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반려동물 장례시설 제로 … 반려동물 보호자 불만 목소리

  • 경제/과학
  • 기업/CEO

대전 반려동물 장례시설 제로 … 반려동물 보호자 불만 목소리

  • 승인 2017-06-28 16:57
  • 신문게재 2017-06-29 8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공주, 예산, 세종 등엔 반려동물 장례시설 있지만
대전엔 지역민 반대에 우려에 마땅한 업체 안 들어서


대전에 반려동물 장례시설이 지어져야 한다는 반려동물 보호자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반려동물 1000만 가구 시대를 맞았지만, 지역에선 단 한 곳도 없기 때문이다.

28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전국에서 지자체의 허가를 받아 농림축산식품부에 정식으로 등록된 동물장묘업체는 24곳으로, 전국 곳곳에 분포돼 있지만, 대전은 제로다.

대전에서 반려동물은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2015년 말 기준 동물등록제를 마친 반려동물은 4만 753마리에서 지난해 4만 4387마리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동물등록제는 반려동물을 잃어버렸을 경우를 대비해 몸속에 칩을 삽입하거나, 인식표를 다는 제도다. 지역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이들이 늘고 있다는 걸 보여주는 지표다.

하지만 장례업체는 태부족한 상태다. 이유는 하나다. 업체들이 주민 반발을 이겨내지 못할 거란 생각 탓에 지역에 장묘시설을 지으려고 하지만 번번이 발길을 돌리고 있어서다.

한 반려동물 장례업체 관계자는 “사람이 죽었을 때 태우는 화장터를 짓는 데 반대하는 이유와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며 “반려동물을 키우는 이들은 늘었지만 아직 동물은 동물이라는 사고를 가진 이들이 많다”고 말했다.

행정절차를 밟아 장례업체를 등록한다고 해도 시설을 만드는 과정에서 제대로 된 시설을 갖추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 상당한 부담으로 다가온다고 업계는 설명한다.

상황이 이렇자 대전 반려동물 보호자들은 지역 인근인 예산과 공주, 세종 등으로 가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긴다고 불만을 호소한다. 현행법상 사체를 개인이 땅에 묻거나, 소각하는 행위는 불법이기 때문이다.

장례 없이 기르던 반려동물이 죽으면 일반 쓰레기봉투에 담아 버려야 한다. 이 모(27·서구 관저동) 씨는 “12살인 강아지가 있는데, 최근 몸이 안 좋아져 죽을 때를 대비해 알아봤더니 장례업체를 이용하지 않으면 쓰레기봉투에 담아 버려야 한다는 소리를 듣고 기겁했다”며 “인근 지역에 있지만 거리가 가깝지 않고, 추모하려면 매번 그곳까지 가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길 것 같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대전 수의사 업계도 반려동물 장례시설 건립에 공감한다.

안세준 대전시수의사회장은 “개인이 처리하려면 쓰레기봉투에 담는 방법밖에 없어 반려동물을 기르는 이들을 위해서라도 장례시설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서 19년만에 한국시리즈 안전관리 '비상'…팬 운집에 할로윈 겹쳐
  2. 대전교육청 교육공무직 명칭 '실무원'→ '실무사'… "책임성·전문성 반영"
  3. 산학연협력 엑스포 29~31일 대구서… 지역대 ‘라이즈’ 성과 한자리에
  4.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5. 한화 이글스 반격 시작했다…한국시리즈 3차전 LG 트윈스에 7-3 승리
  1. 금강 세종보' 철거 VS 가동'...시민 여론 향배는 어디로
  2. [편집국에서] 설동호 대전교육감의 마지막 국정감사
  3. 대전 유성 엑스포아파트 재건축 지구지정 입안제안 신청 '임박'
  4. [썰] 전문학, 내년 지선서 감산 예외 '특례' 적용?
  5. 신탄진역 '아가씨' 성상품화 거리 대응 시민들 31일 집결

헤드라인 뉴스


긴장 풀려다 병 얻을라… ‘수능약’ 부작용 주의보

긴장 풀려다 병 얻을라… ‘수능약’ 부작용 주의보

수능 시험을 앞두고 '수능약' 혹은 '면접약'으로 불리는 일부 약이 학부모, 면접을 앞둔 취업준비생들을 유혹하고 있다. 시험 당일 긴장을 완화해 주고 떨림이나 가슴 두근거림을 줄여주는 데 효과가 있을 거라는 기대 때문인데, 심혈관 질환 치료제로 사용되는 약을 불안 완화용으로 임의 복용하는 것은 부작용 위험이 크다는 게 약사의 설명이다. 29일 가톨릭대 대전성모병원에 따르면, 고혈압이나 부정맥처럼 교감신경의 작용을 차단하는 전문의약품을 시험과 면접을 긴장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 사례가 늘어 주의가 요구된다. 대표적으로 인데놀정(..

[2025 경주 APEC] 한미정상회담서 난항 겪던 한미 관세협상 타결
[2025 경주 APEC] 한미정상회담서 난항 겪던 한미 관세협상 타결

2025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인 29일 한미 정상이 만나 난항을 겪던 한미관세 협상을 타결했다. 대미 금융투자 3500억 달러(497조700억원) 중 2000억 달러(284조1000억원)는 현금으로 투자하되, 연간 투자 상한을 200억(28조4040억원)으로 제한하는데 합의했다. 대통령실 김용범 정책실장은 29일 오후 경북 경주에 마련된 ‘2025 경주 APEC 국제미디어센터’에서 브리핑을 열고, "한미관세 협상 세부내용을 합의했다"며 협상 내용을 발표했다. 세부 내용에 따르면, 한미 양국은 3500억..

때 아닌 추위에 붕어빵 찾는 발길 분주… 겨울철 대표 간식 활짝
때 아닌 추위에 붕어빵 찾는 발길 분주… 겨울철 대표 간식 활짝

10월 최저기온이 한 자릿수로 떨어지는 이른 추위가 찾아오면서 겨울철 대표 간식 '붕어빵'을 찾는 발길이 분주하다. 예년에는 11월 말부터 12월 초쯤 붕어빵이 모습을 드러내지만, 올해는 때이른 추위에 일찌감치 골목 어귀에서 붕어빵을 찾는 손님들이 늘어나고 있다. 29일 대전 최저기온이 5도를 가리키는 등 날씨가 급격하게 떨어지면서 겨울철 대표 간식인 붕어빵이 지역 상권마다 등장하고 있다. 올해는 예년보다 한 달 먼저 장사를 시작한 김 모(41) 씨는 "보통 11월 말이나 12월 초에 날씨가 급격하게 추워지면 붕어빵 장사를 했지만,..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 취약계층의 겨울을 위한 연탄배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