책과 제도를 진보의 전유물로 몰아가며 폐기하거나 축소한 것과 무관하지 않다. 사회주의는 국가가 모든 재산을 소유하고 자원 배분을 국가의 관료제가 독단적으로 결정하는 체제다. 국가의 개입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회를 국정운영의 전면에 등장시킨 영국의 보수를 사회주의자라고 부를 사람은 없다. 민선 8기 들어 '사회의 재발견'을 통한 보편적 제도 및 정책실험이 심하게 위축된 것은 정치지도자의 시대를 읽는 역량과 철학의 빈곤을 방증하는 것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보문산 동굴 굴착흔적 또 나와… 바위에 구멍과 임도
  2.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이전 반대 "정치권 힘 있는 움직임 필요"
  3. 대전유일 학교돌봄터 간식 부실 논란… "단가는 올랐지만 질은 떨어져"
  4. 대전 유성구서 자격증 빌려 장애인 활동지원사로 근무, 급여 부정수급 사례 발각
  5. 장애인활동지원사 급여 부정수급 수두룩…"신원확인·모니터링 강화해야"
  1. 2025년 국가 R&D 예산 논의 본격화… 출연연 현장선 기대·반신반의
  2. ‘대상포진 무료 예방접종 하세요’
  3. 지지부진한 서남부 특수학교 설립… 통폐합 부지 확보 대안될까
  4. [썰: 기사보다 더 솔깃한 이야기] 최규 대전 서구의원, 더불어민주당 복당?
  5. 농번기 앞두고 모종시장 북적

헤드라인 뉴스


학생 온라인 출결 시스템 `유명무실`…교원들 "업무부담 여전"

학생 온라인 출결 시스템 '유명무실'…교원들 "업무부담 여전"

원활한 학생 출결 관리를 위해 도입한 온라인 출결 시스템에 대한 현장의 반발이 거세다. 미흡한 체계 때문에 여전히 교원이 직접 서류를 처리하고 출결과 관련된 학부모 민원까지 받는 상황으로 제도 개선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학생들의 출결 관련 업무처리는 나이스(NEIS) 온라인 출결 관리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 해당 시스템은 교원들이 1차로 학생에게 결석 인정 사유서, 진단서 등 서류를 받고 2차로 나이스(NEIS)온라인 시스템에 교원들이 일일이 기록해야 하는 구조다. 교원들은 학생이 제출한 증빙 서류가 미비..

2025학년도 충청권 의대 389명 늘어난 810명 모집… 2026학년도엔 970명
2025학년도 충청권 의대 389명 늘어난 810명 모집… 2026학년도엔 970명

2025학년도 대입에서 충청권 의과대학 7곳이 기존 421명보다 389명 늘어난 810명을 모집한다. 올해 고2가 치르는 2026학년도에는 정부 배정안 대로 970명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대전지역 의대는 199명서 156명이 늘어난 355명을 2025학년도 신입생으로 선발하고, 충남은 133명서 97명 늘려 230명, 충북은 89명서 136명 증가한 225명의 입학정원이 확정됐다. 2일 교육부는 '2026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과 함께 '2025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 제출 현황'을 공개했다. 2025학년도 전국 의대 증원 총..

"앞으로 욕하면 통화 종료"… 민원 담당 공무원엔 승진 가점도
"앞으로 욕하면 통화 종료"… 민원 담당 공무원엔 승진 가점도

앞으로는 민원인이 담당 공무원과 전화 통화를 하며 폭언하는 경우 공무원이 먼저 통화를 끊어도 된다. 기관 홈페이지 등에 공개돼 이른바 '신상털기(온라인 좌표찍기)'의 원인으로 지목돼 온 공무원 개인정보는 '성명 비공개' 등 기관별로 공개 수준을 조정한다. 행정안전부는 2일 국무총리 주재 제38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악성민원 방지 및 민원공무원 보호 강화 대책'을 발표했다. 올해 3월 악성민원에 고통받다 숨진 채 발견된 경기 김포시 9급 공무원 사건 이후 민원공무원 보호가 필요하다는 사회적 여론에 따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도심 속 공실 활용한 테마형 대전팜 개장…대전 혁신 농업의 미래 도심 속 공실 활용한 테마형 대전팜 개장…대전 혁신 농업의 미래

  • 새하얀 이팝나무 만개 새하얀 이팝나무 만개

  • 2024 대전·세종·충남 보도영상전 개막…전시는 7일까지 2024 대전·세종·충남 보도영상전 개막…전시는 7일까지

  • 농번기 앞두고 모종시장 북적 농번기 앞두고 모종시장 북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