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천식의이슈토론] "올 대전 방문 원년의 해… 시민 참여 이끌어야"(영상포함)

[신천식의이슈토론] "올 대전 방문 원년의 해… 시민 참여 이끌어야"(영상포함)

  • 승인 2019-01-29 15:37
  • 수정 2019-01-31 13:22
  • 서혜영 기자서혜영 기자
노잼끝판왕
신천식의 이슈토론이 29일 오전 '대전 관광 성공조건을 묻습니다'라는 주제로 진행됐다.<사진 좌측부터>김용두 대전시 관광마케팅과장, 신천식 박사, 김정수 건양대 교수

올해는 '대전 방문의 해'의 원년으로 관광산업의 역사적 전환이 되는 해다.

당초 올 1년만 시행하기로 했던 추진기간은 3년으로 확대됐다.

일년이라는 시간과 일회성 이벤트로는 대전 관광의 획기적 변화를 꾀할 수 없다는 판단 때문이다. 


이 같은 변화 속에 29일 오전 중도일보 스튜디오에서 열린 신천식의 이슈토론에서는 김정수 건양대 교수, 김용두 대전시 관광마케팅과 과장을 초청해 '대전 관광의 해 성공조건을 묻습니다'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나눴다.

우선 대전 방문의 해가 3년으로 확대된 이유에 대해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김 과장은 "단년도의 행사로서는 추진 과정에서 한계를 느낀 부분이 많았다"며 "대전 여행의 새로운 틀을 마련하고 국내 여행객을 지속적으로 유입하기 위해서는 최소 3년의 집중적인 사업 추진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실제 정부의 경우도 '관광의 해'를 운영할 때 평창올림픽 등 메가 이벤트와 연계해 3년 정도를 기간으로 잡는다. 대전의 관광 인프라가 미흡한 만큼 1년의 시간은 다소 부족하게 느껴졌던 것도 사실이다.

대전은 흔히 말하는 수려한 자연경관이나 역사적 스토리 등이 부족하다. 그래서 흔히 '대전은 볼 게 없다'는 얘기가 나온다.

이 같은 인식에 대해 김 교수는 "오히려 도시중심형 관광지일 수밖에 없는 만큼 랜드마크로서의 기능을 더 강조해야 한다"며 "이번 대전시의 계획에 엑스포나 과학공원, 아주 오래된 역사는 아니지만 근현대사 등을 설정한 부분이 좋았다"고 평가했다.

이어 김 과장은 대구의 '김광석 길'을 예로 들며 "도심 관광으로 유심히 봐야 할 사례다. 우리도 그런 문화를 선정하고 안착할 수 있도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전의 대표예술인으로 내세운 '이응노 마케팅'에 관해서는 의견이 엇갈리기도 했다. 이응노미술관이 있기는 하지만 대전을 대표한다고 말하기 위해서는 시민적 합의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김 과장은 "이응노가 유일한 것이 아닌 여러 문화인 중 한명으로 예를 든 것이다. 이 분 외에도 지역에 연고가 있거나 하는 분들은 추가로 선정해 마케팅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전 관광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시민 참여가 필수적이라는 데는 모두가 의견을 같이 했다.

김 과장은 "각계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범시민추진위원회를 구성할 계획"이라며 "기획위원회, 시민서포트단, 온라인 홍보단 3개 파트로 나눠 시민 의견을 지속 수렴하고 수정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혜영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성추행 유죄받은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 촉구에 의회 "판단 후 결정"
  2. 김민숙, 뇌병변장애인 맞춤 지원정책 모색… "정책 실현 적극 뒷받침"
  3. 천안 A대기업서 질소가스 누출로 3명 부상
  4. "시설 아동에 안전하고 쾌적한 체육시설 제공"
  5. 회덕농협-NH누리봉사단, 포도농가 일손 돕기 나서
  1. 천안김안과 천안역본점, 운동선수 등을 위한 '새빛' 선사
  2.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3. 세종시 싱싱장터 납품업체 위생 상태 '양호'
  4. ‘몸짱을 위해’
  5. 대전상의-대전조달청, 공공조달제도 설명회 성료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추진하면서 국론분열을 자초하지 않을까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집권 초 미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위협 등 매크로 경제 불확실성 속 민생과 경제 회생을 위해 국민 통합이 중차대한 시기임에도 되려 갈등만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공론화 절차 없이 해수부 탈(脫) 세종만 서두를 뿐 특별법 또는 개헌 등 행정수도 완성 구체적 로드맵 발표는 없어 충청 지역민의 박탈감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해수부는 10일 이전 청사로 부산시 동구 소재 IM빌딩과 협성타워 두 곳을 임차해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두 건물 모두..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2012년 세종시 출범 전·후 '행정구역은 세종시, 소유권은 충남도'에 있는 애매한 상황을 해결하지 못해 7월 폐원한 금강수목원. 그동안 중앙정부와 세종시, 충남도 모두 해법을 찾지 못한 채 사실상 어정쩡한 상태를 유지한 탓이다. 국·시비 매칭 방식으로 중부권 최대 산림자원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 수 있었으나 그 기회를 모두 놓쳤다.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인접한 입지의 금남면인 만큼, 금강수목원 주변을 신도시로 편입해 '행복도시 특별회계'로 새로운 미래를 열자는 제안이 나왔다. 무소속 김종민 국회의원(산자중기위, 세종 갑)은 7..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전국 부동산신탁사 부실 문제가 시한폭탄으로 여겨지는 가운데 토지신탁 계약 체결을 조건으로 뒷돈을 받은 부동산신탁회사 법인의 임직원들이 재판에 넘겨졌다. 대전지검 형사4부는 모 부동산신탁 대전지점 차장 A(38)씨와 대전지점장 B(44)씨 그리고 대전지점 과장 C(34)씨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수재등) 등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고 11일 밝혔다. 또 시행사 대표 D(60)씨를 특경법위반(증재등) 혐의로 함께 불구속 기소했다. A씨 등 부동산 신탁사 대전지점 차장으로 지내던 2020년 11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시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몸짱을 위해’ ‘몸짱을 위해’

  •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 ‘시원하게 장 보세요’ ‘시원하게 장 보세요’