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칼럼] MWC, 산·연 협력을 통한 성장의 마중물

  • 오피니언
  • 사이언스칼럼

[사이언스칼럼] MWC, 산·연 협력을 통한 성장의 마중물

배정숙 ETRI 지능무선액세스연구실장

  • 승인 2024-03-21 17:11
  • 신문게재 2024-03-22 18면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clip20240321093306
배정숙 ETRI 지능무선액세스연구실장
해마다 3월이 가까워지면 스페인 바르셀로나는 세계 최대 모바일 전시회인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개최로 전 세계 정보통신인들이 북적이는 도시가 된다. MWC는 1987년부터 개최돼 올해 37회를 맞았다. 이동통신 분야를 넘어 업종 간 융합이 이루어지는 '빅블러(Big Blur)' 시대를 반영하는 글로벌 정보통신 융합 전시회로 자리매김했다. 또한, MWC에서 제시되는 대표 주요 기술 기조 및 키워드는 그 해의 모바일 산업 생태계의 발전 방향을 주도한다.

올해는 '미래가 먼저다 - 연결의 힘을 경험하라'라는 기조하에 5G를 넘어 통신이 가진 잠재력을 최대로 활용해 국가, 기업 등 모든 이해 관계자가 더 나은 미래를 위해 힘을 모을 것을 강조했다. 또한, '5G를 넘어서', '모든 것을 연결', 'AI의 인간화', '제조업 디지털 혁신', '게임 체인저', '디지털 DNA' 등이 6대 기술 키워드로 제시됐다. 필자가 스페인 현장에서 느낀 바를 아래와 같이 기술해 보고자 한다.

먼저, '5G를 넘어서' 분야에서는 진화된 5G 통신을 위해 통신 생태계 전반의 친환경화 및 종단간 인공지능 통합 적용과 미래 6G를 위한 핵심 기술이 다뤄졌다. '모든 것을 연결'에서는 오는 2030년까지 63억 명에 도달할 이동통신 가입자와 2025년 150억 개로 증가할 사물인터넷의 연결을 위한 개방형 네트워크의 도입과 통신 생태계 협력 기술이 강조됐다. 'AI의 인간화'는 네트워크, 클라우드, 서비스의 혁신을 가속화하는 실용적인 인공지능의 적용과 생성형 AI 확산을 위한 데이터 신뢰 및 보안을 위한 기술에 집중됐다. '제조업 디지털 혁신' 부분은 2030년까지 4조 원 이상 규모의 시장 성장을 위해 연결성, 사물 인터넷, 클라우드, 디지털 트윈, 가상보안 등 혁신 기술을 적용한 디지털화된 제조 기술이 소개됐다. '게임 체인저'는 미래 산업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웹 3, 인공지능, 블록체인, 양자 컴퓨팅, 메타버스 등에 대한 신기술이 중요하게 전시됐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DNA' 파트에서는 모바일 생태계 전반에 걸친 지속가능성 및 에너지 효율성, 인재 유치 문제, 데이터 보호 등을 디지털 변화를 위한 DNA로 삼고 가치를 두어야 함을 중시했다.

이렇듯 올해 MWC는 미래를 위한 통신과 다양한 신 기술의 진화 방향의 향연이 지속됐다. 더불어 정보통신 생태계 내 기업 및 산업 협력으로 디지털화에 따른 부작용 해결을 위한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운영까지 고려한 의미있는 행사였다.



국내에서는 대기업과 중견·중소기업 104개사와 4YFN관 스타트업 64개사 등 총 165여개 사가 참가했다. AI 증강현실, 딥러닝, 컴퓨팅 관련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성과 창출이 돋보였고 예년과 달리 해당 지역 기업의 기술력을 홍보하기 위한 지자체별 전시관 운영이 인상적이었다.

우리 지역 대전의 테크노파크에서도 5G 통신과 AI 분야의 유망 기업 5개사의 MWC 참가를 지원했다. 1200만 달러 규모의 상담실적과 350만 달러 규모의 계약추진, 또 10만 달러 규모의 수출계약, 업무협약 1건을 체결하는 큰 실적을 거뒀다. 또한, 필자의 연구원에서도 공중 이동체 기반 비지상 통신 인프라를 비롯한 4건의 최신 연구 성과를 공개해 기술 논의 및 기술이전 협의를 이끌어냈다.

올해의 우수한 성과를 발판으로 대덕연구개발특구 내 연구기관과 대전 지역 유망 정보통신 업체 간 보다 활발한 기술 협력을 기대한다. 이를 통해 생성형 인공지능과 5G 이후의 통신 기술, 양자컴퓨팅 등 분야에 경쟁 우위와 ESG 실현을 위한 기술 지속성을 확보해 통신의 잠재력에 기반한 더 나은 미래를 추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협력에 박차를 가하고 정보통신기술을 통해 더 나은 미래를 준비하는 과학도시 대전의 노력이 전 세계에 알려지길 희망한다. 아울러, 내년 MWC에서는 대전의 산·연 협력 체계를 기반으로 기술 상용화 및 미래 기술 제안을 담은 산·연 특화전시관이 마련돼 더 많은 성과 창출과 의미있는 글로벌 협력이 이뤄지길 희망한다. 배정숙 ETRI 지능무선액세스연구실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이전 반대 "정치권 힘 있는 움직임 필요"
  2. 보문산 동굴 굴착흔적 또 나와… 바위에 구멍과 임도
  3. 대전유일 학교돌봄터 간식 부실 논란… "단가는 올랐지만 질은 떨어져"
  4. 대전 유성구서 자격증 빌려 장애인 활동지원사로 근무, 급여 부정수급 사례 발각
  5. 장애인활동지원사 급여 부정수급 수두룩…"신원확인·모니터링 강화해야"
  1. 2025년 국가 R&D 예산 논의 본격화… 출연연 현장선 기대·반신반의
  2. ‘대상포진 무료 예방접종 하세요’
  3. 지지부진한 서남부 특수학교 설립… 통폐합 부지 확보 대안될까
  4. [썰: 기사보다 더 솔깃한 이야기] 최규 대전 서구의원, 더불어민주당 복당?
  5. 농번기 앞두고 모종시장 북적

헤드라인 뉴스


학생 온라인 출결 시스템 `유명무실`…교원들 "업무부담 여전"

학생 온라인 출결 시스템 '유명무실'…교원들 "업무부담 여전"

원활한 학생 출결 관리를 위해 도입한 온라인 출결 시스템에 대한 현장의 반발이 거세다. 미흡한 체계 때문에 여전히 교원이 직접 서류를 처리하고 출결과 관련된 학부모 민원까지 받는 상황으로 제도 개선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학생들의 출결 관련 업무처리는 나이스(NEIS) 온라인 출결 관리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 해당 시스템은 교원들이 1차로 학생에게 결석 인정 사유서, 진단서 등 서류를 받고 2차로 나이스(NEIS)온라인 시스템에 교원들이 일일이 기록해야 하는 구조다. 교원들은 학생이 제출한 증빙 서류가 미비..

2025학년도 충청권 의대 389명 늘어난 810명 모집… 2026학년도엔 970명
2025학년도 충청권 의대 389명 늘어난 810명 모집… 2026학년도엔 970명

2025학년도 대입에서 충청권 의과대학 7곳이 기존 421명보다 389명 늘어난 810명을 모집한다. 올해 고2가 치르는 2026학년도에는 정부 배정안 대로 970명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대전지역 의대는 199명서 156명이 늘어난 355명을 2025학년도 신입생으로 선발하고, 충남은 133명서 97명 늘려 230명, 충북은 89명서 136명 증가한 225명의 입학정원이 확정됐다. 2일 교육부는 '2026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과 함께 '2025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 제출 현황'을 공개했다. 2025학년도 전국 의대 증원 총..

"앞으로 욕하면 통화 종료"… 민원 담당 공무원엔 승진 가점도
"앞으로 욕하면 통화 종료"… 민원 담당 공무원엔 승진 가점도

앞으로는 민원인이 담당 공무원과 전화 통화를 하며 폭언하는 경우 공무원이 먼저 통화를 끊어도 된다. 기관 홈페이지 등에 공개돼 이른바 '신상털기(온라인 좌표찍기)'의 원인으로 지목돼 온 공무원 개인정보는 '성명 비공개' 등 기관별로 공개 수준을 조정한다. 행정안전부는 2일 국무총리 주재 제38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악성민원 방지 및 민원공무원 보호 강화 대책'을 발표했다. 올해 3월 악성민원에 고통받다 숨진 채 발견된 경기 김포시 9급 공무원 사건 이후 민원공무원 보호가 필요하다는 사회적 여론에 따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도심 속 공실 활용한 테마형 대전팜 개장…대전 혁신 농업의 미래 도심 속 공실 활용한 테마형 대전팜 개장…대전 혁신 농업의 미래

  • 새하얀 이팝나무 만개 새하얀 이팝나무 만개

  • 2024 대전·세종·충남 보도영상전 개막…전시는 7일까지 2024 대전·세종·충남 보도영상전 개막…전시는 7일까지

  • 농번기 앞두고 모종시장 북적 농번기 앞두고 모종시장 북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