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다문화] 드라켄스버그 (용의 산)

  • 다문화신문
  • 천안

[천안다문화] 드라켄스버그 (용의 산)

  • 승인 2024-06-02 16:22
  • 신문게재 2024-06-03 10면
  • 하재원 기자하재원 기자
남아공과 레소토의 국경을 따라 뻗은 '용의 산'이라고 부르는 Drakensberg는 남아공 콰줄루 나탈(KwaZulu-Natal)에 위치해 있다.

콰줄루 나탈은 남아공 동해안쪽이고 드라켄스버그는 더반의 해안마을로부터 차로 대략 3시간 거리에 있다.

나와 내 아내는 차를 타고 신나게 달려 우리가 머물 호텔에 도착했다.

우리가 남아공에 가족들을 방문할 때면 찾는 곳이 이곳이다.



드라켄스버그 산맥 최고봉은 약 3482m이고 산맥 길이는 대략 1000km에 달하는 장대한 산맥이다.

또한 이곳은 남아공 최고의 트레킹 코스로도 유명하다.

산 주변을 따라 아름다운 호텔들이 있으며 또한 골프, 테니스, 보울링, 수영, 승마, 하이킹, 짚 라인, 독수리나 매 같은 맹금류의 사냥 보기 등을 즐길 수 있는 흥미로운 레져 스포츠 들이 많이 있다.

특히 내 아내는 승마를 좋아해 말을 타고 주변을 한 1시간 정도 승마 일행들과 즐기고 온다.

이번에는 겁 많은 그녀가 짚 라인을 탔는데 짧은 코스를 시작으로 긴 코스까지 1시간 40분 동안 12번을 탔다.

짚 라인을 타면서 아름다운 자연을 즐기기에 충분한 듯하다.

이곳 호텔 음식은 아침과 저녁을 주는데 메뉴가 매우 다양해서 매우 만족스럽다.

이곳 드라켄스버그에서는 꼭 레져 스포츠를 즐기지 않아도 아름다운 산과 호수 자연을 보며 산책하고 주변에 작은 마을에서 식사나 쇼핑을 즐기는 것도 좋다.

멋진 자연과 함께 트레킹을 즐기고 다양한 레져 스포츠를 즐기고 싶다면 이곳을 추천하고 싶다.

브레트포드 명예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소진공, SEMAS 청년혁신협의체 발대식 진행
  2. 'KITA 2025 춘계학술대회' 디지털 전환 시대, 지산학연 협력 전략 모색
  3. 특허법원, 국제지식재산권연구센터 자문위원 구성 완료
  4. 세종 빛축제 또 무산 위기… 시민단체 "예산 복원하라"
  5. [부고]강용식 충남대 총동창회 상임고문 별세
  1. 대전을지대병원, 로봇수술센터 심포지엄 개최
  2. 생명종합사회복지관, 호국보훈 감사 마을 캠페인
  3. 대전지방보훈청·대전참사랑의료재단 국가유공자 기부금 전달
  4. 코스피 3000 돌파…3년 6개월 만
  5. 해수부 '본청 세종, 외청 부산' 카드...국정기획위가 받을까

헤드라인 뉴스


해수부 `본청 세종, 외청 부산` 카드… 국정기획위가 받을까

해수부 '본청 세종, 외청 부산' 카드… 국정기획위가 받을까

세종시를 지역구로 둔 강준현(을) 국회의원이 해양수산부의 외청 신설 카드를 다시금 꺼내 들었다. 그는 대선 기간 이 같은 제안을 했으나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으로 부산 이전안이 속도를 내면서, 입장 보류 또는 신중 모드로 전환한 바 있다. 국정 수반인 대통령의 의지가 분명하게 읽히면서다. 하지만 야당인 국민의힘의 반발을 떠나 시민사회와 해수부 노조, 지역 언론의 지적이 쏟아지자 다시금 이전 입장을 분명히 했다. 강 의원은 6월 20일 오전 아름동 시당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사견임을 전제로 이 같은 의견을 내놨다. 외청 신설안은..

대전가원학교 건물 진동 또… 20일부터 정밀안전진단 돌입
대전가원학교 건물 진동 또… 20일부터 정밀안전진단 돌입

17일 오전 최초 진동이 감지된 특수학교 대전가원학교에 대해 20일부터 정밀안전진단이 이뤄진다. 당초 대전교육청이 자체 조사로 진동 원인을 찾으려 했으나 추가 진동이 감지되고 구성원 불안감이 커지면서 계획을 변경한 것이다. 19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하루 뒤인 20일부터 학교 왼편 전체 층에 대한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한다. 이 기간 학교는 정상 운영될 예정이다. 이번 조사 대상은 17일 처음 진동이 감지된 쪽이다. 가원학교는 앞서 2024년 9월부터 10월 말까지 한 차례 이 공간에 대한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한 바 있다. 2025년 2..

미분양 아파트 정부가 매입…건설 경기 살아날까
미분양 아파트 정부가 매입…건설 경기 살아날까

정부가 침체한 건설경기를 살리기 위해 대규모 재정을 투입한다. 특히 건설 경기 악화의 주범으로 꼽히는 미분양 주택 문제 해결을 정부 차원에서의 환매조건부 매입 방식이 도입될 예정이다. 새 정부 추가경정예산안이 충청권을 비롯해 전국 지방 도시에서 심화하는 건설 경기 침체 현상에 대한 해답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19일 국무회의를 통과한 '새 정부 추가경정예산안'에 따르면 정부는 건설 경기를 활성화하기 위한 2조 7000억 원 규모의 예산을 편성해 미분양 주택 환매, 사회간접자본(SOC) 조기 착공, 중소 건설사 유동성 지원 등에..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코스피 3000 돌파…3년 6개월 만 코스피 3000 돌파…3년 6개월 만

  • `맹물` 짝퉁 화장품 유통시킨 일당 검거 '맹물' 짝퉁 화장품 유통시킨 일당 검거

  • 이른 장마 시작…차수막으로 대비 철저 이른 장마 시작…차수막으로 대비 철저

  • 취약계층에 건강한 여름 선물 취약계층에 건강한 여름 선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