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부터미널 20억 리모델링 왜?

  • 정치/행정
  • 지방정가

서부터미널 20억 리모델링 왜?

150억대 주식 내달 재공매… 대표권 지키기 포석-상속세 해결 분석 엇갈려

  • 승인 2011-08-04 18:17
  • 신문게재 2011-08-05 7면
  • 임병안 기자임병안 기자
▲ 대전 중구 유천동에 위치한 서부터미널이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기 위해 전면적인 리모델링에 나섰다./김상구 기자 ttiger39@
▲ 대전 중구 유천동에 위치한 서부터미널이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기 위해 전면적인 리모델링에 나섰다./김상구 기자 ttiger39@

<속보>=회사의 대표이사가 언제 바뀔지 모를 상황에서 20억원짜리 리모델링 공사에 들어간 서부시외버스공용터미널(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본보 3일자 7면 보도>

서부시외버스터미널은 전체 주식의 77%가 공매에 부쳐진 상태이고 2006년 별세한 재력가 김희동 대표가 남긴 유산으로 사후 오랫동안 재산 상속분쟁을 겪었으며, 유성복합터미널사업에 따라 수년 내 터미널기능을 잃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현재 서부시외버스터미널(주) 전체 주식 중 77%가 국세청이 한국자산관리공사에 위탁해 공매가 진행 중이다.

2006년 별세한 김희동 전 대표가 남긴 유산으로 4년여의 소유권 분쟁을 거쳐 지난 해 7월 딸 김나연(51)씨에게 주식 77%, 아들 김광철(대전교통 대표)씨에게 20% 등으로 분할됐다.

하지만, 김나연 대표가 상속세 60억여원을 납부하지 못해 국세청은 김 대표의 주식 1만5420주(평가액 150억상당)를 공매에 부친 것.

그동안 공매에서 네 차례 유찰돼 주식의 가치는 100억원까지 떨어졌으며 오는 9월 재공매를 앞두고 있다.

당장 9월 공매 결과에 따라 서부시외버스터미널(주)의 대표이사가 바뀔 수 있는 상태에서 20억을 들여 터미널 리모델링에 나서자 주변에선 의아스럽게 보고 있다.

지역 운송업계 한 종사자는 “당장 회사 대표가 바뀔 수 있고 터미널사업권도 몇 년 내 반납해야 하는 곳인데 20억을 들여 리모델링하는 것을 업계에선 쉽사리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특히, 서부시외버스터미널은 유성복합터미널이 조성되면 곧바로 터미널 기능을 상실할 가능성을 안고 있다.

서부시외버스터미널은 현재 연 탑승객이 37만명으로 정부청사 앞 둔산시외버스간이정류장 탑승객 64만명보다 적은 규모다.

시외버스 운송사업자들은 유성복합터미널이 마련되면 서부시외버스터미널에 더는 차를 정차하지 않을 움직임을 보여 서부시외버스터미널이 터미널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기간은 4년 이내로 관측되고 있다.

때문에 공매를 앞두고 대규모 공사를 벌여 공매 자체를 무산시켜 대표권을 지키려는 포석이라는 분석과 함께 오히려 오래된 건물을 개선해 투자자를 찾고 상속세 문제도 함께 해소하려 한다는 엇갈린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에대해 대전서부시외버스공용터미널(주) 홍서권 상무는 “리모델링 후 상가임대를 통해 다양한 수익모델을 찾자는 의미이고 오래돼 불편을 낳던 터미널시설을 바꿔보겠다는 게 대표의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성추행 유죄받은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 촉구에 의회 "판단 후 결정"
  2. 김민숙, 뇌병변장애인 맞춤 지원정책 모색… "정책 실현 적극 뒷받침"
  3. 천안 A대기업서 질소가스 누출로 3명 부상
  4. "시설 아동에 안전하고 쾌적한 체육시설 제공"
  5. 회덕농협-NH누리봉사단, 포도농가 일손 돕기 나서
  1. 천안김안과 천안역본점, 운동선수 등을 위한 '새빛' 선사
  2. 세종시 싱싱장터 납품업체 위생 상태 '양호'
  3.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4. '세종교육 대토론회' 정책 아이디어 183개 제안
  5. ‘몸짱을 위해’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추진하면서 국론분열을 자초하지 않을까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집권 초 미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위협 등 매크로 경제 불확실성 속 민생과 경제 회생을 위해 국민 통합이 중차대한 시기임에도 되려 갈등만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공론화 절차 없이 해수부 탈(脫) 세종만 서두를 뿐 특별법 또는 개헌 등 행정수도 완성 구체적 로드맵 발표는 없어 충청 지역민의 박탈감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해수부는 10일 이전 청사로 부산시 동구 소재 IM빌딩과 협성타워 두 곳을 임차해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두 건물 모두..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2012년 세종시 출범 전·후 '행정구역은 세종시, 소유권은 충남도'에 있는 애매한 상황을 해결하지 못해 7월 폐원한 금강수목원. 그동안 중앙정부와 세종시, 충남도 모두 해법을 찾지 못한 채 사실상 어정쩡한 상태를 유지한 탓이다. 국·시비 매칭 방식으로 중부권 최대 산림자원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 수 있었으나 그 기회를 모두 놓쳤다.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인접한 입지의 금남면인 만큼, 금강수목원 주변을 신도시로 편입해 '행복도시 특별회계'로 새로운 미래를 열자는 제안이 나왔다. 무소속 김종민 국회의원(산자중기위, 세종 갑)은 7..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전국 부동산신탁사 부실 문제가 시한폭탄으로 여겨지는 가운데 토지신탁 계약 체결을 조건으로 뒷돈을 받은 부동산신탁회사 법인의 임직원들이 재판에 넘겨졌다. 대전지검 형사4부는 모 부동산신탁 대전지점 차장 A(38)씨와 대전지점장 B(44)씨 그리고 대전지점 과장 C(34)씨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수재등) 등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고 11일 밝혔다. 또 시행사 대표 D(60)씨를 특경법위반(증재등) 혐의로 함께 불구속 기소했다. A씨 등 부동산 신탁사 대전지점 차장으로 지내던 2020년 11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시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몸짱을 위해’ ‘몸짱을 위해’

  •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 ‘시원하게 장 보세요’ ‘시원하게 장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