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청소년 알바생 5명 중 1명 ‘최저임금도 못받아’

  • 사회/교육
  • 노동/노사

대전 청소년 알바생 5명 중 1명 ‘최저임금도 못받아’

근로계약서 미작성, 주휴수당 미지급도 허다… 폭언·폭행까지 당하는 사례도 대전청소년노동인권네트워크 대전 청소년 알바 550명 조사

  • 승인 2016-06-28 17:46
  • 신문게재 2016-06-28 8면
  • 송익준 기자송익준 기자

대전지역 청소년 아르바이트생 5명 중 1명은 최저임금도 받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근로계약서를 쓰지 않고 일을 하는가 하면 알바를 하면서 폭언·폭행도 당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대전청소년노동인권네트워크와 대전시비정규직근로자지원센터는 28일 대전지방고용노동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대전지역 청소년 아르바이트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결과에 따르면 최저임금보다 적은 금액을 받은 청소년이 20%(110명)에 달했다. 반면 청소년 91%(499명)가 올해 최저임금 ‘6030원’을 알고 있었다. 최저임금이 얼마인줄 알면서도 적은 돈을 받은 셈이다.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은 청소년도 52%(288명)나 됐다. 67%(264명)는 주휴수당도 지급받지 못했다. 근로기준법은 주 15시간 이상 일하는 아르바이트 노동자에게 주휴수당을 주도록 명시하고 있다.

청소년들은 아르바이트 현장에서 여전히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었다. 응답자 61%(305명)가 ‘부당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종류별로는 일당 미지급 등 임금관련이 28%로 가장 많았다. 이어 약속 외 근로(21%), 폭언(17%), 퇴사관련(12%) 순이었다.

여성 청소년 14명은 ‘성희롱 등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하기도 했다. 일하다가 다친 청소년 96명 중 30명은 치료비나 보상비를 받지 못했다. 청소년 노동인권이 심각한 수준임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응답자 대부분은 편의점·PC방·음식점에서 카운터나 서빙(360명)을 했으며 택배(128명), 전단지(85) 아르바이트를 한 청소년들도 있었다.

청소년들이 아르바이트를 하는 이유는 대부분 경제적 목적(458명)이었다. 사회경험은 98명에 불과했다. 아르바이트로 번 돈은 등록금 등 학업(308명), 생활비(178명), 저축(104명) 등으로 사용됐다.

청소년들은 아르바이트 현장의 근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대책으로 사업주 처벌강화(327명)를 꼽았다. 노동부 단속강화와 노동법 강화에는 각각 278명, 265명이 투표했다.

하루 평균 근무시간으로는 응답자 294명이 3.5~7시간을 일했다. 8시간 이상은 165명, 1~3시간은 61명이었다.

대전청소년노동인권네트워크 관계자는 “아르바이트를 하는 청소년들이 열악한 노동인권에 처해있지만 개선대책이나 사회적 관심이 부족한 실정”이라며 “청소년 대상으로 노동인권교육을 진행하는 한편 노동청에 청소년 전담 근로감독관을 두고 아르바이트 현장의 부당노동행위에 대해 적극 대처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조사는 5월 16일부터 지난달 10일까지 대전지역 만 15~20세 아르바이트 노동자 55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송익준 기자 igjunbab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충청권 국힘 지지도 38%…계엄 이후 첫역전
  2. 이글스 홈구장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로
  3. 중도일보 연속보도로 한화생명볼파크에 '대전 간판' 달았다
  4. [현직 대통령 첫 구속] 윤 대통령 구속에 지역 정가 엇갈린 반응
  5. 중구 무수천하마을, 전국 최우수 농촌체험휴양마을 선정
  1. 시민의 휴식처, 보문산 프르내 자연휴양림 3월 착공 예정
  2. 내란 우두머리 혐의 윤석열 대통령 구속에 쏠린 눈
  3. 'KTX 세종역' 미궁 속으로...'충청권 CTX' 향배는
  4. 대전시, 교육발전특구 고교-대학 연계사업 추진
  5. 대전시, 비영리민간단체 공익활동 지원

헤드라인 뉴스


쪽방보다 못한 임시주거지… 노후 여관촌뿐 "밥도 못먹어"

쪽방보다 못한 임시주거지… 노후 여관촌뿐 "밥도 못먹어"

대전 정동 일대 쪽방촌 주민들에게 올해 겨울은 유독 더 힘겹다. 지금 이들에게 칼바람보다 힘든 것은 주거가 나아질 수 있다는 기대감에서 뒤바뀐 희망 고문이다. 5년 전 쪽방촌 정비와 주거 취약계층인 쪽방 세입자들을 지원하는 공공주택지구 개발 소식이 전해졌지만, 이 사업은 2년 넘게 멈춰있다. 중도일보는 소외된 지역 쪽방 주민들의 주거환경 개선과 인권 문제, 그리고 해법에 대해 세 차례에 걸쳐 짚어보고자 한다. <편집자 주> 2. '쪽방서 쪽방' 탁상행정에 소외된 인권 쪽방촌 개발이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쪽방 주민들의 주거 공백 해소를..

24일부터 유등천 가설교량 부분개통…우회했던 일부노선 조정
24일부터 유등천 가설교량 부분개통…우회했던 일부노선 조정

대전시는 유등교 가설 교량이 부분 개통됨에 따라 유천동에서 태평교를 거쳐 도마동으로 우회 운행하던 일부 노선을 24일부터 유천동에서 유등교 가설 교량을 거쳐 도마동으로 우회로를 단축 운행한다고 20일 밝혔다. 우회 변경 노선은 급행1, 119, 201, 202, 2002, 608, 613, 20번 8개 노선이다. 다만, 113, 916, 21~27, 41~42, 46번 등 12개 노선은 서남부터미널 기점에서 도마동 방향 좌회전이 불가하여 태평교를 우회하는 현 경로를 유지한다. 우회 경로 변경 관련 자세한 사항은 교통 정보센터 및 버..

설 차례상 준비 비용, 전통시장이 대형마트보다 20% 더 `저렴`
설 차례상 준비 비용, 전통시장이 대형마트보다 20% 더 '저렴'

올해 설 차례상 준비 비용은 전통시장이 대형마트보다 20%가량 더 저렴한 것으로 조사됐다. 20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발표한 '설 제수용품 가격 비교 조사'에 따르면 6일부터 13일까지 전통시장과 대형마트 각 37곳을 대상으로 설 제수용품 27개 품목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집계됐다. 4인 가족 기준 설 차례상을 차리는 데 드는 비용은 전통시장이 평균 28만 7606원으로, 대형마트(36만 986원)보다 20.3%(7만 3380원) 저렴했다. 전체 조사품목 27개 중 17개 품목에서 전통시장이 대형마트보다 저렴했다. 품목별로는 고사..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바쁘다 바빠’…설 앞두고 분주한 떡집 ‘바쁘다 바빠’…설 앞두고 분주한 떡집

  • 미세먼지 유입에 뿌옇게 보이는 대전 미세먼지 유입에 뿌옇게 보이는 대전

  • 내란 우두머리 혐의 윤석열 대통령 구속에 쏠린 눈 내란 우두머리 혐의 윤석열 대통령 구속에 쏠린 눈

  • 가족과 함께 배우는 차례상 예절교육 가족과 함께 배우는 차례상 예절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