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충청권에 벼락 9800회 내리쳤다…7월에 많이 발생

  • 사회/교육
  • 날씨

지난해 충청권에 벼락 9800회 내리쳤다…7월에 많이 발생

31일 기상청 '2023년 낙뢰연보' 발표
대전 270회, 세종 284회. 충남 3495회, 충북 5796회 발생

  • 승인 2024-06-02 16:34
  • 신문게재 2024-06-03 4면
  • 정바름 기자정바름 기자
1390159020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지난해 충청권 지역에 9800회 가량의 낙뢰(벼락)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5월 31일 기상청이 발표한 '2023년 낙뢰 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충청권 시·도별 연간 낙뢰 발생 횟수는 대전 270회, 세종 284회. 충남 3495회, 충북 5796회였다.

월별로 분석하면 충청권 모두 7월(대전 90회, 세종 168회, 충남 1226회, 충북 1641회)에 낙뢰가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7월 면적 1㎢ 당 낙뢰횟수는 충남에서 논산(0.36회)이 가장 많았고, 충북에서는 청주 상당구(0.50회)에서 많이 관측됐다.



지난해 전국적으로 낙뢰는 총 7만 3341회 관측됐다. 이는 2014년부터 2023년까지의 최근 10년 평균값(9만 3380회)보다 21.5% 적지만, 전년인 2022년(3만 6750회)보다 50% 더 많은 수준이다.

전체 시·도별로 살펴보면, 낙뢰 횟수는 경상북도가 전체 낙뢰 횟수의 18%인 1만 2892회로 가장 많았고 강원도(1만 1973회)와 경기도(1만 1271회)가 뒤를 이었으며, 대전이 270회로 가장 적었다.

또 지난해 낙뢰 횟수의 약 75%가 여름철(6~8월)에 나타났다. 계절로는 여름(75.35%), 가을(9월∼11월, 14.63%), 봄(3월∼5월, 5.95%), 겨울(12월∼2월, 4.08%)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

7월은 연중 가장 많이 낙뢰가 발생한 달로, 2023년 전체 낙뢰 횟수의 약 35%를 차지했다. 특히 7월 26일에 전국에서 관측한 낙뢰 횟수는 총 7220회로 2023년 중 가장 많은 낙뢰가 발생한 날로 기록됐다.

최근 10년 월평균과 비교하면 2023년 낙뢰는 여름철에 집중되는 경향은 비슷했지만 6, 10, 12월에 평균보다 더 많이 관측됐고, 5, 8월에 상대적으로 더 적게 관측됐다.

한편 최근 10년 간(2012~2022년) 낙뢰로 인한 인명피해 건수는 17건이었다. 지난해 6월에는 강원도 양양 해변에서 30대 남성이 벼락을 맞아 숨진 사고도 있었다.

낙뢰로 인한 인명피해 90%는 야외에서 발생한다. 낙뢰가 발생할 수 있다는 예보가 나오면 야외활동은 자제해야 한다.

낙뢰가 칠 때 야외에 있다면 '30-30 규칙'을 따라야 한다. 번개가 친 후 30초 내 천둥이 울리면 즉시 대피하고, 마지막 천둥소리가 들린 뒤 30분이 지나고 활동해야 한다.

대피 시 우산, 골프채, 등산 스틱 등 낙뢰를 유도하는 긴 물체는 버려야 한다. 주변보다 높게 우뚝 서 있는 나무나 정자는 낙뢰를 막지 못하기 때문에, 건물이나 자동차 안으로 피신해야 한다.

정바름 기자 niya1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신세계백화점 앞 6중 추돌사고…1명 숨지고 2명 중상 등
  2. 김진명 작가 '세종의 나라'에 시민 목소리 담는다
  3. 대전문화방송과 한화그룹 한빛대상 시상식
  4. 세종 '행복누림터 방과후교육' 순항… 학부모 97% "좋아요"
  5. 전교생 6명인 기성초등학교 길헌분교 초대의 날 행사
  1. [인터뷰]장석영 대한언론인회 회장
  2. 사나래복지센터, 이웃들과 따뜻한 정 나누기 위한 사랑의 김장나눔
  3. 대한전문건설협회 대전시회, 한국건축시공학회와 업무협약 체결
  4. 대전 향토기업 '울엄마 해장국'...러닝 붐에 한 몫
  5. 따르릉~ 작고 가벼운 '꼬마 어울링' 타세요!

헤드라인 뉴스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 전쟁유적에서 평화 찾아야죠" 대전 취재 나선 마이니치 기자

"일본에서도 태평양전쟁을 겪은 세대가 저물고 있습니다. 80년이 지났고, 전쟁의 참상과 평화를 교육할 수 있는 수단은 이제 전쟁유적뿐이죠. 그래서 보문산 지하호가 일본군 총사령부의 것이었는지 규명하는 게 중요합니다."일본 마이니치 신문의 후쿠오카 시즈야(48) 서울지국장은 5일 대전 중구 보문산에 있는 동굴형 수족관 대전아쿠아리움을 찾아왔다. 그가 이곳을 방문한 것은 올해만 벌써 두 번째로 일제강점기 태평양전쟁의 종결을 앞두고 용산에 있던 일본군 총사령부를 대전에 있는 공원으로 옮길 수 있도록 지하호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그..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학생·학부모 10명 중 8명 "고교학점제 폐지 또는 축소해야"… 만족도 25% 미만

올해 고1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고교학점제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 시행 첫 학기를 경험한 응답자 중 10명 중 8명 이상이 '제도를 폐지하거나 축소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학생들은 진로 탐색보다 대학입시 유불리를 기준으로 과목을 선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종로학원은 10월 21일부터 23일까지 고1 학생과 학부모 47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75.5%가 '만족하지 않는다'고 답했다고 6일 밝혔다. 반면 '만족한다'는 응답은 4.3%, '매우 만족한다'는..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 개장 한달만에 관광명소 급부상

대전 갑천생태호수공원이 개장 한 달여 만에 누적 방문객 22만 명을 돌파하며 지역 관광명소로 주목받고 있다. 6일 대전시에 따르면 갑천생태호수공원은 9월 말 임시 개장 이후 하루 평균 7000명, 주말에는 최대 2만 명까지 방문하는 추세다. 전체 방문객 중 약 70%가 가족·연인 단위 방문객으로, 주말 나들이, 산책과 사진 촬영, 야간경관 감상의 목적으로 공원을 찾았다. 특히 추석 연휴 기간에는 10일간 12만 명이 방문해 주차장 만차와 진입로 혼잡이 이어졌으며, 연휴 마지막 날에는 1km 이상 차량 정체가 발생할 정도로 시민들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과학기술인 만남 이재명 대통령 과학기술인 만남 이재명 대통령

  •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 ‘사랑 가득한 김장 나눠요’

  • 수능 앞 간절한 기도 수능 앞 간절한 기도

  •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 국민의힘 충청권 지역민생 예산정책협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