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맛집] 장비빔국수와 보쌈(관평점)

  • 맛집
  • 대전맛집

[대전맛집] 장비빔국수와 보쌈(관평점)

  • 승인 2015-12-24 16:24
  • 금상진 기자금상진 기자
밥하기 싫은 날 가장 간편하게 만들어 먹을 수 있는 음식 중 하나, 바로 국수다. 인스턴트 음식이 발달한 요즘은 대형마트나 편의점에 가면 뜨거운 물만 있으면 누구나 쉽게 맛볼 수 있다. 하지만 국수도 어디까지나 음식이다. 국수 맛을 아는 사람이라면 비빔국수 양념장의 미세한 맛과 육수의 담백함의 정도에 따라 호불호가 갈리기도 한다.



▲ 장비빔국수
▲ 장비빔국수

유성구 관평동에 위치한 ‘장비빔국수와 보쌈’은 번개처럼 말아 나오는 즉석 국수집이 아니다. 주문이 들어오면 면을 삶기 때문에 성질 급한 손님들에게는 약간 불편할 수도 있다. 바로 이런 손님들을 위해 준비한 것이 멸치육수다. 얼큰하고 시원한 국물이 얼어있는 몸을 따뜻하게 녹여준다. 육수가 부족한 손님들은 셀프코너에서 얼마든지 추가로 맛볼 수 있다.

▲ 국수를 다 먹고 양념에 밥을 비벼먹어도 별미다.
▲ 국수를 다 먹고 양념에 밥을 비벼먹어도 별미다.

▲ 장 비빔국수에는 고추장이나 식초가 들어가지 않는다. 오직 10가지 채소를 20일간 숙성하여 얻어낸 소스로 맛을 낸다.
▲ 장 비빔국수에는 고추장이나 식초가 들어가지 않는다. 오직 10가지 채소를 20일간 숙성하여 얻어낸 소스로 맛을 낸다.

이 집의 메인요리는 고추장이 한 톨도 들어가지 않은 비빔국수다. 새콤한 맛을 내기위해 흔히 쓰는 식초도 쓰지 않았다. 주인 최미애 사장은 “10여 가지 채소를 20일 동안 숙성시켜 만든 양념장이 맛의 전부”라며 “인공감미료가 전혀 들어가지 않은 특허 받은 소스”라고 강조했다. 바로 삶아 나와 쫄깃함이 살아있는 면은 국수의 감칠맛을 더해준다.

남은 양념장에는 밥을 말아먹는다. 천연재료로 만든 양념장이라 흔한 고추장 비빕밤과는 색다른 별미를 느낄 수 있다. 관평동에 살고 있다는 한 단골손님은 “이 집의 국수는 자극적인 새콤함이나 매콤한 맛이 아니면서도 묘하게 입맛을 당기는 중독성이 있다”며 “일주일에 한번은 이 집에서 식사를 해결한다”고 칭찬했다. 함께 동석한 손님 역시 “자연의 맛이 그대로 녹아든 맛”이라며 “양념장에 밥을 먹고 나면 포만감이 느껴진다”고 말했다.

▲ 장보쌈
▲ 장보쌈

▲ 장보쌈에는 부드러움과 쫄깃함의 대명사 제주산  돼지고기가 들어간다.
▲ 장보쌈에는 부드러움과 쫄깃함의 대명사 제주산 돼지고기가 들어간다.

▲ 제주 돼지고기와 통영굴 그리고 쌉쌀한 치커리 겉절이의 조화, 자연에서 얻어진 신선한 맛이 입안 가득 느껴진다.
▲ 제주 돼지고기와 통영굴 그리고 쌉쌀한 치커리 겉절이의 조화, 자연에서 얻어진 신선한 맛이 입안 가득 느껴진다.

국수전문점의 필수 코스인 보쌈은 술안주로 인기가 좋다. 보쌈 고기는 부드럽고 쫄깃한 맛으로 유명한 제주 생삼겹이다. 여기에 신선한 통영굴과 치커리겉절이, 백김치가 가 더해진다. 상큼하고 향긋한 굴과 쫀득쫀득한 제주 생삼겹, 쌉쌀하고 매콤한 겉절이에 취해 있다 보면 어느새 빈 그릇이 드러난다. 보쌈과 라이벌인 편육에도 재주산 돼지고기가 들어간다.

▲ 장흥의 명물 매생이와 통영굴의 조화, 시원하고 담백하고 향긋한 식감을 느낄 수 있다.
▲ 장흥의 명물 매생이와 통영굴의 조화, 시원하고 담백하고 향긋한 식감을 느낄 수 있다.

▲ 이 집의 굴밥은 보는 것만으로도 맛이 느껴진다. 형형색색 신선한 국내산 재료가 구수하고 담백한 맛을 전해준다.
▲ 이 집의 굴밥은 보는 것만으로도 맛이 느껴진다. 형형색색 신선한 국내산 재료가 구수하고 담백한 맛을 전해준다.

시원하고 담백하면서도 깊은 맛이 살아 있는 굴국밥은 한 끼 식사는 물론 해장국으로 탁월한 선택이다. 뚝배기에 푸짐하게 담겨 있는 굴과 콩나물, 미역에서 우러난 얼큰한 국물은 가슴 속 깊은 곳까지 달래준다.
▲ 조미료0% 이 집의 모든 요리는 자연에서 맛을 찾는다.
▲ 조미료0% 이 집의 모든 요리는 자연에서 맛을 찾는다.

간편하게 국수를 즐기고 싶다면 굴잔치국수와 간장으로 양념한 아기국수를 추천한다. 들깨수제비와 장흥산 매생이가 들어간 매생이굴국밥, 해물파전도 별미다. 최 사장은 “자연의 맛이 담긴 정직한 음식을 만드는 곳으로 인정받고 싶다”며 “다른 곳에서는 맛볼 수 없는 독보적인 맛을 위해 새로운 메뉴 개발에도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 대전광역시 유성과 테크노3로 65호 한산에스메카 101~105호 042-330-0033
▲ 대전광역시 유성과 테크노3로 65호 한산에스메카 101~105호 042-330-0033


장비빔국수 5천원. 굴국밥 7천원. 장보쌈(중) 3만원. (대) 4만3천원 매생이굴국밥 7천원. 뚝배기굴밥 8천원.

뉴미디디어부 금상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역사의 주인, 변화
  2. 국립대전현충원, 후손 없는 호국영웅 첫 추모제 개최
  3. 대전일시청소년쉼터, 청소년 유관기관과 '연합아웃리치' 활동
  4. '충남 학생인권조례' 대법 판결 전까지 효력 유지된다
  5. "기분좋은 변화의 시작", 대전 중구 타운홀미팅
  1. '대남 오물 풍선' 충남 부여와 천안서 추가 발견
  2. [일제동굴, 부평에서 대전까지]함봉산 지하호 27개 조병창 시설 '규명' 보문산은?
  3. 타깃층 변경 접근성 강화… "韓 포르트 어벤추라, 아사히야마 동물원 꿈꿔야"
  4. 대전시 소규모 주택정비사업 사업성 무료 분석 지원
  5. 어느덧 여름…노란 금계국 만개

헤드라인 뉴스


[일제동굴, 부평에서 대전까지]함봉산 지하호 27개 조병창 시설 `규명` 보문산은?

[일제동굴, 부평에서 대전까지]함봉산 지하호 27개 조병창 시설 '규명' 보문산은?

인천시 부평구, 넓은 평야를 산이 둘러싼 분지 지형에 국내 최초 철도 경인선이 지나는 길목에 위치해 일제강점기 대전과 쌍둥이처럼 닮은 모습이 관찰되고 있다. 그중 부평 함봉산에서 앞서 발견돼 학계에 보고된 지하호 27개는 최근 대전 보문산에서 목격되는 동굴 10여 개와 모양부터 조성 시점이 상당히 유사하다. 5월 31일 부평문화원 초대를 받아 이틀간 부평 일원의 지하호 조사에 다녀왔다. <편집자 주> [일제동굴, 부평에서 대전까지] 1. 지하호 26개와 일제 육군조병창 2. 강제동원 규명과 역사 바로알기 3. 전쟁유산의 대전 보문산..

"관광안내소 늘리고 기능 확대해야"
"관광안내소 늘리고 기능 확대해야"

'굴뚝없는 산업'으로 일컬어지는 관광산업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 하기 위해서는 관광안내소 확대와 시설 개선 등이 필요하다는 제언이다. 코로나 발생 전인 2019년 기준으로 세계 관광산업 규모는 전 세계 GDP의 10.5%인 9조 2000억 달러(약 1경 2000조원)에 이른다. 국경을 넘는 여행객이 1년에 14억 6000만 명에 달하고, 관광산업과 관련된 일자리는 3억 3399만 개에 이른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관광산업이 활기를 되찾으면서 전 세계 다수의 국가들이 관광산업을 국가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키우는데 노력하고 있다...

대전 소상공인 경기 체감지수 전국서 최하위... 어려운 경기 상황에 한숨
대전 소상공인 경기 체감지수 전국서 최하위... 어려운 경기 상황에 한숨

대전 소상공인의 현 상황을 보여주는 경기 체감지수가 전국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어려운 경기 상황에 판매실적과 자금사정, 구매 고객 수 체감 등 전반적인 지수가 바닥으로 향하며 어려움을 나타낸다. 2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의 '소상공인시장 경기동향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5월 대전의 경기 체감 지수는 57.2로, 4월(64.9)보다 7.7%포인트 감소했다. 경기동향 조사는 소상공인과 전통시장 사업체 운영자의 체감 전망 경기 파악을 통해 경기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기초 정보 제공하기 위한 자료다. 지수는 기준치 100을 기점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어느덧 여름…노란 금계국 만개 어느덧 여름…노란 금계국 만개

  • ‘현충일 앞두고 미리 참배왔어요’ ‘현충일 앞두고 미리 참배왔어요’

  • 대전오월드 발전전략 수립을 위한 시민포럼 대전오월드 발전전략 수립을 위한 시민포럼

  • 12년째 이어지는 한화 충청지역 봉사단의 현충원 봉사활동 12년째 이어지는 한화 충청지역 봉사단의 현충원 봉사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